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4.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참여자들이 느끼는 재미요인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하였다. 골프경력 5년 이상이면서 골프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골퍼 100명에게 골프재미요인에 대해 개방형 질문을 하였다. 응답한 65개 항목은 스포츠심리학 전공자 3명과 골프지도자 2명 계 5명이 내용분석을 통해 중복되거나 애매한 항목들은 삭제한 후 예비문항 30개를 작성하여, 5점 Likert식 척도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면서 주당 3~4회 연습과 매월 2~3회 필드에 나가는 남․여 골퍼 272명을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골프 재미요인 척도는 5가지 요인 즉, 신체적 건강 6문항, 기록향상 6문항, 스트레스해소 5문항, 사회적 인정 4문항, 자기계발 5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의 내적 신뢰도는 .755∼.839이었으며, 전체 내적 신뢰도는 .910이었다. 그리고 이 척도의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의 적합도 지수는 대체로 양호함으로 나타나 본 척도에 대한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among 16 genotypes of boxthorn (Lycium chinensis Mill.) using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18 ISSR primers out of 100 primers showed the amplification of 101 reproducible fragments. A total of 56 DNA fragments were polymorphic with an average 3.1 polymorphic bands per primer. The polymorphic primers were divided into 16 anchored primers and 2 non-anchored primers. All of the anchored primers were di-nucleotide repeat motif, and polymorphism level was higher in the primers with poly GA and CT motif than CA and GT motif primers. Based on polymorphism,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 (UPGMA) methods. Sixteen boxthorn varieties and accessions were separated into 2 distinctive groups and genetic distance of cluster ranged from 0.82 to 0.97. Eighteen markers were able to distinguish every variety. Therefore, ISSR markers may be suitable for characterizing the large numbers of germplasms and fingerprinting of boxthorn varieties.
        6.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지하부 수량성 증대를 위한 천궁(川芎)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지하부의 수량증대와 생산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토천궁(土川芎)의 근수량은 짚, 백색비닐, 흑색비닐 피복구 순으로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차광처리에 따른 토천궁의 지하부 생육특성에서는 백색차광에서 개체당 근경중, 세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천궁(日川芎) (Cnidium officinale)의 피복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에서 20.4 g 으로 가장 낮았고, 흑색비닐 피복구가 27.7 g으로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의 차광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백색차광 처리구에서 21.1 g으로 가장 높았고, 흑색비닐 처리구에는 16.3 g으로 가장 낮았다. 근경의 직경은 백색차광 처리구 (26. 1mm)가, 근장은 흑색차광 처리 구 (71. 9 mm)가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에 있어서 흑색비닐 피복은 무처리에 비해 36%의 건물중 증가를 가져 왔다.
        7.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궁(川芎)의 재배조건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천궁(土川芎)과 일천궁(日川芎) 각각에 대하여 재식거리별, 근중별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식밀도에 따른 토천궁(土川芎) (Ligusticum chuanxiong)의 지하부 생육특성으로서 건물중은 50×15cm에서 32.9 g으로 가장 작았고, 50×20cm에서 34.4 g, 50×25cm에서 36.5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경의 무게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특성으로는 생체중이 10g 이하(以下)에서 35.7 g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고 , 25 g 이하(以下)에서 45.9 g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일천궁의 재식밀도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 특성은 근수량에 있어서 50×15cm의 처리구 에서 18.7 g(건물중)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50×25cm의 처리구에서 24 g(건물중)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일천궁(日川芎)의 근경중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특성을 보면 개체당 근경의 생근중은 10 g이하 에서 27 g으로 가장 낮았고, 25 g에서 43.4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전체 생근중에 있어서는 10 g이하가 43.9 g로 가장 낮고 , 25 g 이상이 94.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