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을 주제로 한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 금의 정신분석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 정신분석의 연도별 연구에서는 1990년대에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이 대중화되면서 논문 발간이 증가하였고, 2010년 이후에는 박사학위 논문 이 발표되면서 앞으로 전문적인 정신분석 연구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한다. 둘째, 한국 정신분석의 학문 분야별 연구에서는 인문학 분야가 전체의 57%였고, 임상 연구가 20%, 사례연구는 3%로 나타나 정신분석 이 인간의 심층 심리를 이해하고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적 학문인 만큼 앞으로 정신분석은 정신병리와 사례연구 중심의 학문으로 연구해야 한다. 셋째, 한국 정신분석의 치료 분야별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급격 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는 불안, 성 문제, 우울이 사회 문화적 현상과 인간의 심층 심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 정신분석 연구는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인 해 현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이 적응적으로 살아가도록 돕는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으로써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Silicon-based anode materials have attracted significant interest because of their advantages, including high theoretical specific capacity (~4,200 mAh/g), low working potential (0.4 V vs Li/Li+), and abundant sources. However, their significant initial capacity loss and large volume changes during cycling impede the application of silicon-based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In this work, we propose a silicon oxide (SiOx)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produced with a magnesio-thermic reduction (MTR) process adopting Boryeong mud as a starting material. Boryeong mud contains various minerals such as clinochlore [(Mg,Fe)6(Si,Al)4O10(OH)8], anorthite (CaAl2Si2O8), illite [K0.7Al2(Si,Al)4O10(OH)2], and quartz (SiO2). The MTR process with Boryeong mud generates a mixture of amorphous silicon oxides (SiOx and SiO2), and magnesium aluminate which helps to alleviate the volume expans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e/discharge.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se oxides, we conducted various analyses including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urier-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oscopy (FT-IR), Brunauer-Emmett-Teller (BET) and cyclic voltammetry (CV) galvanic cell testing. The amorphous SiO2 and MgAl2O4 suppressed the volume expansion of the silicon-based anode, and excellent cycle performance was achieved as a result.
본 연구는 애니매이션 『진격의 거인』 속 관계들을 프로이트의 구조적 관점을 통하여 21세기 현재 우리 나라에서 보여지는 MZ세대의 특징과 연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드 충동으로써의 에렌은 현재의 만족만을 추구하는 MZ세대의 부정적 측면으로 나타나므로 계획하고 조 절할 수 있는 자아의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박해적 초자아로써의 마레 는 MZ세대의 부모의 욕구에 동일시 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무의식적 죄책감이 자극된 초자아의 형성이 아닌 긍정적 초자아의 형성이 필요하 다. 셋째, 마비된 자아로써의 벽 안 인류는 MZ세대의 기본적인 욕구를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드 충동의 추구가 아니라 초자아를 완화 하고 자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MZ세대는 자아를 강화하 기 위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 야 하며 사회는 MZ세대를 이해하는 관심을 통하여 성숙하고 성장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아로마 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면 프로그램이 불면증 대학생의 수면의 질, 주간졸 림증,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비동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시도되었다. 대상자 는 경기도 S시 소재 E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가운데 불면증상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중재 전후에 자가 설문으로 구성된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우울,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 면 프로그램은 실험군(n=21)에게 주 1회, 총 6주 동안 적용하였으며 대조군(n=21)에게 수면책자를 제공하 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t=-5.87, p<.001), 주간졸음(t=-4.28, p<.001), 우울(t=-4.40, p<.001)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우울 증상을 감 소시키는데 유용한 간호중재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을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균형능력, 악력 및 우 울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 한 노인복지관에 등록된 독거노인 20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7월 03일부터 2021년 10 월 14일까지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대상자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4단계 균형 검사, 근력검사, 악력 및 우울을 측정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탄력밴드와 악력볼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매주 전화코칭 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4단계 균형기 능(3단계)(t=-2.37, p=.029), 4단계 균형기능(4단계)(t=-2.46, p=.024), 우측 악력(t=-2.18, p=.042), 우울 (t=2.8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화코칭을 병행한 운 동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균형능력, 악력 향상 및 우울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This study explore th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beer consumers’ purchase motivation 1) to analyze beer consumers and markets more closely and 2)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segment and contribute to marketing strategies with beer consumer segment. Using -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sked questions recognizable beer purchase within 6 months by over 20-years-olds, this study 201 surveys online 22 days. The results as follows: beer consumers’ purchase motivation consisted of three factors enhancement, social orientation, and value enhancement. Cluster analysis based on beer purchase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groups motivation multi-motivation and motivation group based on average value of beer purchase motive factors and relative load per factor. demographic,beer drinking characteristics and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cluster gender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beer drinking characteristic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preferred beer, preferred beer type, occasion and drinking place.
생태계 교란 식물로 알려진 가시박 추출물을 활용하여 생리 활성 효과를 알아보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방법으로는,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 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DPPH radical 소거능,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NO 및 COX-2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가시박 추출물의 21 mg/g, 0.72 mg/g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하였다. RAW 264.7세포와 HDF세포에서 100 μg/mL 농도까지 유의한 세포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HDF세포에 서의 농도 의존적인 ROS 생성 억제와 RAW 264.7 세포에서의 높은 NO 생성 억제와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세포 내 ROS 생성 억제와 NO 생성 억제,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을 통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과를 가진 기 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icient process for the elimination of phenol pollutant from soils. An microwave-assisted process (MAP) and a conventional Soxhlet extraction method (SEM) were employed to extract phenol from two types of soils. The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aged time of the spiked soil samples, extraction solvent and extraction time on the extraction performance were compar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ecoveries from standard soil spiked were at least 10% higher for MAP than those for the conventional Soxhlet. The extraction time by MAP requires significantly shorter time (1 min) than 18 h of the conventional Soxhlet. The recoveries from non-contaminated soil spiked with phenol were also almost identical for above results. The reduction of the extraction times with efficiency higher than that afforded by the conventional Soxhlet technique supports the suitability of the MAP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