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erging RNA viruses continue to pose serious threats to animal and human health,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broad-spectrum antiviral agents within a One Health framework.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viral potential of Desmodesmus multivariabilis extracts against three representative RNA viruses: influenza A virus (IA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and hepatitis A virus (HAV). Extracts derived from four closely related microalgal isolates were tested using pre- and post-treatment protocols in vitro. Among them, strain ME749 demonstrated the most potent and consistent antiviral activity, with low cytotoxicity and high selectivity index (SI), particularly against IAV (SI = 23.8), followed by PEDV (SI = 10.7) and HAV (SI = 6.2). ME752 also showed moderate antiviral efficacy. RT-qPCR confirmed significant reductions in viral RNA levels for all three viruses, with ME749 achieving up to 3-log₁₀ reduction in IAV and 2.4-log₁₀ reduction in HAV.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viral effect may be mediated through mechanisms beyond direct virucidal activity, potentially involving host immune modulation. Although the active compounds remain unidentified, carotenoids are hypothesized as key bioactive components. This study highlights Desmodesmus multivariabilis, particularly ME749, as a promising source of novel, natural antiviral agents with applications in both veterinary and zoonotic disease control. Future studies including metabolomic profiling, mechanism-of-action analyses, and in vivo validation are warranted to further explore its potential in combating current and emerging RNA virus threats.
목적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장애 학생과 접촉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의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비장애 고등학생(17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관심, 학교생활에서 접촉 경험 등에 관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시각장애 체험 장비를 활용하여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 후 장애체험 관련 설문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1.0을 통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과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 와 관련된 세부 항목들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답자의 학년이 높을수록, 장애 학생과 반에서 함께 생활 경험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 대한 인 식’이 긍정적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응답자의 연령과 학년이 높을수록 시각장애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확인되었고, 장애 학생과 반에서 함께 생활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일 수록 시각장애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였으며 시각장애인과의 접촉 경 험이 적은 학생들에게 시각장애 체험프로그램을 적용 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을 제고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 newly emerging tick-borne disease caused by the SFTS virus (SFTSV), which belongs to the phlebovirus in the Bunyaviridae family. SFTSV is enveloped with a tripartite ambisense RNA genome. The L segment encodes the viral RNA-dependent RNA polymerase, the M segment encodes the two glycoproteins, Gc and Gn, and the S segment encodes the nucleoprotein (NP) and the nonstructural protein (NSs). NP participates in ribonucleoprotein (RNP) packaging and commonly detected early after infection, suggesting that the N protein is possible to be used as a target antigen for early diagnosis of SFTSV infec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a highly immunogenic multi-epitope using GnGc and NP genes from a consensus sequence of SFTSV strain isolated from infected patients in Korea. The selected genes are constructed to the expression vector plasmid pJHL65 and the recombinant plasmid vector was transformed into the Δasd Δlon ΔcpxR Salmonella Typhimurium attenuated strain JOL912 and the expression of these antigens was verified by immunoblotting assay. We observed the significant levels of systemic IgG and mucosal IgM responses against the JOL912-derived antigen in the immunized BALB/c mice. The level of CD3+CD4+, CD3+CD8+ T lymphocyte subpopulation and TNF-α were also highly regulated in splenic T cells re-stimulated in vitro with NP and Gn/Gc multi-epitope selected antigens. Therefore, immunized mice with NP and Gn/GC multi-epitope recombinant proteins of attenuated Salmonella delivery system elicited T cell-related immune response, inducing an effective immune response. In conclusion, the attenuated Salmonella expressing NP-GnGc multi-epitopes could be a novel vaccine candidate against the SFTS virus.
본 조사는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육상곤충류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도 엽은 충북 음성군(장호원, 생극 도엽) 및 충주시(동량, 앙성 도엽) 등지에서 각각 2개 도엽씩 구분하여 최소 2계절 이상 포함되도록 2023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24회(도엽당 4회)의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포충 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채어잡기 및 현장확인 등을 통해 기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트랩 조사방법으로는 버킷라 이트트랩을 사용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채집된 곤충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종 수준까지 분류 및 동정 작업 을 수행하여 총 157과 932종 5,235개체의 육상곤충류가 채집·조사되었다. 2017년 수행된 선행조사에서는 62과 235종의 육상곤충류가 확인되었으며 선행 조사 결과와 금번 현지 조사종을 종합하면, 충청북도 음성군 및 충주 시의 나비목은 총 44과 984종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91과 697종이 금번 현지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종이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은 대량의 병렬 데이터 생산으로 유전체의 염기서열 을 고속으로 분석하는 기술이며, 이 기술은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바이 러스의 전장 유전체가 100kb를 넘을 경우, 동일한 raw data라도 분석 방법 및 소프트웨어 그리고 매개변수 (parameter)에 따라 유전체의 크기와 구조가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유전체가 큰 바이러스 분석 시, 최적화된 NGS 분석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Oryctes rhinocerous nudivirus, 120kb) 유전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Assembly 소프트웨어(metaviralSPAdes, metaSPAdes, velvet, shovill, Geneious, megahit)를 사용하여, 최적화된 NGS 분석 방법을 고안하였다. Assembly 소프트웨어에 따라 바이러스 유전체 크기와 특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sertion&Deletion, repetitive genomic variants)의 차이를 확인하였 다. Assembly 소프트웨어 간의 차이가 있는 염기서열은 Sanger sequencing을 통해 재확인하여, 참조 유전체 (reference sequence)를 구축하였다. 이 참조 유전체를 기반으로 가장 정확한 Assembly 소프트웨어와 parameter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유전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바이러스 유전체를 정확하게 구축 하는 분석 파이프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enus Paragabara is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subfamily Boletobiinae, with six species in the Eastern Palaearctic. In Korea, three species of this genus are known. Konoenko et al. (2010) designated a lectotype for P. flavomacula (Oberthür, 1880) and described a new species, P. curvicornuta. In this study,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Korean P. flavomacula as P. curvicornuta has been corrected. Additionally, one newly recorded species, P. curvicornuta, is reported from Korea. In total, four Paragabara species are recognized in Korea. All available information, images of adults, a checklist, and male and female genitalia, etc., are provided.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직무 역량, 외부 고용 환경에 대한 인식 사이의 상호작용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역량을 측정 하기 위해 인적·사회적 자본을 포함한 이직 자본 개념을 활용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에 걸쳐 수집된 ‘장애인고용패널데이터(PSED)’ 중 임금근로자에 해당하는 1,43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와 가족의 지지 및 대인관계 능력이 이직 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만족도가 낮고, 이직 자본 수준이 높은 임금 근로자의 경우 이직을 결정할 가능성이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적인 사회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이직 자본에 있어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임금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 일자리 에서의 경력이 인적 자본 축적을 통한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에 기여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꼬마짤름나방아과는 날개편길이 5.5-12mm로 태극나방과 중에서는 크기가 작은 나방에 속한다. 본 아과는 주로 온대구를 포함하여 구북구에 분포한다. 기주식물은 곰팡이, 지의류 등으로 일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생활 사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본 아과의 상위분류군은 밤나방상과로 나비목 중 가장 큰 분류군이다. 각 분류군의 형질을 기준으로 상위분류체계에 많은 변동사항이 있었다. 본 상과에 속한 여러 아과 중 일부 족 수준으 로 강등되어 본 아과에 포함되는 등 분류학적 위치에 많은 혼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꼬마짤름나방아과 및 근연분류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The subfamilies Hypenodinae and Boletobiinae has various size with wingspan 5.5-28mm, belonging to the family Erebidae. They are mainly distributed the Palaearctic region, including temperate zone. Host plants of them are known as fungi and lichen etc. Some larvae live with lichen on their bodies. The subfamily belongs to subfamily is the Noctuoidea, containing more than 42,500 species. Accordingly, a unified high-level classification system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different opinions among the researchers and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Recently, Zahiri et al. (2011, 2012) established the taxonomy of the family Erebidae, based on th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As we know, there has been a lot of confusion regarding the taxonomic positions of subfamily with allied taxa according to the complicated upper taxonomic system. Thus,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and discuss the taxonomic history of the groups in this study.
장수풍뎅이(Trypoxylus dichotomus)는 오래 전부터 애완·학습용으로 활용되는 정서곤충으로 곤충산업의 씨 앗이 되는 중요한 곤충이다. 2012년 청원군에서 처음 장수풍뎅이 유충이 일제히 사망한 사례가 있고 2014년부터 비슷한 증상의 사례가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2015년에는 이러한 원인이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Oryctes rhinoceros nudivirus, OrNV)로 인한 것임이 밝혀졌고 2017년에 raw sequencing data가 NCBI에 공개되었지만 추가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국내 장수풍뎅이에서 분리한 누디바이러스(Trypoxylus dichotomus nudivirus, TdNV-KR)로 명명하고, NCBI로부터 수집한 Malaysia, Solomon Islands, Indonesia, Philippines, Palau strain의 OrNV sequence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TdNV-KR의 genome size는 126,408bp임을 확인하였고 다른 OrNV strain이 비해 가장 적은 open reading frames(ORF)를 가지고 있었으며, 3개의 ORF가 TdNV genome에서만 부재함을 확인했다. 또한, Nudivirus core genes의 아미노산 염기서열 비교에서는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과 indels(insertion/deletion)로 인해 highly conserved 한 OrNV strain의 sequence들에 비해 TdNV의 시퀀스는 많은 변이/차이를 보였다. 우리의 연구는 누디바이러스의 종간 전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바이러스 간의 유연관계 를 확인함으로써 유입 경로를 추정하여 산업곤충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 성숙도와 진로 결정의 자기효능감이 진로 결정 이후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이 청소년 후기의 진로 발달과 20대 후반의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청년패널조사 (YP)’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08년, 2010년, 2020년에 778명의 응답자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 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발달 수준은 고등학교와 대학 재학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향상 되었으며, 대학 시절의 진로발달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진로발달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진입기에 진로발달을 위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즉 노동시장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성인 진입기의 진로발달 프로그램 제공 등이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여성의 진로 는 남성의 경우보다 일-가정 양립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과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사용 수준이 노인의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그 어느 때보다 노인의 심리적 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정보사회발전연구원(KISDI)이 2018년과 2020년에 수집한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자존감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노인이 더 많은 인터넷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과 2020년 사이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한 응답자들의 경우, 자존감 수준이 정체되거나 감소한 응답자들에 비하여 자존감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는 독거노인의 경우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심리적인 건강 측면에서도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셜 미디어 활용을 도울 수 있는 노인 대상 사회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사회적 관계 면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과 소셜 미디어 사용이 취약한 노인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