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G시의 3개학과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 동기에 따라 전공만족도(F=9.856, p<.001) 및 진로성숙도(F=6.005,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점은 진로성숙도(F=2.755, p=.042) 및 취업스트레스(F=3.503, p=.016)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토익점수는 전공만족도(F=4.514, p=.004)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r=-.314, p<.001)와 진로성숙도(r=-.514,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25, p=.007), 진로성숙도(β=-.45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저학년 때부터 학과별 특성에 맞는 전공지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 울금의 품질향상을 위한 시비수준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생리활성물질의 변화를 알아본 결 과 아래와 같다. 가을 울금 정식 70일 후 지상부의 초기생육에서 주당 생체중은 시비수준 2배 처리구에서 131.5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초장 역시 생체중과 같은 결과로 2배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엽면 적 또한 시비수준 2배 처리구에서 가장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식 120일 후 생육 중기와 정식 180일 후 후기 생육에서는 지상부의 생체중, 초장, 엽면적, 총엽수 등의 생육 결과가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양호 해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생육초기의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식 180일째 근경중은 1/2배 처리 58.2g, 1배 처리 142.2g, 2배 처리 95.1g, 4배 처리 79.1g으로 1배 처리에서 1/2배 처리에 비해 약 244%, 4배 처리에 비해 180%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시비수준에 따른 가을 울금 근경의 curcumin의 함량은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curcumin, demethoxycurcumin, bisdemethoxycurcumin의 농도가 유 의성 있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 울금의 curcumin 함량 증가를 위한 시비수준은 1배 처리가 가 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비수준에 따른 근경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2배 처리에서 총 phenol 함량이 11.1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1배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Flavonoid 함량은 1배 처리에서 8.50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4배 처리에서 5.30mg/100g으로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등 유기산은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500원
        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기능성 소득 작물로서의 가치 향상과 재배기술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을 울금의 curcumin 유도체 분리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지표물질에 대한 정량과 정성분석을 하였다. 가을 울금의 근경을 추출하고 column chromatography을 통하여 5종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 물은 1H-NMR과 13C-NMR 분석을 행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HPLC로 정량분석한 결과 주요 화합물은 HPLC에서 화합물 1(curcumin): 13.8분, 화합물 2(demethoxycurcumin): 13.1분, 화합 물 3(bisdemethoxycurcumin): 12.6분, 화합물 4(1-hydroxy-1,7-bis(4-hydroxy-3-methoxypheny1) -6-heptene-3,5 -dione): 8.7분, 화합물 5(dihydrocurcumin): 12.1분에서 각각 나타났다.
        4,000원
        6.
        201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lx3 and Dlx5 are homeobox domain proteins and are well-known regulators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Since possibl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osteogenic and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mesenchymal stem cells exist, we examined the regulatory role of Dlx3 and Dlx5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using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Over-expression of Dlx3 and Dlx5 stimulat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but inhibit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Dlx3 and Dlx5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 genes such as C/EBPα, PPARγ, aP2 and lipoprotein lipase. Adipogenic stimuli suppressed the mRNA levels of Dlx3 and Dlx5, whereas osteogenic stimuli enhanced the expression of Dlx3 and Dlx5 in 3T3-L1 preadip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lx3 and Dlx5 exert a stimulatory effect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adipogenic differ¬entiation as well as direct stimulation.
        4,000원
        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 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양꽃꽂이는 고대에 신에게 헌화한 공화양식으로 좌우대칭의 삼존형식의 엄격한 삼각형의 조형미를 갖추고 있었으며 침봉을 사용하여 꽃을 고정하므로 쉽게 꽂을 수 있었다. 서양꽃꽂이는 이집트시대에 꽃을 연속반복으로 쌓아 올려 원추형의 형태를 이루어 현재 vertical form의 근원으로 보고 있다. 그리이스 시대에는 부드러운 S라인 형식을 주로 사용하였고, 로마시대에는 꽃들의 중심을 풍성하고 화려하게, 갈수록 낮고 가늘며 긴 수평형으로 연결하였다. 페르시아 시대에는 동양의 삼존형식과 비슷한 triangular 조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에 꽃꽂이도 고전의 바탕위에 기본형이 창조되었으며, 19세기말 동양미술의 온화한 색과 단순미, 사실적 묘사 등에 영향을 받아 20세기 미국을 중심으로 양적 mass에서 공간미학까지 꽃꽂이의 영역이 광범위하게 표현되는 art nouveau 시대로 이어졌다. 서양꽃꽂이는 조형성에 기초를 두는 것은 동양꽃꽂이와 같으나 자연성이 거의 무시되고 실용성에 근거를 삼는 것이 특징이다.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정내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시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가정내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 변화에서도 실험집단의 남학생은 통제집단의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여학생도 같은 경향이었다. 따 라서 가정내 식물 가꾸기 활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000원
        1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arative dentine formation requires newly differentiated odontoblast-like cells.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 molecule that stimulates the odontogenic differentiation of precursor cells in the tooth pulp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repair damaged pulp.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N-acetylcysteine (NAC) on the odontogenic differentiation of MDPC-23 cells, a mouse odontoblast-like cell line derived from dental papilla, and primary cultured rat dental papilla cells (RDPCs). NAC (1-30 mM) suppres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MDPC-23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lthough 5 to 20 mM NAC did not alter MDPC-23 cell proliferation, 1 or 30 mM NAC significantly inhibited it. NAC enhanced mineralized nodule 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several odontoblast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s in both RDPCs and MDPC-23. This NAC stimulatory effect was significant, even at concentrations lower than 1 mM. However, NAC did not stimulate express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2, -4, or -7, which are known to enhance odontogenic differentiation. Since reactive oxygen species are also involved in the pulp toxicity of resin-based restorative materi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C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supplementation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in order to enhance reparative dentine formation.
        4,000원
        11.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saewon and Villa D’este were built in the early of 16th and mid-of 16th each. Sosaewon was built based on the accommodation of topography of the surroundings whilst Villa D’este highlights the distinction of terrace and axis exist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s and natures. Both gardens have reflected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in that period of constructing tat the builders had been through. These factors have been analyzed by iconological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inherent meaning of the garden in philosophical, mythological, religious and Feng-shui context and discovered the interconnected relations between two gardens. The characteristic of Sosaewon’s space is based on the Mu-yi-gu-gok, which is derived from a Taoist, due to a builder’s Neo-Confucianism value. Hence Sosaewon contains the adaption of the nature itself based on the values of Mu-yi-gu-gok, which are expressed by visual, auditory and literary elements, brining about the poetic beauty of waiting. The structures of Villa D’este reveal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art whilst it also connotes the theme of ‘The Choice of Hercules’, indicating the builder’s philosophy and will symbolically. Each space of Villa D’este has diverse space for various interpretations followed by this theme. For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Sosaewon and Villa D’este, Sosaewon has adapt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which contain a view of nature, on the other hand, Villa D’este borrow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to build and decorate the garden, using natural terrace and axis for the variation, and drag the river near the garden artificially to fit into the axis of the garden. Villa D’este contains significant mythological and iconological factor intended to highlight the builder’s dignity, status and position.
        1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pplies the results of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Sosaewon and Villa D’este’s constructed areas to the context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contemporary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writer’s own artistic context derived from writer’s own artistic works. This approach intends to develop and apply new forms of garden art and imagification into writer’s own artistic works by mixture and juxtaposition of these whole heterogeneous implications of Sosaewon and Villa D’est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new value in garden art by applying the diverse artistic aspects of Sosaewon and Villa D’este derived from their divers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seeking transition from current standardized garden planning system to compound and fusion system of garden art in the modern times. The study attempts to draw new flow of contemporary garden art. For this, de-constructivism perspective, which contains post-modern cultural characteristic, is applied to examine the Sosaewon and Villa D’este’s hidden but intended factors and spirits by the bui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