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0

        181.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ricidal potency of some essential oils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of house dust mites. But it is more effective keeping the house dust mites away than killing them because they remain as allergens even after death. The most efficient repellent concentration of lavender and tea tree in 10㎕ against house dust mites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ere experimented by direct contact bioassay method at various doses ; 2.5, 1.25, 0.625, and 0.3125% and at vairous exposure times ; 15, 30, 60, 120, and 180 minutes. The most effective dose of essential oils (lavender and tea tree) against house dust were 0.625% and the repellent effectiveness at the mowt effective dose of 0.625% were 95.6% for lavander and 96.2% for tea tre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vender and tee tree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control of house dust mites.
        4,000원
        182.
        2008.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use dust mite of the indoor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allergic asthma and rhinitis. It has been known that more than 70% of Korean children and about 50% of adult with the respiratory allergy are sensitive to house dust mit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HCHO)/PM10 and the number of house dust mite in the indoor environment. In this study, sampling sites were education, social and dwelling facilities. We inquire the questionnaire of the resident on the indoor air quality in all sampling sites. At the same time,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 yde(HCHO)/PM10 as well as house dust mites. it was complained by 20% respondents that the indoor air quality was bad and by 10% that the atopy symptom was evident. When a certain amount of house dust mites were detected, the contents of PM10 were observed high and that of HCHO low. However when the house dust mites were not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PM10 was low and that of HCHO high. From our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indoor air quality (i.e. conc. of PM10/HCHO) is quite related to the contents of house dust mites supporting the fact that the symptom of atopy and asthma is due to these small organisms.
        4,000원
        183.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secticidal potency of some essential oil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y may find an application in the control of house dust mites. We compared the repellent effect of four essential oils ; lemon grass (Cymbopogon nardus), lavender(Lavandula vera),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and ylang ylang(Cananga odorata). The oils were exposed at different doses(0.1, 0.05, 0.025, 0.0125, and 0.00652 ㎕/㎠) and different times(1, 2, 3, 4, 5 hours) on house dust mites(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The repellent effects(%) of essential oils that were exposed at 0.1 ㎕/㎠ and for 1 hours against house dust mites were lemon grass(63.3%) and rosemary(61%), lavender(40%), ylang ylang(40%) in the order named.
        4,000원
        185.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시료는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10개 중 고등학교에서 채취하였다. 교실 내의 칠판 위, 전등 반사판 위, 게시판 위, 물품장 위에 쌓인 분진 등의 먼지와 창틀 밖 난간 등에 쌓인 먼지시료, 그리고 운동장에서 총 45개의 시료를 채취했다. 채취한 먼지 시료를 Thompson and Wood(1982)의 방법으로 화학처리 한 후 Cd, Co, Cr, Cu, Ni, Pb, Zn, Mn 등 8개의 원소를 정량 분석했다. 교실 내 먼지 시료 중에 Cd, Cu, Pb, Zn 등의 중금속 함량이 높았다. 또한 교실 외 먼지 시료 중에는 Cu, Ni, Pb, Zn의 함량이 높았다. 먼지 시료 중 Cd(4.6 ppm), Cu(124 ppm), 그리고 Zn(350 ppm) 농도는 세계 평균 지표 토양과 환경오염기준 보다 매우 높다. 이러한 경우는 전주시 중 고등학교의 먼지 시료 분석과 유사하다. 국내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교실 내 외 환경은 Cu, Zn을 제외하고 농축이 심하다. 운동장 환경은 전주시의 교통량이 많은 주거 도로와 주 도로변, 운동장에 있는 먼지 중의 중금속 함량 보다 낮았다. 운동장 먼지 시료에서 오염지수가 1.0 이상인 중금속 오염은 1개 학교에서 나타났지만 교실 내 외 먼지 시료에서 오염지수가 1.0 이상인 중금속 오염은 7개 학교에서 나타났다. 산업화가 덜 된 농촌 지역의 학교라 할지라도 교실 내에는 중금속의 오염양상이 도시 지역의 학교와 같았다. 이는 교통량의 상대적 차이나 산업화의 정도와 관계없이 실내에서 중금속 오염이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8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지역에서 PM10 과 PM2.5중의 금속 성분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조사하였다. PM10의 평균농도는 58.2μg/m3 농도범위는 8.3~161.1μg/m3이었으며, PM2.5의 평균농도는 29.3μg/m3, 농도범위는 2.8~65.3μg/m3였다. PM10의 평균 질량농도는 황사시 121.5μg/m3, 비황사시 56.0μg/m3로 나타났다. 10 이상의 지각농축계수를 보인 성분은 Cd, Cr, Cu, Ni, Pb 및 Zn로서 인위적기원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PM10과 PM2.5 중 미량금속 성분의 지각농축계수는 황사시보다 비황사시에 높게 나타났으며, 인근의 공단지역으로부터 인위적 오염물질이 수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PM10과 PM2.5의 토양입자의 평균 기여율은 각각 15.2%와17.5%였다. 토양기여율의 황사/비황사비는 PM10과 PM2.5에서 각각 1.9와 2.1로 나타났다.
        4,200원
        187.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역 강하먼지의 조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구병형 Dust jar를 사용하여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년간 낙동강 하류역의 5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강하먼지에 함유된 불용성 성분(Al, Ca, Cd, Cr, Cu, Fe, K, Mg, Mn, Na, Ni, Pb, Si, V, Zn) 및 수용성 성분(Cl-, NO3-, SO42-, NH4+, Ca2+, K+, MG2+)들은 ICP/AES, AAS, IC 및 UV를 이용하여 정량하었다. 성분에 대한 지각농축계수를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인위적인 오염원인 Cd, Cu, Pb, Zn에서 10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Pb는 감전동, 원동, 신라대, 삼랑진 및 물금 지점 순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절별 토양입자의 기여율은 겨울철에 16.3 %로서 가장 높았으며, 1년간 평균 기여율은 11.2%이었다. 계절별[SO42-/NO3-] 당량비는 겨울철(5.12)이 가장 높았고, 가을철(3.30)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신라대, 감전동, 물금, 원동 및 삼랑진 순으로, 특히 도심에 인접한 지점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당량비는 4.28이었다. 총 강하먼지에 대한 수용성 이온성분의 총 침적량의 비율은 봄철(71.6%), 여름(61.2%), 가을(49.2%) 및 겨울철(48.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은 57.6%이었다. 해염입자의 지역별 기여율 분포는 신라대(34.5%), 감전동(28.3%), 원동(17.3%), 삼랑진(17.2%) 및 물금(13.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기여율은 22.1%로 나타났다.
        4,800원
        19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인 벼먼지응애(신칭, Steneotarsonemus spinki Smiely 1967)는 쌀생산국인 태국, 필리핀, 중국, 대만 등에서 쌀의 중요한 해충이다. S. spinki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경조절온실에서 재배중인 쌀에서 발견되었다. 응애 피해를 입은 쌀은 이삭에서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잎집내부 표면의 갈변증상, 쌀알의 표면 갈변증상 등을 나타내었다. S. spinki암컷의 체장은 263.0(246.5~12.2), 체폭은(79.5~7.6)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으로 중앙부위가 가장 폭이 넓었다. 채색은 연한 황색이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암컷 제4각 끝은 채찍모양의 강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먼지응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수컷 체장은 196.5(176.5~222.815.8), 체폭은 109.3 98.6~6.4)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길쭉하고 전동체부 중앙부가 가장 체폭이 넓었다. 내돌기 III은 내돌기 IV보다 전방으로 신장되어 있었다. 제4각퇴절은 커다란 안쪽귀가 발달되어 있었으며 안쪽 및 바깥쪽 강모는 같은 길이로 짧게 잘 발달되어 있었다. 부절 발톱은 강하고 복부쪽으로 굽어 있었다
        4,000원
        19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먼지응애가 고추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고추 유모에 암컷을 접종 실험하였다. 차먼지응애 암컷을 각각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10주후의 고추 생장율이 각각 264, 256, 177%로 무처리 337%에 비해 현저한 생육감소를 나타내었다. 총수량은 무처리 1,197.5kg/10a에 비해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각각 443.9, 230.5, 103.4kg/10a로 현저히 낮았다. 고추에서 Dicofol EC, Chinomethionat WP, Pyridaben WP, Pyraclofos WP 등 4개 약제를 대상으로 한 방제시험 결과 4개 약제 모두 처리 17일 후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의 국내에서 고추의 차먼지응애 발생보고를 종합하면 전국적으로 온실에서 10월부터 3월 사이에 주로 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에 따라서는 5월 하순에도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94.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지역을 대상으로 길쭉먼지벌레류 4종에 대한 고도별, 계절별 분포 및 이동상황을 조사해본 결과 P. ishikawai 가 가장 많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대분분 종들에서 6월은 저고도에서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8월에는 높은 고도에서 많이 채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9월에서는 6월과 마찬가지로 저고도에서 다소 많은 양이 채집되었다. 조사된 길쭉먼지벌레류 4종중에서 P. audax가 전형적인 곤충의 계절별, 고도별 이동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5.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韓國産) 길쭉먼지벌레족(族)을 대상으로 "NC"값을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성적(定性的) 형태형질(形態形質)을 근거(根據)로 표현론적(表現論的) 수리분류방식(數理分類方式)을 이용(利用)한 군분석(群分析)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 비록 일부 종(種)에서는 전통분류(傳統分類) 결과(結果)와 다소 일치(一致)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 경험적(經驗的) 분류(分類)와 유사(類似)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부분 종(種)들이 기대(期待)한 속(屬) 또는 아속(亞屬)내에 분포(分布)하였다.
        4,600원
        196.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길쭉먼지벌레속을 정리하던중 Pterostichus 아속에서 Pterostichus peninsularis sp. nov. 의 1신종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 보고한다. 따라서 한국산은 모두 2종이된다. 그리고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및 분포 기록등을 작성하였다.
        3,000원
        197.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길쭉먼지벌레속을 정리하던중 Feroperis아속의 Pterostichus rasilis sp. nov.와 P. probus sp. nov. 등 3신종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보고한다. 따라서 한국산은 모두 4종이 된다. 그리고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및 분포기록 등을 작성하였다.
        4,000원
        19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목류 및 관상수에 기생하는 먼지응애류에 대한 1993년도 조사 중 국내미기록종 Tarsonemus속 4종이 동정되었다. Tarsonemus bilobatus Suski, 1965. T. evodiae Ito, 1964, T. smithi Ewing, 1939, T. takaoensis Ito, 1964 등 4종의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보고한다.
        4,000원
        199.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 survey of mites associated with ornamental trees in 1992 and 1993m five Tarsonemus species unrecorded inKorea were identified. They are Tarsonemus confu년 Ewing, 1939, T. occidentalis Ewing, 1939, T. sasai Ito, 1962, T. scaurus Ewing, 1939, and T. waitei Banks, 19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st rabges of these species are reported
        4,000원
        20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 중 농업상 가장 중요한 씨크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와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의 분류 및 형태적 특징에 관하여 기재하였고 각 종별로 암, 수컷의 복면 및 배면의 특징을 도판으로 나타내었다. 씨크라멘먼지응애는 경기도 고양의 팔손이에서 채집되었으며 차먼지응애는 고추, 아잘리아, 아프리카 봉선화, 낙상홍, 물푸레나무등에서 채집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