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cintillator using organic material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to suit the user’s purpose. A quantum dot (QD)-based scintillator has a number of advantages over commercial scintillators, including emission wavelength control, high-purity emission of a specific wavelength, high photoluminescence efficiency, and good photostability. The organic scintillators doping with various agents into the polymer media to increase scintillation efficiency and to control the emissioning wavelength through energy transfer process. In this study, scintillator enhancement was observed with different QDs material and detection response to gamma and neutron was investigated in energy spectrum. Multishell- structure QDs (CdS/CdZnS/ZnS) were fabricated and utilized to offset the shortcomings of single-shell-structure QDs, and the optical properties and the gamma and neutron detection performance capabili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detection response of the QD-based scintillator confirmed that the neutron/gamma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similar to that of a commercial scintillator. Furthermore, the gamma detection efficiency was improved by 34–38% (in the case of 137Cs) compared to a commercial scintillator. This study is especially notable in that the organic scintillator incorporated with the newly fabricated QDs can be utilized for gamma and neutron detection for the operation and decommissioning various nuclear facilities.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밝은 화색과 안정적인 화형의 생 육이 우수한 빨간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진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 ‘엔드리스러브(Endless Love)’를 모 본으로, 꽃잎수가 많고 안정적으로 가시가 적은 밝은 노란색 ‘페니레인(Penny La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37 개의 교배실생을 양성해 1, 2, 3차에 걸친 특성검정 및 현장실증 을 통해 꽃이 크고 화형이 안정적이며, 재배안정성 및 생산성, 절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D1-390’을 최종 선발하였다. 2023년 ‘루비레드(Ruby Red)’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등록되었다.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R53C)을 가졌으 며, 꽃잎수가 32.8매, 화폭과 화고는 각각 10.9, 5.9cm로 대조 품종보다 크다. 절화장은 평균 71.7cm, 절화수명은 약 16.7일, 수량은 연간 168대/m2로 대조품종인 ‘레드스퀘어(Red Square)’ 대비 절화장이 길고 절화수명도 2배 이상 길며, 수확량도 1.4배 우수하다. 2023년 국내 육성 장미 품종 서울식물원 관람객 대상 공동평가회에서 스탠다드 장미 중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현 장 실증 결과 농가별로 균일하고 우수한 수량과 절화품질을 보 였다. 절화용 장미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과 우수한 화형 을 가지는 품종으로 해외 대체 품종으로 국내에서 많이 재배될 것으로 기대된다.
Hand, foot, and mouth disease (HFMD)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with no specific treatment. Since it is common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under the age of 5,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afe vaccine. Virus-like particles (VLPs) are similar structures to viruses with the lack of genetic material which makes them impossible to replicate and infect, and therefore have a high level of biological safety and are considered to have high value as vaccines. In this study, the insect virus expression system that is widely used for vaccine and drug production due to its high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efficiency, was used to produce VLPs for Coxsackievirus type A6 and A10, which are recently reported to be the main causes of HFMD. For this purpose, the selection of promoters that can control the timing and intensity of expression of 3CD protein, which is essential for VLPs assembly but has been reported to be cytotoxic,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 optimal expression form for HFMD-VLP.
게임플레이는 플레이어가 게임과 상호작용을 진행하면서 게임 상황에 대한 판단과 행동의 일련의 과정의 반복이라고 볼 수 있다. 잘 설계된 게임플레이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게임에 몰입하도록 유도하며, 지속적으 로 몰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RPG에서 게임플레이의 핵심과정중 하나는 몬스터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RPG의 몬스터는 패턴플레이로 구성되어 반복적으로 플레이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지루함 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게임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중 고 레벨 플레이어는 레벨업을 위 해 습득해야 하는 경험치의 양의 증가로 인해 같은 필드에서 같은 몬스터를 오랜 시간동안 플레이하는 것 이 일반적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투자한 시간과 성취욕구 사이에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플레이어의 성장과정에서 몬스터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위계의 설정을 통하여 플레이어의 인지과정에 패턴의 변수를 인식하게 하여 다양한 게임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플로우 (Flow) 과정에서 경험하는 지루함의 요소를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몰입과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Non-destructive estimation of leaf area is a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method than leaf excision. Thus, several models predicting leaf area have been developed for various horticultural crop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estimating the leaf area of strawberry plants.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leaf areas via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leaf lengths and widths of three-compound leaves in five domestic strawberry cultivars (‘Arihyang’, ‘Jukhyang’, ‘Keumsil’, ‘Maehyang’, and ‘Seollhya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the actual and estimated leaf areas varied from 0.923 to 0.973. The R2 value varied for each cultivar; thus, leaf area estimation models must be developed for each cultivar. The leaf areas of the three cultivars ‘Jukhyang’, ‘Seolhyang’, and ‘Maehyang’ could be non-destructively predicted using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as they had R2 values over 0.96. The cultivars ‘Arihyang’ and ‘Geumsil’ had slightly low R2 values, 0.938 and 0.923, respectively. The leaf area estimation model for each cultivar was coded in Python and is provided in this manuscript. The estimation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extensively in other strawberry-related studies.
프리지아 ‘Sunny Gold’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에서 2010년 노랑색 반겹꽃 프리지아 육성계통 ‘036010’을 모본으로 진노란색 홑꽃 ‘Golden Flame’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11년 진노란색 겹꽃의 향기가 강한 프리지아 계통을 선발하여 품종화 하였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개화 생육특성검을 수행하였으며 핵심수요자의 기호도 평가를 통해 선발되어 2017년 ‘Sunny Gold’ 로 명명되었다. ‘Sunny Gold’는 RHS color chart YO17B의 노란색 겹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화폭은 6.7cm로 대조품종 ‘Golden Flame’ 6.1cm에 비해 크고, 분지수는 6.5로 다수확성 품종이다. 초장이 101.9cm로 초세가 강하다. ‘Sunny Gold’의 소화수 및 소화장은 각각 13.0개, 9.3cm이며 개화소요일수는 137.7일이다. 이 품종의 절화수명은 약 9일이며 자구번식력은 5.3배로 대조 품종 ‘Golden Flame’ 4.3배에 비해 우수하다. 전자코를 이용한 PCA분석결과 PC1과 PC2는 각각 99.3%와 0.6%로 전체 변이량의 99.9%를 반영하고 있다. Rader plot 분석결과 총 6개 센서에서 모두 ‘Sunny Gold’의 센서값이 향기가 강한 상용품종 ‘Yvonne’의 값에 비해 높게 나타나 ‘Sunny Gold’의 향기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오리엔탈-트럼펫(OT) 종간잡종나리 ‘Pink Bella’를 개발하였다. 2008년 연노란색 OT 종간잡종나리 ‘Valparadiso’와 붉은색의 오리엔탈나리 ‘Scalini’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과 주 두교배법으로 각 3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 3개의 꼬투리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 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11년 분홍색의 OT 종간잡종 나리 ‘OTO-11-43’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2018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분홍색(RHS, RP62C)의 조기개화성 절화용 OT 종간잡종 나리 ‘Pink Bella’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OT 종간잡종 나리로 초장은 131.7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Pink Bella’의 화폭은 18.6cm이며 대조품종 ‘Table Dance’의 18.4cm와 유사한 크기였으며, 내화피의 폭, 길이 역시 대조품종과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Pink Bella’의 개화기는 6월 15일로 대조품종 ‘Table Dance’의 6월 28일에 비교하여 개화기가 13일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at affect the body weight of chickens. Analysis of body weight showed that the Cornish breed had the highest body weight, and the Korean native chicken (Gray Brown) had the lowest body weight. TSH is composed of an α-subunit and a β-subunit, and the TSH-β gene encoding the β-subunit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obesity. In chickens, it is located on chromosome 26 and i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growth. The calcium-sensing receptor gene (CaSR) plays a role in the regulation of ex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and is responsible for calcium absorption in the urinary tract, which affects the eggshell quality in poultry. It was shown that TSH-β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weight in Cornish and Korean native (Gray Brown) chickens, particularly in those with the CC trait. However, CaSR showed no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in poultry; it was associated with calcium and the eggshell. Thus, selection for TSH-β can be used to produce individuals with more favorable traits in terms of body w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