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83.
        199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pational therapists often employ multidimensional tasks. These tasks, referred with necessary exercise, yet direct the focus of attention toward another objective or outcome. The assumption is that the additional purpose will result in improved task per- formance, provided it is sufficiently distracting or meaningful to the person. The pres- 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added purpose task on performance compared with a single-purpose task, namely rote exercise, as measured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task duration, and exercise heart rate. Stoppage during the activity was also recorded. Thirty-nine elderly subjects performed both added purpose activity and rote exercise in randomly assigned orde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ed-purpose, occupationally em- bedded exercise condition elicited significantly more exercise repetitions(p=.001), and longer task duration than did the rote exercise condition (p=.000).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concept of embedding exer- cise within occupation.
        4,000원
        18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조증가하중을 받는 평면골조의 비탄성해석을 위하여 개발된 기존의 직접해석법을 확장하여 반복하중에 적용하였다. 직접해석법을 위한 골조요소로서 비탄성 트러스와 비탄성 보요소의 두 가지 요소가 개발되었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기존의 Step-by-step 해석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기존의 Step-by-step 해석은 하중증분의 크기에 따른 해의 불안정성, 단계별 오차의 누적, 하중증분의 세분에 따른 과다한 계산 등의 문제를 가지는데 비하여 직접해석법은 하중증분의 크기에 무관하게 해의 신뢰성이 보장되고 증분평형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단계별 오차의 누적이 없고 하중증분을 세분하지 않아도 되므로 해석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4,000원
        185.
        1995.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617의 시편으로 1073K의 온도와 107과 180 MPA의 응력에서 ε=0.18까지 정압크?을 한 직후 107 MPa로 응력을 낮추고 (응력강하시험), 또 다른 시편에는 180 ↔ 0.2 MPa의 응력으로 각각 17초씩 반복주기변형을 수행하여 정압크? 변형시의 크?곡선과 비교를 하엿다. 그 결과 IN 617 의 반복주기변형에서는 변형속도둔화(CCD)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응력강하와 반복변형시험은 모두 거의 같은 모양의 회복 크?곡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회복 크?은 아결정립크기와 자유전위밀도로서 그 회복기구를 설명할수 있었다.
        4,000원
        186.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rge scale production of cloned embryos requires the technology of multiple generation nuclear transplantation(NT) using NT embryos as the subsequent donor nucle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producing the second generation cloned rabbit embryos, and also to determine the electrofusion rate and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comparatively in the cloned embryos of the first and second NT generation. The embryos of 16-cell stage were collected from the mated does by flushing oviducts with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FCS) at 47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the first generation NT, the nuclear donor embryos were synchronized in the phase of Gi /S transition of 32-cell stage.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which were developed to 8-cell were synchronized in Gi /S transition phase of the following 16-cell stage and used as donor nuclei for second generation Synchronization of the cell cycle of blastomeres was induced, first, using an inhibitor of microtuble polymerization, colcemid for 10 hours to arrest blastomeres in M phase, and secondly, using a DNA synthesis inhibitor, aphidicolin for 1.5 to 2 hours to arrest them in Gi /S transition boundary. The recipient cytoplasms were obtained by removing the nucleus and the first polar body from the oocytes collected at 14 hours after hCG injection. The separated donor blastomeres were injected into the enucleated recipient oocytes by micromanipulation and were electrofu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ree pulses for 60 sec at 1.25 kV /cm in 0.28 M rnannitol solution The fus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a monolayer of rabbit oviductal epithelial cells in M-199 solution containing 10% FCS for 120 hours at 39 in a 5% incubator. Following in vitro culture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loned embryos to blastocyst stage, they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for counting the number of blastomer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lectrofusion rate was found to be similar as 79.4 and 91.5% i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NT rabbit embryos, respectively. 2. The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to blastocyst stage of the second generation NT embryos (23.3%) was found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56.8%). 3. The mean blastomeres counts of embryos developed to blastosyst stage following in vitro culture for 120 hours and also their daily cell cycles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o 104.3 cells and 1.33 cylces in the second NT generation, compoared with 210.4 cells and 1.54 cycles in the first NT generation, respectively.
        20,000원
        187.
        199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 for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rabbit oocytes by electric stimulation in vitro in an attempt to develop nuclear transplantation techniques for cloning mammalian embryos and animals. Freshly ovulated oocytes were collected from superovulated rabbits from 13 to 26 hrs. after hCG injection. The cumulus-free oocytes were activated parthenogetically by repeated stimuli of square direct electric pulses in O.3M mannitol solution. After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s of different voltages, pulse durations and pulse times, all of th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with 10% FCS for 96 hours in a 5% incubator, and their developmental potential in vitro was examined. The higher activation rate (68.9%) was achieved at the voltage of 2.0kv/cm, the pulse duration of 60 sec and three pulse times and the activation rate of 100% was achieved at the pulse duration of 100 and 200 sec, the voltage of 1.5kv/cm and three pulse times. Although the higher rates of activation of oocytes were achieved at 100 and 200 sec, none of them developed to blastocyst in vitro. The oocytes collected 18~20 hours post hCG injec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activation and development to blastocyst in vitro than the oocytes collected 13~15 or 25~26 hours post hCG injectio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electric stimulation of 2.0kv/cm, 60 sec and three pulse times to the oocytes collected at 18~20 hours post hCG injection would be more beneficial for the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oocytes in rabbits.
        4,000원
        188.
        199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gh stress, low cycle fatigue test were carried out on HT80 plates with artificial part-through notch. The LBB conditions by the net section stress approach was examined in detail. Finite element methods for the state of deformation were also appli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experimen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noted that the LBB condition in fatigue test was dependent upon the maximun load change before and after the crack penetration. The LBB criterion By the net section stress approach were slightly dependent on initial crack size. It was shown that the state of deformation can be used to predict whether the component is likely to show LBB condition or they will be broken rapidly.
        4,000원
        190.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케이블 구조물은 응력-변형도관계에서 비선형성이 강하고 대변위에 의해 기하학적 비선형이 도입되므로 해석이 복잡하다. 그러므로 케이블 구조물의 평형형태 탐색과 해석에 앞서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네트, 전선, 현수케이블 지붕등에 적용될 수 있는 수치해석과정이 소개된다. 이 과정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유연성반복과정에의해 등분포하중을 받는 케이블 구조물의 응력과 평형형태를 구하는 것이고, 다른 한 부분은 비선형 유한요소법에 의해 절점외력을 받는 평형형태를 해석하는 것이다.
        4,000원
        191.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브레이싱재를 사용하는 목적은 본 골조체계 즉 기둥과 보에 비해 단면(강성)이 작은 부재로 보강하여 횡력에 대한 강성효과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브레이싱재의 단면이 기둥과 보의 단면에 비해 월등히 작기 때문에 압축력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과 휨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부재 중앙에 발생되는 추가 모멘트(P-.DELTA. Effect)에 의한 불리한 영향 및 해석상의 어려움 때문에 브레이싱의 설계에 있어서 브레이싱재는 압축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구조물 해석에 정확도가 요구되어짐에 따라 브레이싱재의 정확한 거동에 대한 연구가 실험을 통해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특히 탄성한계를 지난 소성상태에서 반복하중에 의한 거동 규명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강재 브레이싱재의 비선형 거동을 해석적 방법에 의해 규명했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4,000원
        192.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내용은 혈간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가 지진 하중을 받을때의 거동에 대하여 관찰한 것 이다. 똑같이 제작된 두개의 시험체에 정적 반복하중과 동적반복하중을 가하여 하중-처집 곡선이나 파괴 성상동에 판하여 차이점을 기록하였다. 동적하중을 받는 시험체의 거동은 내진설계 규준에서일 반적으로 쓰여지는 정적 하중 하에서의 시험체의 거동과는 판이한 양상올 보여주었다. 시험체가 동적 하증을 받을때에는 정적하중올 받을때 보다 @ 극 한하중이 20-25 % 증 가하고 @ 높은 취성을 보이며 @ 균열이 집중되고, @ 휩파괴 보다는 전단파괴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3.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thion을 rat의 복강내에 매 3일 마다 20회 반복적으로 주사 했을때, 일정한 농도의 parathion을 주사한 rat와 점진적으로 주사량을 증가 시켰을때 rat의 독성정도, 혈액 및 신경조직내 cholinesterase 활성 변화, 혈액내 urea nitrogen 및 creatini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복강내 주사시 rat에 대한 parathion의 는 10.5mg/kg였으며 95% 신뢰한계는 6.6~16.8mg/kg였다. 아급성 독성실험에서는 A군이 50%의 폐사율을 보인데 비하여 B군과 C군에서 각각 57% 및 83%의 폐사율을 보여 parathion에 대한 축적효과가 나타났으며 증체량 측정에서도 A군에서 123 g의 증체량을 보인데 비하여 B군과 C군에서 각각 60.7 g, 및 88.4 g 의 증체량을 보여 parathion 투여군에서 체중 증가량이 감소하였다. 혈장내 cholinesterase 활성도는 A군()에 비해 B군()과 C군()에서 각각 19%, 및 38%의 억제를 보였고 AA군(), BB군() 및 CC군()에서도 A군에 비해 각각 47%, 55%, 71%까지 유의성(P<.05)있는 감소를 보였다. 척수내 cholinesterase 활성도는 A군(2.484U/g)에 비해 B군(1.87U/g)과 C군(1.29U/g)에서 각각 25%, 및 48%의 억제를 보였고 AA군(1.27U/g), BB군(0.71U/g) 및 CC군(0.25U/g)에서도 A군에 비하여 각각 49%, 71%, 및 90%의 유의성(P<.01)있는 억제를 보였다. 뇌의 cholinesterase 활성도에서는 A군(4.67U/g)에 비해 B군(2.52U/g)과 C군(1.32U1U/g)에서 각각 46%, 및 72%로 억제 되었고 AA군(2.48U/g), BB군(1.08U/g) 및 CC군(0.51U/g)에서는 A군에 비해 각각 47%, 77%, 89%까지 유의성(P<.01)있게 억제되는 축적효과를 보였다. 비단백 질소 화합물이 urea nitrogen과 creatinine 함량은 A군에서 각각 와 인데 비하여 B군(, ) 및 C군(, )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urea nitrogen 함량은 A군에 비해 B군과 C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94.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reated superovulation on embryo production, the effect of the frozen-thawed embryos transferred o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grade, and donor-recipient synchrony on pregnancy rate in Korean native cattle.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1. Repeated superovulations in Korean Native Catile were not affected on the number of corpus luteum (CL), embryos recovered and embryos cleaved (range: 4.8 4.21 to 9.5 6.50, 1.8 2.53 to 8.2 8.04 and 1.6 2.32 to 4.0 4.59, respectively). 2. Blastocyst embryos (38.5%) showed higher pregnancy rate than morula (31.6%). 3. The pregnancyrates of cattle transferred with good and fair embryos were 33.3% and 40.4%, respectively. 4. The pregnancy rate when the donors exhibited estrus 12 hours earlier than the recipients (62.5%) was higher than when the donors and recipients exhibited estrus at the same time (33.3%) or when the donors exhibited estrus 12 hours later than the recipients (20.0%).
        4,000원
        19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ㄷ자형 강재 댐퍼의 거동을 평가 한다. 연구에 사용된 강재 항복형 댐퍼는 에너지소산부와 긴결부로 구성된다. 에너지소산부의 단면 크기는 15×20mm이며 폭은 120mm, 높이는 90mm이다. 제조가 간편한 ㄷ자 형태를 가지는 강재 댐퍼는 지진하중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기기에 장착되어 반복하중을 받도록 하였다. 목표변위까지 총 5회의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강재의 항복 이후 에너지소산능력이 뛰어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반복하중을 수행하는 동안 강도의 저하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보수 및 리모델링시 시공의 유연성과 용이성으로 후설치 앵커를 적용하고 있으나,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며 설계 자료가 없는 세트앵커를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은 ACI 318을 준용하고 있어 동적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는 정적강도의 75%로 규정하며, 균열 및 비균열 콘크리트의 정적 전단강도는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ACI 355.2), 유럽(ETAG 001)의 동적하중에 대한 전단강도는 지진모의 실험을 통하여 산출하고 있다.
        19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내구성, 내식성 및 내화성 등이 우수한 재료인 스테인리스강 강관을 가새구조로 적용시 에너지 흡수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재료시험 결과를 토대로 두 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각형강관의 반복 가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변수는 스테인리스강 각형강관의 크기와 세장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중앙부 전체좌굴과 단부 국부좌굴이 발생하였고 변수에 따른 가새 최대내력을 비교하였다.
        199.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층 비지는 단층의 미끌림에 의해 입도와 결정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석을 비롯한 층상규산염 광물은 단층 비지에 존재하며 단층 약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데, 특히 광물 표면에 흡착된 물분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마찰계수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볼 밀을 이용해 입도와 결정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분쇄 전후 활석의 함수율과 탈수반응 거동의 변화를 통해 활석이 단층 약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적외선 분광분석 및 열분석 결과, 분쇄 전 활석은 소수성을 띠며 물분자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최대 720분까지 진행된 분쇄를 통해 입도가 약 100~300 nm 내외까지 감소하고 비정질화가 진행된 활석에서는 물분자에 의한 함수량이 분쇄 전에 비하여 약 8 wt.% 증가하였다. 또한 분쇄된 시료를 가열할 경우, 분쇄 전에 비하여 기화되는 수증기의 양이 증가한다. 입도 및 결정도 감소에 따라 탈수산기 반응 온도도 분쇄 전 약900 °C에서 720분 분쇄 후 약 800 °C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분쇄된 활석의 입도 및 결정도 감소에 의해 소수성이 친수성으로 바뀌며 층상 규산염 광물의 마찰계수를 낮출 것으로 생각된다. 지진 사이클을 통해 반복되는 단층의 미끌림은 지속적으로 단층 비지에 존재하는 활석의 마찰 계수를 낮출 것으로 생각되며, 오래된 단층이 점점 약화되는 원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
        2019.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복은 언어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대체로 비효율적, 잉여적인 존재로 취급되기 쉽다. 이에 학자들은 반복이 의미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고, 더 다양한 환경에서의 반복의 기능에 관하여 과제로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나누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교실 이라는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대화를 녹음, 전사, 분석하였고, 초급교 실에서 발생한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실제 초급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반복은 지시, 입력, 오류 지적이 교수전략으로 사용되었고, 발화내용부정, 자기수정, 시간벌기, 따라하기, 연습(내재화)는 학습전략으로, 구체화 요구, 발화유도, 강조, 확인, 맞장구, 타인수정, 동감, 동의는 의사소통전략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