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2010 to 2012, this study conducted to survey occurrence of quarantine diseases occurrence on cultivation, harvest period of grapevine, and sorting places for export grapevine in export complex areas(domestic vs. export; Hwaseong in Gyeonggii, Sangju and Yeongcheon in Kyeongbuk, Namwon in Jeonbuk and Yeongdong in Chungbuk). Diagnosed diseases in this study were gray mold by Botrytis cinerea, blact rot by Botryosphaeria dothidea, anthracnose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ird,s eye rot by Elsinoe ampelina, Phomopsis cane by Phomopsis viticola, downy mildew by Plasmopara viticol, leaf blight by Pseudocercospora vitis, and powdery mildew by Uncinula necator. The leaf blight disease incidence and severity showed the highest infection rate in all surveyed fields. Occurrence rate of investigated all diseas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farmer and occurrence rate of disease was lower in export farms than that of domestic sale farms. Disease infested grapes were eliminated during selection process and ratio of removed the infection fruit is relatively well-performed in export facilities than domestic packing facilities.
        4,2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좀나방(Morophagoides moriutii)은 최근 버섯 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유충이 골목이나 종균, 자실체를 직접 가해하여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상품성을 저하 시킨다. 표고버섯좀나방의 환경 친화적 방제에 이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토양에서 탐 색된 토착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접종 농도별 병원성, 침입수, 증식수를 표고 버섯좀나방의 령기에 따라 조사하였다. 선충의 표고버섯 좀나방에 대한 병원성은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표고버섯좀나방 2령충, 3령충에서 유충 한 마리당 선충 감염태 유충(3령충) 80마리 접종부터 100%의 높은 병원 성을 나타내었고, 표고버섯좀나방 4령충은 한 마리당 선 충 감염태 유충 40마리 접종부터 100%의 치사율을 나타 내었다. 선충의 표고버섯좀나방 유충 체내로의 침입수는 접종 농도와 령기가 높을수록 선충의 침입수도 증가 하였 다. 선충 감염태 유충 5마리 농도 처리에서는 2령충 1.3마 리, 3령충 1.7마리, 4령충 1.8마리 였으나, 160마리 농도 처리에서 2령충 12.3마리, 3령충 21.1마리, 4령충 22.5마 리로 조사 되었다. 끝으로 표고버섯좀나방 유충 한 마리 당 침입한 선충의 증식수는 같은 령기에서는 선충의 접종 농도가 많아질수록 증식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표고버섯 좀나방의 령기에 따라 선충 증식수의 차이는 많았는데, 선충 감염태 유충 160마리 처리농도에서는 각각 표고버 섯좀나방 2령충이 6,335마리, 3령충이 21,660마리, 4령충 이 88,700마리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토착 곤충병원성 선 충 S. carpocapsae GSN1 계통은 표고버섯좀나방의 생물 적 방제를 위한 방제제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농약 시설재배 오이에서 잎, 꽃 및 과실을 가해하던 응애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오이긴털가루응애(Tyrophagus neiswanderi)로 동정되었 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분류학상 응애목(Acarina) 가루응애과(Astigmat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는 유백색의 계란형을 띄고 체장은 490.1㎛, 체 폭은 288.1㎛의 매우 작은 응애이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잎, 꽃, 과실에 모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증상은 정식 초기 유묘의 경우 신초가 수축되면서 연노란색으로 탈색이 되고, 심하면 신초가 멎는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오이가 생육을 하는 과정에서 잎이 피해를 받으면 처음에는 오이 잎에 흰색의 반점이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점에 구멍이 나고 찢어진다. 꽃에서도 흰색 반점과 찢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실에서는 어린 과실일 때 피해를 받으면 과실의 비대가 저해되거나 기형과가 나타나며, 과실이 비대하더라도 코르크증상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4,000원
        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 수출단지(경기 화성, 경북 상주와 영천, 전북 남원, 충북 영동)를 중심으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 재에 의한 피해의 지역적 분포와 수출농가와 일반농가 간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하였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의한 포도 피해는 조사한 62개 과원 모두에서 나타났고, 피해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지역 내에서도 농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내수용 포도를 생산하는 과 원에 비하여 수출용 포도를 생산하는 농가의 피해율이 낮았으며 피해신초율과 피해엽율은 높은 상관관 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는 15종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는데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우점종이었다. 끈 끈이트랩에 유인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밀도도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수출과원이 내수과원 에 비하여 밀도가 낮았다. 포도과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는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끈끈이트랩에 채집되었다.
        4,200원
        5.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포도수출단지(경기 화성, 경북 상주와 영천, 전북 남원, 충북 영동)에서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의 일환으로 애매미충에 의한 포도 피해의 지역적 차이와 수출농가와 내수농가의 발생량 차이를 조사하였다. 애매미충에 의한 포도 잎 피해는 2010년에만 확인되었는데 지역과 농가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애매미충에 의한 피해엽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끈끈이트랩에는 채집이 되었다. 2011년 영천지역에서는 검은볼애매미충이 우점 하였고, 영동지역에서는 이슬애매미충이 우점 하였다. 2012년 조사에서는 이슬애매미충과 이마점애매미충, 검은볼애매미충이 채집되었는데 조사지역이나 과원의 관리형태(수출과원과 내수과원)에 따라 밀도에 차이가 있었다. 모든 조사지역에 서 이슬애매미충이 우점 하였고, 수출과원에 비하여 내수과원의 밀도가 높았으나 채집 개체 수는 트랩당 2마리 내외로 낮았다.
        4,000원
        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pale plant bug, Apolygus spinolae was one of the main insect pests that damaged leaves and fruit in grapes and its damage status was firstly reported in 2000 in grape orchar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ce in damage rate depending in management type of grapevine orchards (domestic sale farm vs export farm) in the export complex area of Korea (Hwangsung in Gyeonggii, Sangju and Yeongcheon in Gyeongbuk, Namwon in Junbuk and Yeongdong in Chungbuk) from 2010 to 2012. Damage by A. spinolae occurred in all 62 survey farms and damage rate differed depending on locality and individual farms in the same area. Damage rate was lower in export farms than in domestic sale farms, and damage rate of leav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damage rate of new shoots. 15 species of hemipteran insect were attracted to sticky traps and A. spinolae was the dominant species. The attracted number of A. spinolae in the sticky traps differed depending on locality, and more occurred in domestic sale farms than expert farms. A. spinolae was continually attracted to sticky traps in the harvest period in grapevine orchards.
        7.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port is a part of research on pests occurring in grapevine orchards in export complexes (Hwangsung in Gyeonggi, Sangju and Yeongcheon in Gyeongbuk, Namwon in Junbuk and Yeongdong in Chungbuk) from 2010 to 201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ce in damage rates depending on management types of grapevine orchards (domestic sale farm vs. export farm). Damage by Arbordia spp. occurred only in 2010 and differed depending on localities and individual farms in the same area. Numbers of orchards damaged by Arbordia spp. were one, two and four in Hwasung, Namwon and Sangju, respectively, and the damage rate was below 6.2%. There was no damage in the orchards in 2011 and 2012, however, Arbordia spp. were collected on sticky traps in the orchards. A. nigrigena and A. kakogawana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Yeongcheon and Yeongdong, respectively, in 2011. A. kakogawana, A. maculifrons and A. nigrigena were collected on sticky traps in 2012. Collected numbers of Arbordia spp. were different depending on localities and management types of the orchards (domestic sale vs. export). A. kakogawana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ll the survey sites and the densities were higher in the domestic sale farms than in the export farms.
        8.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nscription factor,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 act as immediate early response genes to control various cellular and reproductive events. Egr1-deficient female mice show infertility by anovulation resulting from luteinizing hormone-β (LH-β) subunit deficiency. While ovulati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normally occur in Egr1-deficient mice treated with a superovulation regime to rescue LH deficiency, embryo implantation was completely failed. Th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uterine tissues were observed by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uring the peri-implantation period in Egr1-deficient mice. To examine alterations in cellular organelles, the uterine horns were fixed with 2.5% glutaraldehyde and postfixed with 1% osmium tetroxide in PBS. After dehydration and infiltration, the samples were embedded in Epon 812. Semi-thin sections 0.5 μm thick were cut with an ultramicrotome and stained with toluidine blue for light microscopy. Thin sections were cut with a diamond knife of the ultramicrotome and placed on copper grids. The sections were double stained and examined unde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height of luminal epithelial cells was decreased and the polarity was poorly differentiated in the Egr1-deficient comparing to the wild mice. The abundant mucinous materials were observed in the surface of luminal epithelial cells of the Egr1-deficient. It was confirmed the microarray and real time qPCR data. The luminal epithelial cells of wild mice had many dense lipophilic granules and healthy mitochondria, but not in the Egr1-deficient. It may related to production and secretion of steroid hormones and prostaglandins in the luminal epithelial cells for successful implant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Egr1 is a critical transcription factor to fine-tune subcellular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nges for the receptive phase of peri-implantation period of uterine tissue in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