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9

        4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speretin은 Hesperidin에서 유도되는 강한 항산화 기능의 플라보노이드 비당체이다. 본 연구 에서는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 복합체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Hesperetin은 Hesperidin에 효소처리하여 제조되었으며, Hesperetin/Cyclodextrin 포접체는 용매 증류법에 의해 β-Cyclodextrin 및 Hydroxypropyl-β-Cyclodextrin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Hesperetin에 비해 Hesperetin/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93.5배 증가하였고, Hesperetin/β -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22.5배 증가하였다. 항산화 분석에서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과 유사한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보인 반면, β-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 보 다 약간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 β-Cyclodextrin 포접체, Hesperetin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낮았다. Hesperetin과 Cyclodextrin 포 접체는 모두 세포내 산화질소(NO), 종양괴사인자-α(TNF-α) 및 인터루킨-6(IL-6)과 같은 염증 매개체 를 감소시켰다. Hesperetin 및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는 상대적으로 β-Cyclodextrin 포접체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피부 유해성 세균인 황색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해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Hesperetin =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 > β -Cyclodextrin 포접체의 순서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녹농균에 대해서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 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Hesperidin의 비당체 형태인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체는 다양한 생 물학적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용해도가 높은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가 β-Cyclodextrin 포접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500원
        50.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erries from secondary bearing shoots of ‘Scintilla’ southern highbush blueberry, grown hydroponically in the Jinju, Gimhae, and Uiryeong regions of Gyeongnam Province. Typically, ‘Scintilla’ forms flower buds at the tips of regular bearing shoots during the previous season, yielding berries in the current season. However, under heated cultivation, we observed a proliferation of secondary bearing shoots that produce berries in the same growing season. Flowering and harvesting on secondary bearing shoots were delayed by 52 and 36 days, respectively, compared to regular bearing shoots. However, these shoots exhibited a 54% increase in diameter and a 10% increase in length.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rry size and soluble solid content between the two types of shoots. Notably, berries from the secondary bearing shoots had higher potassium and lower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We conclude that berries from secondary bearing shoots could be marketable, provided the bushes are healthy.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optimizing cultural practices to improve the yield and quality of blueberries under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s.
        4,000원
        5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생조류 생물음향 탐지와 현장 조사의 결과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야생조류 조사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였다. 생물음향 탐지 기간은 2020년 12개월간이었다. 생물음향 탐지는 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 meter SM4)를 각 연구대상지에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현장 조사는 Banjade et al. (2019)의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의 조류군집 장기간 동향」 결과를 인용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물음향 탐지 기법을 통해 확인된 조류상은 동백동산에서 29과 46종, 1100고지 습지에서 16과 25종이었다. 두 번째, 울음 빈도를 통해 나타난 종 구성은 동백동산에서 직박구리(33.62%), 섬휘파람새(12.13%), 동박새(9.77%) 순으로 나타났고, 1100고지 습지에서 큰부리까마귀(27.34%), 섬휘파람새(19.43%), 직박구리(16.56%) 순으 로 나타났다. 세 번째, 동백동산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9종, 2012년 51종, 2015년 35종, 2018년 45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46종이 확인되었다. 1100고지 습지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7종, 2012년 42종, 2015년 34종, 2018년 38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25종이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동백동산에서 확인된 78종 중 43.6%인 34종, 1100고지 습지에서 확인된 47종 중 38.3%인 18종이 생물음향 탐지로 확인되었 다. 네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된 종은 동백동산에서 9과 12종, 1100고지 습지에서 3과 7종으로 대표적으로 소쩍새, 솔부엉이와 같은 야행성 조류, 쇠유리새, 울새와 같은 나그네새, 도래하는 개체수가 상대적으 로 적은 황여새, 솔잣새와 같은 겨울철새가 있다. 다섯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된 종 중에서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종은 동백동산에서 18과 48종, 1100고지 습지에서 14과 27종으로 대표적으로 백로과, 수리과, 솔딱새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물음향 장비 운용을 통한 조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장 조사와 생물음향 탐지를 병행했을 때 효과적인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기초 자료를 작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4,000원
        5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type of oral cancer,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worldwide. Pituitary tumor transforming gene 1 (PTTG1) has been known as oncogene in a verity of cancers. Nevertheless, the expression and role of PTTG1 in OSCC progression remains largely unexplored. In this study, clinical datase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genetic impact of PTTG1 on OSCC progression and to identify its functional roles in OSCC cell lines.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PTTG1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 and OSCC using databases for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and the Gene Expression Omnibus (GE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TTG1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bilities in OSCC cell lines, following the knockdown of PTTG1 in HSC-2 and SCC-9 cell lines, we analyzed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tic abilities of OSCC cells using EdU and Boyden chamber assays. Our database analysis revealed that PTTG1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tumo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s. Moreover, its expression correlated with clinical parameters of OSCC. In vitr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depletion of PTTG1 suppressed the ability of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both HSC-2 and SCC-9 cell lines.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TTG1 may act as an oncogene in OSCC.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PTTG1 expression in OSCC patients.
        4,200원
        5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량 작물의 확보 및 생산량 예측은 국가 발전에 있어 필수적이며, 국가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식량 안보에 기여 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는 식량 작물 생산량에 직ㆍ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어, 작물 수확량 예측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지 작물의 경우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 문제가 화두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농가들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큰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 예측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농업 분야에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작물 수확량의 정확한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의 노지 작물 수확량 예측 기술(머신러닝, 딥러닝, 하이브리드 모델 등) 현황 및 작물 수확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모델 파라미터 등을 조사하였다.
        4,200원
        6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o measure complex odors needs to store and carry odor samples from the field sampling until the analysis in laboratories. Until the analysis of sample in the laboratory, odor dilution factor (odor sensitivity) in the sample bag may decrease over tim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dor substances. This is one of the limitation for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hus, the air dilution device enable to measure without loss in complex odors of samples. Recently, m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test of on-site air dilution devices, i.e., field olfactometer, has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the feasibility of the field olfactometers. In this study, seven od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odor emission source sites.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olfactometer. A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field olfactometer used in this study is regared as the affordable method. The dilution factors from between two methods showed the similar values, indicating low values of standard deviations.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measurement data using the field olfactometer, methodology minimized variables (that may affect measurement) needs to establish.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