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을 가수분해한 후 발생한 가수분해물 시료의 항비만 효능에 관한 결과이다. 먼저 3T3-L1 세포에 대한 시료의 독성을 테스트하였다. 시료 F10, P10, P30은 세포에 62.5ug/ml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은 ~87.5% 정도로 나타났으며 F30의 경우 세포가 모두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질합성 관여 단백질인 SREBP-1과 FAS에 대한 발현 억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 F10과 F30을 처리 하였을 때 SREBP-1과 FAS의 발현을 가장 잘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T3-L1 지방세포 분화 과정을 Oil Red O staining 방법으로 염색 후 관찰을 진행하였다. 컨트롤과 비교하여 시료 F10, F30, P10과 P30을 처리한 지방 세포들은 모두 세포 분화 억제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시료 F10에서 지방세포 분화 억제가 활발히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료 F10과 F30을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반려동물에 대하여 효과 있는 항비만 사료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는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장에 존재하는 공생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그중 다양한 식물 들을 대상으로 성장 촉진 효과가 보고된 세균을 단일배양 분리하였다. 이 세균은 16S rRNA sequencing을 통하여 Enterobacter roggenkampii로 동정되었다. 우리는 분리된 E. roggenkampii에 대하여 genomic sequencing을 수행하 였고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E. roggenkampii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중 IAA-Asp hydrolase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분리된 E. roggenkampii와 같은 속의 세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API kit와 기질 첨가 배지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향후 IAA-Asp 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잠재적인 식물 생장 촉진 비료 미생물로 등록하여 다양한 작물을 대상으로 생장 촉진 효과를 확인할 것이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는 길앞잡이(Cicindela chinensis)의 장에서 다양한 공생 미생물들을 분리하였다. 그중 다양한 곰팡이 성장 을 억제하는 세균을 동정하였고 “Ch-1”이라 명명하였다. 우리는 Ch-1 균주를 사용하여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 이와 2종 곤충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8종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동시 에, 본 균주의 genomic sequence를 수행하였고 유전적, 생화학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h-1균주는 특허등 록과 친환경 미생물제제로 등록하였고 향후 생물학적 방제제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계 우리나라 연안내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해적조생물 제어는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국가적 현안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Thiazolidinedione 유도체 물질인 GreenTD 농도 구배별로 유해 미세조류 4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과 무해 미세조류 3종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Tetraselmis sp.)에 대해 생물 고밀도 실험군과 저밀도 실험군에서 살조물질 농도별 살조효율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유해종에 속하는 침편모조류 C. marina와 H. akashiwo는 각각 GreenTD 0.5와 0.2 μg L-1 농도에서 단시간에 확실한 효과를 보였으며, 14일 동안의 관찰에서도 재성장을 보이지 않았다. 적조생물 C. polykrikoides은 GreenTD 0.2 μg L-1 이상의 농도에서 광합성활성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살조효율 역시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GreenTD 0.2 μg L-1에서도 C. polykrikoides가 재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물질은 C. polykrikoides에 대한 살조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H. circularisquama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GreenTD 0.5 μg L-1, 저밀도 실험군에서는 GreenTD 0.2 μg L-1 농도에서부터 일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규조류 C. simplex와 Skeletonema sp.에 대해서는 생물농도가 고밀도일 때 GreenTD 0.2 μg L-1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초기 일정한 영향을 받은 후 시간 경과와 더불어 재성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녹조류 Tetraselmis sp.는 최고농도인 GreenTD 1.0 μg L-1에서도 일정하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GreenTD 농도와 생물밀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살조물질의 효과는 침편모조류>와편모조류>규조류>녹조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GreenTD 물질은 유해종에는 높은 살조능력이 있고, 무해종에는 일시적으로 광합성활성에 영향을 주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조생물 C. polykrikoides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80.8%의 살조효과를 보인 GreenTD 0.2 μg L-1의 농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장 적용시 일시적인 희석등을 고려하여 적정농도보다 높게 살포하면 일정하게 높은 살조효율을 가질 것이며, 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물질로 기대된다.
        4,200원
        10.
        201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re currently considering to write a paper on the potential of using U.S. courts to push for U.S. participation in Jeju 4.3 reconciliation,similar to how reopening the Korematsu case tied into a broader reparations movement for the wrongful mass incarceration of Japanese Americans during World War II. For this paper, it plans to include some of the survivor testimony featured in the book Jeju 4.3 Grand Tragedy during ‘peacetime’ Korea: The Asia Pacific Context (1947-2016). The book contains a transcript of survivor testimonies given in Seoul on May 30, 2015. Some of the survivors whose testimony is included in the Jeju 4.3 Grand Tragedy book are petitioning to have their cases reopened. I would like to connect the petition to the importance of U.S. participation in Jeju 4.3 reconciliation. To do this, we would like to specifically incorporate parts of the petitioners’ testimony recorded in the Jeju 4.3 Grand Tragedy book into Hawaii team’s paper. We think including the testimony would powerfully emphasize the continuing need for social healing and would strengthen the argument for U.S. participation. If we can do it collaboratively, we can do a lawsuit or other such action in the US may help draw attention to the case in 2019.
        4,000원
        11.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erations affecting the status of robustness and health can bring about physiological changes including hematological parameters in pigs.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 8 hematological phenotypes (one leukocyte trait, six erythrocyte traits, and one platelet trait), we 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using the Porcine SNP 60K BeadChip in an intercross population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A total of 36,740 SNPs from 816 F2 offspring were analysed for each blood related traits after filtering by quality control. Data were analysed genome-wide rapid association using the mixed model and regression (GRAMMAR) approach. A total of 257 significant SNPs (P<1.36x10-6) on SSC3, 6, 8, 13, and 17 were detected for blood related traits in this study. Interestingly, the genomic region between 17.9 and 130 Mb on SSC8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BC, MCV, and MCH. Our results include 5 significant SNPs within five candidate genes (KIT, IL15, TXK, ARAP2, and ERG) for hematopoiesis. Further validation of these identified SNPs could give valuabl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variation of hematological traits in swine.
        12.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viously, we reported a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that affect total teat number (TTN) on pig chromosome 7 (SSC7) in a large F2 intercross population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fine the QTL associated with TTN and to identify positional candidate gene(s) within the refined genomic region. TTN was recorded in 1,105 F2 progeny.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genotyped using 998 informativ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located on SSC7. A haplotype-based linkage and association analysis using the PHASEBOOK programme was applied to perform high-resolution QTL analysis. Additionally, linear mixed-effect model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a positional candidate gene on TTN and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e., thoracic vertebrae number (THO), carcass body length (CBL) and weight (CW), back fat thickness (BFT)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MF) in loin muscles]. Joint linkage and association analysis refined the critical region to a 1.07 Mb region that included a novel positional candidate gene, BRMS1L, that encodes the breast cancer metastasis-suppressor 1-like protein, which could possibly be implicated in normal mammary gland development. Significant association of an SNP marker (g.-1087 G>A) in the 5’-flanking region of BRMS1L with TTN (P=1.10x10-8), THO (P=5.80x10-4), and CBL (P=0.038) was observed. Based on these data, we propose BRMS1L as a positional candidate gene for TTN in pigs. After validation of the association in other independent populations and further functional stud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 optimizing breeding programmes that improve TTN and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swine
        1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색, 적색(680±20nm), 황색(600 ± 20 nm), 녹색(525 ± 25 nm),청색(400 ± 10 nm), 흑색(365 ± 10 nm) 및 변환(다양한 파장)램프를 가지는 솔라트랩을 잡곡 및 두류포장에서 설치하여 나비목, 노린재목 및 딱정벌레목의 주요 해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잡곡 및 두류포장에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채집된 충수는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의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암청색램프에서 매미충류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해충이 유인되었다. 따라서 암청색램프는 해충의 대량포획뿐만아니라 예찰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솔라트랩의 암청색램프와 페로몬의 조합은 잡곡 및 두류 해충의 포획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 종합관리를 위한 유망한 수단으로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rfenadine (TFN) was a second generation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regulatory effect of H1-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in human cancer cell lines, its effect in oral cancer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focused on address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TFN in human oral cancer cell lines.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TFN were performed by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live/dead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TFN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growth in three different human oral cancer cell lines (MC3, HSC4 and Ca9.22). TFN markedly induced apoptosis through DNA damage and increase in cytotoxicity. It also accumulated cleaved PARP and caspase 3. This process was due to cleavage of caspase 8 and Bid protei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rongly demonstrated that the cleavages of caspase 8 and Bid are required for the apoptotic activity of TFN in human oral cancer cell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FN as a potent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oral cancer.
        4,000원
        20.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duce fermented soy-powder milk (FSP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and to evaluate its anti-obesity activity. Isoflavon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unfermented soy-powder milk (UFSPM) and FSPM and were analyzed via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were assayed. Their anti-obesity activiti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mRNAs associated with adip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ere analyzed via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quantitative PCR (qPCR). FSPM with L. plantarum P1201 increased the isoflavone aglycones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content and produced CLA in soy-powder milk (SPM), both of which possessed bio-activity. Both UFSPM and FSPM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for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FSPM, but not UFSPM, suppresse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reduced their triglyceride content by 23.1% after treatment with 1,000 μg/mL of FSP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can be attributed to CLA and isoflavone aglycones, which targe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down-regulated lipoprotein lipase (LPL), adiponectin,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 CoA carboxylase (ACC) mRNA. Furthermore, FSPM enhanc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glucosidase and pancreatic enzymes and anti-obesity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persists in an in vivo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