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는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육상곤충류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도 엽은 충북 음성군(장호원, 생극 도엽) 및 충주시(동량, 앙성 도엽) 등지에서 각각 2개 도엽씩 구분하여 최소 2계절 이상 포함되도록 2023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24회(도엽당 4회)의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포충 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채어잡기 및 현장확인 등을 통해 기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트랩 조사방법으로는 버킷라 이트트랩을 사용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채집된 곤충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종 수준까지 분류 및 동정 작업 을 수행하여 총 157과 932종 5,235개체의 육상곤충류가 채집·조사되었다. 2017년 수행된 선행조사에서는 62과 235종의 육상곤충류가 확인되었으며 선행 조사 결과와 금번 현지 조사종을 종합하면, 충청북도 음성군 및 충주 시의 나비목은 총 44과 984종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91과 697종이 금번 현지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종이었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은 대량의 병렬 데이터 생산으로 유전체의 염기서열 을 고속으로 분석하는 기술이며, 이 기술은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바이 러스의 전장 유전체가 100kb를 넘을 경우, 동일한 raw data라도 분석 방법 및 소프트웨어 그리고 매개변수 (parameter)에 따라 유전체의 크기와 구조가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유전체가 큰 바이러스 분석 시, 최적화된 NGS 분석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Oryctes rhinocerous nudivirus, 120kb) 유전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Assembly 소프트웨어(metaviralSPAdes, metaSPAdes, velvet, shovill, Geneious, megahit)를 사용하여, 최적화된 NGS 분석 방법을 고안하였다. Assembly 소프트웨어에 따라 바이러스 유전체 크기와 특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sertion&Deletion, repetitive genomic variants)의 차이를 확인하였 다. Assembly 소프트웨어 간의 차이가 있는 염기서열은 Sanger sequencing을 통해 재확인하여, 참조 유전체 (reference sequence)를 구축하였다. 이 참조 유전체를 기반으로 가장 정확한 Assembly 소프트웨어와 parameter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유전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바이러스 유전체를 정확하게 구축 하는 분석 파이프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aragabara is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subfamily Boletobiinae, with six species in the Eastern Palaearctic. In Korea, three species of this genus are known. Konoenko et al. (2010) designated a lectotype for P. flavomacula (Oberthür, 1880) and described a new species, P. curvicornuta. In this study,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Korean P. flavomacula as P. curvicornuta has been corrected. Additionally, one newly recorded species, P. curvicornuta, is reported from Korea. In total, four Paragabara species are recognized in Korea. All available information, images of adults, a checklist, and male and female genitalia, etc., are provided.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직무 역량, 외부 고용 환경에 대한 인식 사이의 상호작용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역량을 측정 하기 위해 인적·사회적 자본을 포함한 이직 자본 개념을 활용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에 걸쳐 수집된 ‘장애인고용패널데이터(PSED)’ 중 임금근로자에 해당하는 1,43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와 가족의 지지 및 대인관계 능력이 이직 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만족도가 낮고, 이직 자본 수준이 높은 임금 근로자의 경우 이직을 결정할 가능성이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적인 사회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이직 자본에 있어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임금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 일자리 에서의 경력이 인적 자본 축적을 통한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에 기여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6,000원
        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마짤름나방아과는 날개편길이 5.5-12mm로 태극나방과 중에서는 크기가 작은 나방에 속한다. 본 아과는 주로 온대구를 포함하여 구북구에 분포한다. 기주식물은 곰팡이, 지의류 등으로 일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생활 사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본 아과의 상위분류군은 밤나방상과로 나비목 중 가장 큰 분류군이다. 각 분류군의 형질을 기준으로 상위분류체계에 많은 변동사항이 있었다. 본 상과에 속한 여러 아과 중 일부 족 수준으 로 강등되어 본 아과에 포함되는 등 분류학적 위치에 많은 혼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꼬마짤름나방아과 및 근연분류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ies Hypenodinae and Boletobiinae has various size with wingspan 5.5-28mm, belonging to the family Erebidae. They are mainly distributed the Palaearctic region, including temperate zone. Host plants of them are known as fungi and lichen etc. Some larvae live with lichen on their bodies. The subfamily belongs to subfamily is the Noctuoidea, containing more than 42,500 species. Accordingly, a unified high-level classification system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different opinions among the researchers and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Recently, Zahiri et al. (2011, 2012) established the taxonomy of the family Erebidae, based on th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As we know, there has been a lot of confusion regarding the taxonomic positions of subfamily with allied taxa according to the complicated upper taxonomic system. Thus,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and discuss the taxonomic history of the groups in this study.
        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수풍뎅이(Trypoxylus dichotomus)는 오래 전부터 애완·학습용으로 활용되는 정서곤충으로 곤충산업의 씨 앗이 되는 중요한 곤충이다. 2012년 청원군에서 처음 장수풍뎅이 유충이 일제히 사망한 사례가 있고 2014년부터 비슷한 증상의 사례가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2015년에는 이러한 원인이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Oryctes rhinoceros nudivirus, OrNV)로 인한 것임이 밝혀졌고 2017년에 raw sequencing data가 NCBI에 공개되었지만 추가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국내 장수풍뎅이에서 분리한 누디바이러스(Trypoxylus dichotomus nudivirus, TdNV-KR)로 명명하고, NCBI로부터 수집한 Malaysia, Solomon Islands, Indonesia, Philippines, Palau strain의 OrNV sequence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TdNV-KR의 genome size는 126,408bp임을 확인하였고 다른 OrNV strain이 비해 가장 적은 open reading frames(ORF)를 가지고 있었으며, 3개의 ORF가 TdNV genome에서만 부재함을 확인했다. 또한, Nudivirus core genes의 아미노산 염기서열 비교에서는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과 indels(insertion/deletion)로 인해 highly conserved 한 OrNV strain의 sequence들에 비해 TdNV의 시퀀스는 많은 변이/차이를 보였다. 우리의 연구는 누디바이러스의 종간 전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바이러스 간의 유연관계 를 확인함으로써 유입 경로를 추정하여 산업곤충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9.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adioactive source terms are important factor in design, licensing and operation of SMR (Small Modular Reactor). In this study, regulator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methodology for normal operation on NuScale SMR, which received standard design certification approval on September 11, 2020 from US NRC, are reviewed.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ystem of nuclear power reactor should be designed to limit radionuclide concentration in effluents and keep radioactive effluents at restricted area boundary ALARA according to 10 CFR 20 and 10 CFR 50 Appendix I. Also, in general, the coolant source term to calculate the off-site radiological consequences for normal operation of SMR should be determined by using models and parameters that are consistent with regulatory guide 1.112, NUREG- 0017 and the guidance provided in ANSI/ANS-18.1-1999, and the result should b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MR. The coolant source term of NuScale, unlike the case of large NPPs, cannot rely solely on empirical source term data, because the NuScale source term is based on first principle physics, operational experience from recent industry, and lessons learned from large PWR operation. Fission products in reactor coolant are conservatively calculated using first principle physics in SCALE Code assuming 60 GWD/MTU. The release of fission products from fuel to primary coolant based on industry operational experience is determined as fuel failure fraction of 0.0066% for normal operation source term and 0.066% for design basis source term while coolant source term of large NPP is calculated by using ANSI/ANS-18.1 for normal operation and fuel failure fraction of 1% for design basis source term. Water activation products in reactor coolant are calculated from first principles physics and corrosion activation products are calculated by utilizing current large PWR operating data (ANSI/ANS 18.1- 1999) and adjusted to NuScale plant parameters. Also, because ANSI/ANS 18.1-1999 is not based on first principle physics models for CRUD generation, buildup, transport, plate-out, or solubility, NuScale has incorporated lessons learned by using ERPI’s primary water chemistry and steam generator guidelines to ensure source term is conservative and design of materials used cobalt reduction philosophy to help ensure the coolant source term are conservative. Based on the coolant source ter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annual releases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from NuScale reactor are evaluated. Currently, Small Modular Reactors such as ARA, SMART 100 are under review for licensing in Korea.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how the reactor coolant system source terms are defined and evaluated for SMR.
        10.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the NUREG-0017 methodology based on realistic model for reactor coolant concentrations are used to estimate the annual radioactive effluent releases for normal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The realistic model to estimate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reactor coolant is formulated as a standard, ANSI/ANS-18.1. This standard has provided a set of the referenc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and adjustment factors for estimating the radioactivity in the principal fluid systems of target plant. Since ANSI/ANS-18.1 was first published in 1976, it was revised in 1984, 1999, 2016, and most recently in 2020.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evision history of assessment methodology of radioactive source term of light water reactors, which is ANSI/ANS-18.1. Assessment methodology of radioactive source term given ANSI/ANS-18.1 is by using radionuclide concentrations for reactor coolant and steam generator fluid of the reference plant and adjustment factors, which is modifying radioactive source term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esign parameters between reference plant and target plant. There are three type of reference plant: PWR with u-tube steam generator, PWR with once-through steam generator, and BWR. This study analyzed for PWR with u-tube steam generator. Although the standard was revised, evaluation methodology and formula of adjustment factor have been retained, but some of items have been revised. First revision item is reduction of the number of radionuclides and decrease of radioactive concentration in reactor coolant. In the 1976 version of the standard, there were 71 target radionuclides, but the target nuclides have reduced to 57 in 1984 and 56 after 1999. In the case of radioactive concentration in reactor coolant, as the version of standard was updated,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of 18 nuclides in 1984, 14 nuclides in 1999, and 25 radionuclides in 2016 was decreased. Most of the radionuclides with decreas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were fission product, it is resulted from improvement of nuclear fuel performance. Second revision item is change of adjustment factors. After the revision in 2016, the adjustment factors for zinc addition plants using natural or depleted zinc are changed. This study analyzed revision history of evaluation methodology of radioactive source term of light water reactors. Furthermor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assessment methodology and revision history for the radioactive source term.
        1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로 성숙도와 진로 결정의 자기효능감이 진로 결정 이후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이 청소년 후기의 진로 발달과 20대 후반의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청년패널조사 (YP)’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08년, 2010년, 2020년에 778명의 응답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 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발달 수준은 고등학교와 대학 재학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향상 되었으며, 대학 시절의 진로발달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진로발달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진입기에 진로발달을 위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즉 노동시장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성인 진입기의 진로발달 프로그램 제공 등이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여성의 진로 는 남성의 경우보다 일-가정 양립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6,100원
        1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과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사용 수준이 노인의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그 어느 때보다 노인의 심리적 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정보사회발전연구원(KISDI)이 2018년과 2020년에 수집한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자존감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노인이 더 많은 인터넷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과 2020년 사이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한 응답자들의 경우, 자존감 수준이 정체되거나 감소한 응답자들에 비하여 자존감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는 독거노인의 경우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심리적인 건강 측면에서도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셜 미디어 활용을 도울 수 있는 노인 대상 사회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사회적 관계 면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과 소셜 미디어 사용이 취약한 노인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700원
        1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제주 해녀들을 대상으로 굴절검사와 안과검사를 수행하여 해녀들의 눈 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잠수작업이 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재 지식잠수를 하고 있는 제주 해녀 33명(66안)에 대상으로 진행한 나안·교정시력검사, 타각적굴절 검사, 안압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빛간섭단층촬영, 시야검사, 망막사진촬영, 빛간섭단층촬영 검사결과는 굴절상 태와 안과질환 병력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검사결과에 대한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 대상자의 굴절상태는 근시(43.9%)와 도난시(56.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질환의 이환율은 군날개 6.1%, 백내장 90.9%, 녹내장 19.7%, 망막질환 33.3%로 나타났다. 이 중 백내장이 있는 사람의 61.7%가 백내장 수술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망막질환은 망막앞막(45.5%), 황반변성(27.3%), 당뇨병성 황반병증(18.2%),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9.1%) 순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해녀경력이 많을수록 백내장(Exp(B)=1.115)과 녹내장(Exp(B)=1.062)이 유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백내 장(Exp(B)=1.220)이 유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녀경력이 많을수록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이 아 닐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Exp(B)=0.943). 결론 : 해녀들의 굴절상태, 난시 종류, 안압, 발병한 안과질환에 대해 기초 자료를 얻었으며, 이를 활용한 제주 해녀들의 눈 건강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1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amendment of Child Welfare Law in 2003,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have been a part of the child welfare system, providing child-care services for families in poverty. In Korea,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overty movement in the 1970s and have been developed as childcare providers for poor children since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identity of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is being threatened as the universal perspective on caring and the public values of caring services are being strengthened. There has raised a controversy around the role of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that provide child-care services for vulnerable families. In addition, the survival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is being threatened due to some issues regarding the content of their program as it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child-care agencies,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ies of government addressing public needs for child-care services,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center employees, and the poor quality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fter that, we discuss the current issues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nd seek alternatives that can settle the problems and respond properly to social changes.
        4,300원
        2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증식당뇨망막병증과 같은 망막질환은 시력상실에 이르게 하는 현대 눈 질환 중 가장 중요한 질환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망막변성과 같은 혈관리모델링을 유발하는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활성화에 대한 4-hydroxynonenal(HNE)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 망막질환은 비정상적 혈관신생의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세포증식과 세포자살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증식당뇨망막병증에 있어 혈관신생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들이 자라나는 복잡한 단계의 현상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와 같은 혈관리모델링을 유발하는데 있어 HNE의 VSMC의 활성화에 대한 역할을 조사하였다. 결과 : HNE는 VSMC에서 nitro oxide(NO)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HNE는 세포구조의 교란과 다양한 산화스 트레스 관련 퇴행과정을 일으킴으로써 혈관기능이상에 이르게 한다. 또한 HNE는 protein kanse B(Akt)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HNE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는 Akt 인산화와 세포증식의 유발에 있어 중재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 HNE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는 망막동맥경화의 발병과 혈관신생과 같은 혈관의 교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HNE의 VSMC 활성화에 대한 역할은 산화스트레스 관련 망막변성에 있어 혈관리모델링의 촉진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