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

        18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xFe3-xO4 catalyst and ZnxFe3-xO4 catalyst were synthesized by the air oxidation method with various C(II) and Zn(II) weights. Activated catalysts decomposed carbon dioxide to carbon at 350℃, 380℃, 410℃ and 440℃. The value of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rate for Cu0.003Fe2.997O4 and Zn0.003Fe2.997O4 catslysts than was better catalysts. The decomposed rate of the catalysts is about 85%~90%. The reaction rate constant(4.00 psi1-α/min) and activation energy(2.62 kcal/mole) of Cu0.003Fe2.997O4 catalyst are better than Zn0.003Fe2.997O4
        4,000원
        183.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o-Magnetite and ZnO-Magnetite catalysts with various of Cuo and ZnO mole% for Carbon Dioxide decomposed reaction synthesized. The catalysts were reduced by H2 at 350℃ for 3 hours. The temperature was obtained by TGA and DSC experiments. The structures of catalysts were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experiment. The surface area of catalysts is 15~27 m2/g. The results of Carbon Dioxide decomposed ability was better H2-reduced magnetite catalysts with 0.03 mole% CuO and 0.03 mole% ZnO than others catalysts. After Carbon Dioxide decomposed reaction, catalysts were reacted H2 and created only methane.
        4,000원
        184.
        1998.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nO와 SnO2에 TiO2를 첨가시킨 ZnO-TiO2와SnO2-TiO2세라믹 복합체를 제작하여 1000ppm 일산화탄소에 대한 감응특성을 조사하였다. 상분석을 위해서 X-선 회절 분석을 하였고, 전자 주사 현미경을 이용해서 시편 파단면의 미세구조를 관찰했다. 일산화탄소 감도는 건조공기 분위기에서 측정한 저항(Rdry air )과 1000ppm 일산화탄소 분위기에서의 저항(Rco )을 측정하여 각각의 저항값의 비로 정의하였다. TiO2첨가에 의한 ZnO의 일산화탄소 감도의 변화는 ZT5의 경우 최대 감도가 약 1.7배 감소하였고, TiO 2첨가에 의한 SnO2의 일산화탄소 최대 감도는 약 2.5배 증가함으로써 비교적 ZnO-TiO2배 증가함으로써 비교적 ZnO-TiO2배 증가함으로써 비교적 ZnO-TiO2복합체 보다는 SnO2- TiO2복합체의 일산화탄소 감응특성이 우수했다.
        4,000원
        185.
        1997.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르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CaTiO3-La(Zn12/Ti12)O3계에서 소결 온도와 소결 시간의 증가에 따른 ZnO의 휘발과 이에 따른 고주파 유전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편 내부를 WDS 분석한 결과 위치에 따른 ZnO의 농도차를 관찰할 수 있었고, 시편의 두께를 달리하여 QxfO 값을 조사한 결과 ZnO가 많이 휘발된 가장자리에서 더 높은 QxfO 값을 얻을 수 있었다. 0.535CaTiO3-0. 465La(Zn12/Ti12/)O3몰비로 1550˚C, 2시간동안 합성한 결과 소결 밀도 5.31g/㎤, 유전율 50, Qxf034,000, 온도계수 +8ppm/˚C의 고주파 유전 특성을 갖는 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187.
        199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sapphire 기판위에 rf magnetron 스퍼터 방법으로 ZnO 박막을 증착하여 박막의 증착변수에 따른 결정성장방향과 SAW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착온도, 압력, rf 전력에 의해 박막 성장면이 (002)에서 (110)으로의 전이가 관찰되었다. 5mTorr, 400˚C, 250W의 rf 전력에서 가장 우수한 (110)방향의 에피 ZnO 압전 박막의 SAW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작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IDT를 구성한 후 SAW 특성을 분석한 결과 h/λ=0.08의 조건에서 전단속도가 약 5232m/s로서 고주파용 SAW 필터의 제조에 적합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4,000원
        189.
        1995.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첨가제로 Al2O3가 포함된 ZnO 소결체가 타깃을 이용하여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Al이 첨가된 ZnO박막을 증착하고, 타깃에 첨가된 Al2O3</TEX>의 농도와 증착시 스퍼터링장치내의 기판위치에 따른 박막의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타깃의 Al2O3 첨가농도가 2wt%인 경우에 비저항치 8 × 10-3 Ω-cm인 박막이 증차되었다. 또한 Al2O3</TEX>가 2wt%이상 첨가된 경우는 모든 Al이 박막내부에서 Zn를 치환하여 전자주게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치환되지 못한 Al원자의 중성 불순물 산란효과에 의해 박막의 비저항이 증가하였다. 타깃의 마모영역 위에서 증착된 Al을 첨가한 ZnO 박막은 그 영역 KR에서 증착된 박막보다 높은 비저항값을 나타냈으며, 이는 큰 에너지를 가지는 산소입자의 충돌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90.
        1994.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7059 유리기판 위에 ZnO압전박막을 증착하고, 공정변수인 rf 인가전력, 반응기 압력, O2/Ar의 조성비등이 증착되는 박막의 결정성 및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증착된 ZnO박막은 문헌에 보고된 증착속도보다 높은 값(200-1000Å/min)을 가졌으며, XRD(002)피크의 rocking curve 표준편차가 SAW 필터로의 응용이 가능한 6˚미만의 값을 가졌다. O2Ar 유입비가 25%이상의 경우에는 매우 높은 저항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ZnO박막의 두께와 파장의 비, hλ=0.25인 조건에서 필터를 제조하였다. 측정한 주파수 응답특성과 이론치에 의해 계산한 주파수응답특성은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중심주파수는 39.08MHz였으며, 상속도는 ? 2501m/sec, 삽입손실은 약 29dB였다.
        4,000원
        191.
        1994.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즈마 CVD(PECVFD)장치로 금속유기물인 Diethylzinc와 N2O를 합성하여 300˚C이하의 낮은 기판 온도에서 ZnO 박막을 증착하여, 증착변수가 박막의 증착속도 및 결정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기판 온도 150˚C에서부터 이미 결정화된 ZnO 박막의 증착이 가능했으며, 200˚C이상에서 X-ray rocking curve분석결과, 표준편차값(δ)이 6˚ 미만의 c축 배향성이 뛰어난 ZnO박막이 유리 기판위에 증착되었다. 기판온도오 인가된 rf전력에 의한 증착속도의 변화 양상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특히 결정화에 따른 증착속도 변화의 전이점이 관찰되었다. 200 W와 250W의 rf 전력에서 증착된 박막의 경우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3.1 KJ/mol과 1.9 KJ/mol이었다.
        4,000원
        193.
        199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등온용량과도분광법(Isothermal Capacitance Transient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ZnO 바리스터의 포획준위를 결정하였다. 여기서 등온용량과도분광기는 YHP 4192A 임피던스 Analyzer와 데이터해석을 위한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ZnO-Bi2O3에 MnO 및 CoO를 첨가한계에서 -40˚C~60˚C 온도범위에서 0.28, 0.48, 0.50, 0.94eV 등의 입계포획준위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ZnO-Bi2O3계는 CoO를 첨가하면 hole에 의한 emission특성을 나타내고, MnO를 첨가하면 전자에 의한 emission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비 직선저항계수 α는 도너농도의 감소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였으나, 포획준위의 밀도와는 별다른 비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ZnO-Bi2O3-MnO계에 CoO를 첨가함에 따라 α값이 증가하는 한편, 포획준위밀도는 CoO의 첨가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94.
        199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nO-Bi2O3-CoO-Sb2O3와 ZnO-Bi2O3-CoO-Sb2O3-Cr2O3계에서 미세구조 변화 및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개재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결동안에 ZnO입자 성장은 스피넬 입자들에 의해 제어되었으며, 스피넬 입자들의 양의 증가에 의해 입자성장은 감소하였다. Cr2O3(0.5mol%)의 첨가는 비직선성지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임계전압(breakdown voltage)을 증가시켰다. 계산에 의해 구한 장벽전압은 ZnO-Bi2O3-CoO-Sb2O3와 ZnO-Bi2O3-CoO-Sb2O3-Cr2O3 계에서 각각 3.1V와 2.9V이었다.
        4,000원
        19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MHz ZnO변환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현미경을 제작하여, 도미비늘을 화상화하고 광학현미경에 의한 사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광학적 반사에 의한 표면의 화상과 초음파의 기계적 탄성적 표면하 반사에 의한 화상에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Fig. 13 및 14). 초음파 현미경은 고체재료 또는 생물조직 상(10(12)등 여러 가지 생물연구 등의 응용이 계획되고 있으며, 특히 초음파 의학의 분야는 그 활용이 눈부실 것으로 예측된다. 초음파 현미경의 제작 그 자체보다, 이것을 도구로 하여 여러 가지 학술적, 기술적 성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이 분야의 기초연구가 더욱 중요하게 생각되며 첨단산업분야에서도 비파괴검사 초음파 micro spectroscopy(U.M.S)등과 같은 물질의 탄성적 성질을 micro scale로 계측할 수 있는 등, 많은 활용이 있을 것이 예상된다. 또 초음파 현미경의 방법도 여러 가지이며, 이것을 계측수단으로 일반화하는 문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광학이나 전자장치 등과 함께 급속한 발전이 기대된다.
        4,000원
        19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odonopsis lanceolata is a perennial herb called as ‘Deodeok’ (더덕) in Korea. The roots of C. lanceolate has been reported to have som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The chemically reactive saponins of C. lanceolata might be used as a capping agent for the surface of ZnO nanoparticle, ultimately making it a highly efficient photocatalyst.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paper, we report the one-pot green synthesis of ZnO nanoparticles via precipitation method using root extract of C. lanceolata. The structure of green synthesized Cl-ZnO NPs was characterized using XRD, EDX, DLS and morphology using TEM. The FT-IR exhibi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al groups that capped the metal nanoparticle and the formation of metal NPs was confirmed by UV–vis spectra at 356nm. The Cl-ZnO NPs were evaluated for their catalytic activity by measuring the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MB) dye in aqueous solution under UV light (365 ㎚). The result showed efficient degradation of MB, which was degraded 70% within 30 min by Cl-ZnO NPs. Conclusion : This study proves that the green route synthesized ZnO NPs from the root extract of C. lanceolata are low cost, time efficient, bio-degradable and non- toxic. The UVvis spectra confirmed the synthesis of ZnO NPs from C. lanceolata root extract. The Cl- ZnO NPs mediated catalysis exhibited high photocatalysis rate in short time. Ultimately, the green rapid synthesized Cl-ZnO NPs from root extrac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19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hanol is one of the clean burning fuel with versatile applications. As a combustion fuel, it provides extremely low emissions. Methanol can also be used as a primary transporation fuel or a fuel additive and expecially as a raw metalial for methyl t-butyl ether. Methanol synthesis from synthetic gas was carried out in the Ru-CuO/ZnO/Al2O3 catalytic system.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concentration of ruthenium (Ru) and the reaction pressure was discussed, respectively, and the most preferred condition were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metanol synthesis could be prepared from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under reaction conditions. The reaction of Ru-CuO/ZnO/Al2O3 catalyst (E-catalyst) was operated most preferably at 160oC and 40 bar.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