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4

        18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BR 기술은 지난 20여 년 동안 처리성능과 효율성 그리고 비용절감 측면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안정적인 하수처리와 하수재이용관점에서 핵심기술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MBR 기술의 개발과 상업적 응용에 관한 발전과정을 재조명하고 세계 시장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적용기술에 대해 다음 5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여 제시하였는데 1) MBR 기술의 진화, 2) MRBs의 상업용 기술, 3) 대용량 MBR 플랜트 설치 사례, 4) MBR 시장의 성장, 5) 기술의 발전방향 순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MBRs에 대한 경제적, 환경적,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 향후 발전방향을 1) 초기투자비, 2) 처리 수질, 3) 분리막 소재/모듈, 4) MBR 장비와 공정, 5) 운영비용, 향후 6) 혐기성 MBRs 공정과 같은 차세대 기술 분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5,700원
        18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2007년까지 3년에 걸쳐 폐광산 수계 의 유출수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는 하천 및 대조군 (Control, Co) 하천에서 이∙화학적 수질특성, 수질 내성 도 및 트로픽 길드 특성, 다변수 생태모형(Multimetric Health Model)을 이용한 생태 건강도 평가 및 물리적 건 강도 평가 모형(QHEI model)을 이용한 생물 서식지 평 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폐광산의 유출수에 대한 생태독 성 평가를 위해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를 이용하여 현장 Enclosure 노출시험(In situ Enclosure Bioassay) 을 실시하였고, 해부학적 장기 조직의 평가지수 모 형(Necrop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Nb-HAI)을 이용하여 대조군(Co)과 처리군(T)의 광산폐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에 대한 장기 조직의 영향평가는 각 Enclosure에 10 개체씩 투입하여 지라(Spleen), 신장(Kidney), 아가미(Gill), 간(Liver), 눈(Eyes), 지느러미(Fins) 의 조직분석(Tissu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대조군과의 비교평가에 따르면, 폐광산의 유출수는 하천수를 pH 3.2 까지 떨어뜨려 강한 산성폐수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고, 급격한 수소이온 증가 및 총용존물질(Total Dissolved Solid, TDS)의 증가를 가져왔다. 서식지 평가의 QHEI 모 델 값은 지점별 유의한 차이(p¤0.05)를 보이지 않은 반 면, 다변수 생태모형(Multimetric Health Model)을 이용 한 생태 건강도는 3년 동안 대조군(Co)에서 Mm-EH 모델 값은 16~20, 처리군(Mw)에서는 0으로 폐광 유출수의 영 향을 받는 지점에서는 “악화상태(P)”로 나타났다. 또한, Enclosure 노출평가 따르면, Nb-HAI 모델값은 3년 기간 동안 대조군에서 0~3으로 나타나 “최적~양호상태” (Ex~ G)로 나타난 반면, 폐광 유출수의 Enclosure에 포함된 처 리군(Treatment)에서 모델값은 모두 100 이상(범위: 100 ~137)을 상회하여 “악화상태(P)”로 평가되었으며, 크게 손상된 장기조직은 간(Liver), 신장(Kidney), 아가미(Gill) 로 나타나 향후 폐광산 유출지역의 수질 및 생태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600원
        184.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생활오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에서 발생하는 질산성화합물 및 난분해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막분리법과 다공 전극형 전기분해법을 조합한 하 폐수의 고도처리 기술을 제안하였고 제안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활성슬러지 공정, 막분리 공정, 다공 전극형 전기분해공정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되는 막분리 공정은 부유물질을 제거해줌으로써 전기분해공정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기분해 하이브리드 공정에 있어서는 다공성 전극으로 구성함으로써 비표면적의 확대로 인한 전극의 효율성을 높였다. 아울러 외부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처리제의 공급 없이 장치에 유입된 물을 분해시킴으로써 산화 환원 반응을 유도하였다. 즉 중간체로서 수소 자유전자 라디칼과 산소원자 라디칼이 발생되어 난분해성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는 전극 내에서 발생하는 중간체를 폐용질의 분해에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 처리공법이었다. 실험결과들은 제안공정이 활성슬러지공법에 비하여 우수한 공정임을 보여 주었다. SS제거율은 제안공정, 막분리공정, 활성슬러지 단독공정에서 각각 약 100%, 약 100%, 약 90%였고 COD 제거효율은 제안공정 약 92%, 막분리공정 약 84%, 활성슬러지 단독공정 약 75%였으며 T-N의 제거효율은 제안공정 약 88%, 막분리공정 약 67% 활성슬러지 단독공정 약 58%였다. 이결과는 SS의 제거에 있어서 막분리 하이브리드 공정만으로도 부유물질이 충분히 제거됨을 나타내고 있었다. COD의 제거에 있어서 막분리 하이브리드 공정은 SS분의 제거를 통한 COD와 SS이외의 유기물질이 소량제거 되었음을 보였고 전기분해 하이브리드 공정에 있어서는 유기물질의 산화반응을 통한 분해로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T-N의 제거에 있어서는 막분리 하이브리드 공정은 SS분에 포함된 부분과 소량의 유기물에 포함된 부분이 제거되고 있는 반면 전기분해 공정에 있어서는 유기물질의 산화분해반응으로 인한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4,000원
        185.
        201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or performance of biochipfiltration phosphorus treatment process developed by ANT21 and to enhance phosphorus water quality standards to meet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of phosphorus treatment process are presented. Alum, FeCl3 as the coagulant used, each with a Jar-Test influent water quality and remaval efficiency of phosphorus treatment process when compared to water quality and removal efficiency of T-P are not a big difference, Alum in the removal efficiency and water quality was the most stable and high coagulant in the case of the removal of CODmn, SS, TN. Alum and Polymer processing efficiency when using the water quality was good and treatment water quality is CODmn 19 mg/L, SS 5 mg/L, TN 26 mg/L, T-P 0.135 mg/L less than water quality standards. If Alum is applied to the field, Alum injection amount per m3 influent unit is 24 g. During the field testing operation period, the influent has average COD mn 27 mg/L, SS 10 mg/L, T-N 22 mg/L, T-P 0.910 mg/L, and the final effluent has average CODmn 22 mg/L, SS 4 mg/L, T-N 20 mg/L, T-P 0.166 mg/L respectively.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each water quality item was CODmn 21%, SS 65%, T-N 8%, TP 82% and phosphorus treatment process is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SS and T-P but there is a limit to the removal of CODmn and T-N.
        4,600원
        18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대 이후 국내 하 폐수 처리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하수도 보급률이 90%에 이를 만큼 비약적으로 확충되었다. 21세기 들어 물 부족에 대비한 대체수자원 확보,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문제에 대비한 에너지 절감 및 생산, 하천 호소의 지속적인 수질개선 요구 등 사회적 환경적 영향 요소를 감안할 때 더욱 고도화된 선진 하 폐수 처리기술이 필수적이다. 신개념 처리기술은 수질유해물질 및 독성관리기술 등 초고도 처리기술, 맞춤형 재이용기술, 에너지 절감 회수 활용 기술을 유기적으로 조합 연계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진 처리기술은 국내 수질환경개선은 물론 개도국을 중심으로 급성장세를 보이는 국제 환경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의 토대가 될 것이므로 글로벌 탑 수준을 지향하는 하 폐수 고도처리 기술개발 사업에서는 상기 기술 분야를 중점 개발하고자 한다. 본 사업단은 방류수 고품질화. 재이용 기술 분야, 에너지자립 분야, 통합관리 분야로 구분, 향후 1단계 5개년(2011-2015)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4,500원
        18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벼의 미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을 조성 하여 쌀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 완전미 도정수율을 분석하고 유의성을 고찰하였다. 시험포장의 수 질 및 토양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통해 미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수처리수로 재 배된 쌀의 미질 특성치는 일반미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분석 결과 5% 유의수 준에서 각 처리구별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4,000원
        18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dsorption of Acid Blue 92 onto three low cost and ecofriendly biosorbents viz., cow dung ash, mango stone ash and parthenium leaves ash and commercial activated carbon have discussed in this work. The ash of all the mentioned bio-wastes was prepared in the muffle furnace at 500℃ and all the adsorbents were stored in an air thermostat. Experiments at total dye concentrations of 10~100 mg/L were carried out with a synthetic effluent prepared in the laboratory. The parameters such as pH and dye concentration were varied. Equilibrium adsorption data followed both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w dung ash, mango stone ash and parthenium leaves ash could be employed as low-cost alternatives to commercial activated carbon in wastewater treatment for the removal of dye.
        4,000원
        190.
        201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used a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to treat a paper wastewater, and then the effluent was treated with an ozone oxidation process as advanced process to remove non-degradable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rates of the organic matter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itially, and then it was almost constant after this period. The concentration of ozone should be recommended to maintain approximately 8.3 mg/L during this operation to keep the CODmn value below 100 mg/L and ozone contact time longer than 60 min.
        4,000원
        19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크릴폐수를 광촉매로 전처리하여 막오염인자를 최소화한 후 막조합공정에 적용하였다. 한외여과막과 정밀여과막을 역삼투막과 조합을 이루어 막조합공정을 구성하였으며 광촉매처리수를 온도 및 압력변화에 따라 막조합공정에 적용하여 분리특성을 확인하였다. 정밀여과막 모듈 혹은 한외여과막 모듈의 투과수는 역삼투모듈로 보내지며 역삼투 모듈의 최종적인 투과량은 모듈 set 2 (MWCO 200,000 UF+RO)의 역삼투 모듈이 우수하였다. UF 및 MF 모듈에서 TDS, T-N 및 COD의 제거효율은 온도 및 압력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거효율 또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결과로 RO 모듈에서 TDS, T-N 및 COD가 우수한 제거효율을 보였다. UF 및 MF모듈에서의 탁도 제거효율은 우수한 경향(제거효율 99% 이상)을 보였다. 막조합공정에서 처리된 광촉매처리수는 배출 허용기준치를 충족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였다.
        4,000원
        19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thematical model was written for simulating the removal of phenol from wastewater in enzyme-loaded membrane reactor (EMR). The numerical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so as to predict the degradation of phenol through an EMR. Numerical model proves to be effective in searching for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nd creating an optimal microenvironment for the biocatalyst in order to optimize productivity. In this study, several dimensionless parameters such as Thiele Modulus (Φ2, dimensionless Michaelis-Menten constant (ξ), Peclet number (Pe) were introduced to simplify their effects on system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study of phenol conversion at different feed compositions shows that low phenol concentrations and high Thiele Modulus values lead to higher reactant degradation.
        4,200원
        194.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importance of coastal saline-alkali soil remediation in Yellow River Delta, China, the Cl-、Na+ transferring tendency in soil and the saline-alkali soil eco-remediation effects were researched by measuring soil Cl-、Na+ 、soluble salt、soil respire rate and dry biomass weight of reed, etc. periodically. The results shows: the concentration of irrigated soil Cl-、Na+ and soluble salt were decreased 57.7-70%、45.7-47.1% and 53.2-59.7%, respectively, and soil salt decreasing level were little influenced by the hydraulic load, inundation depth varies in some degree, but it was influenced by dry-wet alternative irrigating mode The concentration of soil total nitrogen、organic mass、microbial respire rate, and the reed biomass above ground were increased averagely to 2.17、1.20、1.46 and 1.34 multiple respectively afterirrigation with wastewater, which have complex remediation effects on the coastal saline-alkali wetland,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irrigating crafts.
        4,200원
        195.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disinfection effect of coliform group treated with ozone was analyzed for the effluent discharging from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aims to get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sinfection facility in hospital wastewater treatment, suggesting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hydraulic retention time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design basic factors necessary to ozone disinfection. Removal efficiencies of coliform group for the effluent according to HRT such as 4hr, 8hr, 12hr were analyzed using a lab-scale activated sludge process, respectively. To decay the microorganism regulates the CT value multiplied disinfectant concentration by contact time. CT value is highly correlated with a removal efficiency of coliform group and according to increasing an injected ozone concentration, the CT value was increased.. When HRT was 4, 8, 12 hours , CT value takes place at minimum condition 50, 40, 334 mg/L-min, respectively.
        5,100원
        196.
        200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of hospital wastewater by activated sludg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or your use of the UV disinfection process in the HRT and the UV intensity UV disinfection coliform group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infection facilities to meet basic data is for. Study the active sludge process coliform group emissions alone will not meet the accepted standards of the disinfection process needs to be separate. Active sludge from the same UV dose settling water interfere with my a particle substance acts as an argument between the disinfection effect a point of difference, which requires the removal of material a particle before in disinfect. The higher the UV intensity coliform group HRT long the effects of the disinfection was higher, permitted emission standards 3,000 EA/mL to meet UV dose said the 82 mJ/cm2. Existing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the design of the UV dose 2,310 mJ 1m/cm2 the a safety factor 50% of the company considered the same as after consideration, 120 mJ/cm2 to about 19 times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etup, and of the existing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UV disinfection equipment is installed, the excess.
        4,300원
        19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산강유역 농공폐수처리장 방류수중의 유기오염물질 분포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지점은 영산강 유역에 존재하는 4지점의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GC-Ion trap MS로 300종의 일반적인 화학물질을 ppt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농공폐수처리방류수에서 검출된 주요 유기오염물질은 농약류, CH구조의 방향족, CHO구조의 프탈레이트류, 그리고 CHO(N) 구조의 아로메틱 아민류였다. 또한 diethylphthalate를 포함한 17종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되었다.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결과는 TV로 나타냈으며, 그들의 세포독성은 A지점에서 27.2, D지점에서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화학적 분석 결과와 생물학적 독성도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9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입사료가 우리나라 농업환경의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5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수입사료 품목별 수입량 및 비료성분량, 수입사료로 인한 가축 사양단계에서 비료성분 발생량을 추산하고, 농경지 작물별 재배면적과 양분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입사료로 인한 농경지의 오염부하도를 분석하였다. 수입사료를 통해 국내로 도입되는 비료성분량은 질소 371천톤, 인산 140천톤, 가리 143천톤, 주요 수입품목인 곡류 및 식물성 유박류에서 유래하는
        4,900원
        19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도성 활성탄소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막을 이용하여 폐수의 Total dissolved Solid (TDS)를 제거할 수 있는 탄소막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100 ppm의 NaCl, Na2SO4, MgCl2, MgSO4수용액을 이용하여 탄소막의 기본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주)경인양행의 실제폐수인 염료폐수로부터 TDS를 제거하는 실험을 위하여 가로 × 세로가 각각 20cm인 탄소막 240장으로 구성된 Pilot 규모의 탄소막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원폐수를 초순수로 적절히 희석하여 제조된 6가지의 TDS (941, 2050, 2810, 3830, 4960, 6030 ppm)를 지닌 실제폐수를 이용하여 제조된 Pilot규모의 탄소막 시스템의 TDS 제거성능을 알아보았으며, 여러 운전조건에 따른 탄소막 시스템의 분리특성을 알아보았다.
        4,000원
        20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색폐수처리를 위하여 피페라진, 메타페닐렌디아미,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계면중합법으로 폴리아마이드계 나노분리막과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오스모닉스사로부터 구입한 역삼투막의 투과특성과 비교하였다. 이들의 기본 분리투과특성 조사를 위하여 PEG 600, Na2SO4, NaCl 수용액을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들은 전형적인 나노복합막과 저압용 역삼투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이들 분리막들을 이용하여 국내 염료 제조업체인 (주)경인양행으로부터 공급된 실제 염색폐수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이들의 분리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리막을 이용한 폐수처리 시 발생되는 분리막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CIP를 실시하였다. 이때 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학세정제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세척성능을 살펴보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