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

        18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 of fourteen push-off tests to understand shear transfer between UHPC and normal concrete. To recommend a reliable shear transfer formula for the design of composite section of UHPC and normal concrete,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to available shear transfer formulas for UHPC and normal concrete.
        18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iscusses on the durability of developed high-performance shotcrete for Bobsleigh track construction in 2018 Pyongchang winter Olympic Game, concentrating on strength development, rapid chloride permeability, surface scaling, freeze-thaw resistance, and dry shrinkage
        18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Weigh-In-Mot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precision and durability. As a result, the overall measurement error has been distributed in the range of 5 % for total weight and axle weight of vehicle.
        18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steel. For this study, the hysteretic behavior and deformation shape of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with SM570TMC was investigat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SYS. The displacement analysis of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fying procedures of current korean building code(KBC2009).
        18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rder type and slab type modular bridges require using UHSC(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high performance mortar to connect each girder and slab modules at joint part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mock-up tests on the properties of UHSC and high performance mortar for modular bridge
        18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KS F 2405 was used to investig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roper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HPC) using the fly ash and silica fum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silica fume-binder ratio from 5% (SF5) and fly ash 25%+silica fume 5% (FA25SF5).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PC determined on 7days and 28days.
        18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ddresses the tensile strength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fly-ash, silica fume. Test variables of this study is replacement ratio of admixture. Test results showed that 7 days tensile strength of specimen SF5 i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FA25SF5. However, 28 days tensile strength of specimen SF5 and FA25SF5 had similar value.
        188.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PFRCC)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steel fiber were investigated namely as twisted fiber, hooked fiber, smooth fiber (0.2 mm) and smooth fiber (0.3 mm).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HPFRCC changes with type and diameter of steel fiber.
        189.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제 교량의 바닥판에 적용할 목적으로 섬유의 길이 및 혼입량을 달리한 두 가지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를 고려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 두 재료의 균열저항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두 재료에 대한 휨인장 파괴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으로부터 얻은 하중-균열개구변위 관계를 최적으로 모사하는 인장응력-균열개구 관계를 역해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역해석결과 13 mm 길이의 섬유를 2% 함유한 UHPCC는 16.3 mm와 19.5 mm 길이의 섬유를 각각 0.5%와 1.0% 함유한 UHPCC에 비해 파괴에너지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열을 보다 분산시키고 균열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길이가 긴 두 종류의 섬유를 혼용한 UHPC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190.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많은 연구에서 시간에 대한 회귀 분석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화물량을 수화도 및 공극률의 함수로 가정하였으며, 재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공극률을 이용하여 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간에 대한 회귀분석없이 공극률의 감소만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총 21개의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에 대해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 해석프로그램인 DUCOM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극률을 도출하였으며, 강도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OPC 콘크리트에 대해서 수화도, 단위시멘트량, 공극률의 함수로 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GGBFS 및 FA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장기강도 영향을 구현하기 위해 공극률을 고려한 장기강도변수를 도입하였다. 기존의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강도예측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191.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astici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replacement blast furnace slag. Experimental variables of this study are modulus(100×100mm, 150×150mm). And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equations.
        192.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KS F 2438 was used to investigated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HPC) of replacement fly ash, and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equations. Korea, America and Japan have to use cylinder specimens by KCI(2011). However, in this study was used cubic specimens and the experimental variable of this study is size of cubic specimens.
        19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heck the serviceability of K-UHPC structures, we need the guideline for the allowed crack width in various environment. To setup the guideline, direct tensile test of reinforced K-UHPC tensile members was implemented. The test results show very small crack width, and the allowed values for the ordinary concrete can be used for K-UHPC structures.
        194.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used cement mix-materials, blast furnace slag. Experimental variables of this study are replacement ratio of blast furnace slag.
        195.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high performance FRP material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LBCJ-CRU, CRS, CRUS)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30~1.54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196.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근 밀집 감소, 노무비 및 보수 보강비 절약, 향상된 부식 저항성, 공기 단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고성능 철근으로 휨 보강된 이방향 슬래브를 제작하고 구조실험을 실시하였다. 상부 휨철근비, 기둥 인접부 휨철근의 집중배근,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타설을 변수로 하여 실험하였고, 펀칭 전단강도 및 균열후 강성을 일반 철근 및 GFRP bar로 휨 보강된 슬래브의 펀칭 전단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휨철근의 변형률 분포 및 균열제어 효과 등을 비교, 분석하였고, 휨철근비 계산을 위한 유효폭 산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고성능 철근의 사용으로 펀칭 전단강도가 향상되었고, 휨 철근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기둥 인접부 휨철근의 집중배근을 통해 철근비의 감소 때문에 작아진 강성을 회복시킬 수 있었고, 훌륭한 변형률 분포 및 균열제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둥 인접부에 대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타설은 펀칭 전단강도의 증가와 균열 제어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휨철근비 산정을 위한 유효폭은 기둥면으로부터 슬래브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197.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UHPCC)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강섬유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일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의 경향과 비교․검토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압축강도에 대해 UHPCC에서의 섬유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일반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처럼 섬유보강에 따른 압축강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는 압축강도 100MPa 이하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들과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범위의 압축강도에 대해 압축강도에 관계없이 와 이 일정한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UHPCC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압축강도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포괄적 섬유보강효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19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설현장에서 노동집약적 공정과정인 거푸집공정을 개선하고자 비탈형 영구거푸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영구거푸집의 경우, 그 크기 및 성능 등에 있어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개발된 고성능 영구 거푸집(HPPF)이 적용된 구조물의 현장적용성 분석에 대한 연구로써, 기 실험된 HPPF의 재료 및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해석적 접근을 수행하였다. 대상 구조물로는 HPPF 재료특성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벽체 구조물을 선정하였으며,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회 최대 타설높이를 분석한 후, 이를 실제 벽체설계에 적용하여 HPPF 적용단면의 현장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콘크리트만으로 제작된 벽체구조물에 비해, HPPF의 추가적인 성능향상 효과로 인해 기존 콘크리트 벽체구조물 대비 콘크리트 및 철근량의 절감효과는 물론, 장기적으로 HPPF 적용 고내구성 벽체 구조물에 의한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확보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발된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모의부재 시험체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기초적 물성과 수축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실험연구 결과, 콘크리트의 배합특성으로 제안 배합은 목표 슬럼프플로우 및 목표 공기량을 만족하기 위해 SP제량 증가, AE제량 감소의 배합보정이 필요하였다. 응결시간은 제안 배합이 8시간 정도 빠르게 나타났으며,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60MPa 이상의 고강도로 나타냈다. 수축특성으로 제안 배합 자기수축의 경우 플레인 배합 자기수축에 비해 50% 정도 저감되었고, 제안 배합의 중심부 건조수축은 수분발산이 없는 것에 기인하여 자기수축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표면부는 크게 수축하였다. 단, 철근배근 시험체인 경우는 철근구속에 의해 내부 및 표면의 수축량이 작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