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3

        201.
        200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폐기물 처분장의 완충재 및 뒷채움재 후보물질로 고려되고 있는 경주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압축 벤토나이트 및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의 열전도도가 측정되었다. 압축벤토나이트는 건조밀도가 에서 범위에 대해, 압축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은 건조밀도가 에서 사이이고, 모래의 함량이 중량비로 10 wt%에서 30 wt%인 범위의 혼합물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시료의 수분 함량은 중량비로 10 wt%에서 20 wt% 까지 변화시켰다. 압축 벤토나이트 및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의 열전도도는 수분함량이 일정할 때, 건조밀도가 증가할수록, 모래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건조밀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수분 함량과 모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각 건조밀도에서의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른 열전도도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실험적 관계식들이 제시되었다. 이 관계식들은 10% 오차 범위에서 압축벤토나이트 및 벤토나이트-모래 혼합물의 열전도도 값을 예측할 수 있다.
        4,000원
        202.
        2008.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thermoelectric power and resistivity of the perovskite manganiteLa0.75Ba0.25MnO3 were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300K-1200K.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thermoelectric power indicate a transport mechanism dominated by adiabatic small-polaron hopping. Thepower factor increases from 2×10−6W/mK2 to 1×10−5W/mK2 as to the temperature increases from 400K to1200K, which indicates that the compound is highly feasible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at high temperatures.
        4,000원
        204.
        200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c resistivity and thermoelectric power of bilayered perovskite La1.4(Sr0.2Ca1.4)Mn2O7 were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In the ferromagnetic phase, ρ(T) was accurately predicted by a0+a2T2+a4.5T4.5 with and without an applied field. At high temperatu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activation energy deduced from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thermoelectric power, a characteristic of smallpolarons, was observed. All of the experimental data can be feasibly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small polaron.
        4,000원
        20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alcohol-co-ethylene) (PVA-co-PE)와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co-PMA)을 고분자 블렌딩 방법으로 50 : 50의 무게비율로써 수소이온 전도성 가교형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PSSA와 PMA이 3 : 1과 1 : 1의 몰 구성비로 되이 있는 두 가지 종류의 PSSA-co-PMA 고분자를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로 사용하였으며, PVA-co-PE 고분자는 에틸렌의 함량이 0, 27 그리고 44 mol%인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전해질 막은 PVA의 히드록실 그룹과 PMA의 카르복시릭 그룹 사이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한 열가교를 통해 제조하였고, FT-IR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PSSA-co-PMA의 몰비율이 3 : 1로 구성되어 제조된 전해질막은 몰비율 1 : 1로 구성되어 제조된 막보다 더 낮은 이온교환용량과 더 높은 함수율, 수소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해질막에서 P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용량, 함수율, 수소이온 전도도가 계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전해질막의 이러한 물성들은 술폰산기의 함량과 친수성, 막의 가교구조 사이의 경쟁적인 효과로써 설명하였다.
        4,000원
        206.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기전자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다양한 응용이 기대되는 전도성 고분자인 PPP(Polyparaphenylene)는 단순한 구조와 비교적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나 전기적 특성은 기존의 물질보다 낮아 그 응용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온주입법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5keV에서 30keV 정도의 아주 낮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온을 가속시킴으로서 시편의 특성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온주입법으로 개선된 시편의 전기전도성은 향후 OTFT와 같은 Organic Electronics Device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였으며 이온의 종류와 주입정도에 따라 Thermoelectric power의 크기가 달라지는 반도체 소재로서의 특성을 나타내어 향후 다양한 형태의 소자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으로 확인된 최적의 이온주입에너지는 10keV에서 15keV의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20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는 현무암과 조면암으로부터 기원한 투수성 높은 토양으로 인하여 지표수 유입에 따른 상시하천 발달이 어려워,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은 지하수위 강하로 이어져, 제주도내 많은 지역에서 지하수 오염과 해수침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도의 항구적인 지하수자원 보전을 위하여 1994년 이래 일부 지역을 지하수 보전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이 지역내의 모든 지하수 개발은 허가를 받도록 지정한 바 있다. 또한 지하수 수문과 관련된 수리지질 정보 획득을 위하여, 2001년 이래로 제주도 내 해안지역 및 저지대 전체를 대상으로 지하수 관측망을 설치 운영 중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지하수 관측망으로부터 얻어진 지하수위, 수온, 전기전도도 등 장기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부 해안지역의 경우 지하수위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부 해안지역의 경우는 최근 취수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해수침투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관측정에서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하수 개발과 관련하여 제주특별자치도의 강력한 통제로 인하여 최근들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해안지역의 경우에는 지하수위 하강 및 전기전도도 상승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0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온전도도가 높은 상온 이온액을 이용하여 저온, 고온 상분리에 의한 multi-stage phase separation process로 새로운 고정화 이온액 전해질 막(supported ionic liquid electrolyte membranes, SILEMs)을 제조하였다. PVDF와 imidazolium계 이온액을 각각 분리막 소재와 전해액으로 사용하였다. 이온전도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ILEMs을 LCR meter를 이용 해 30℃부터 130℃까지 실험하였다. 가습조건에서 cast Nafion 막의 이온전도도는 30℃부터 100℃까지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SILEMs의 경우 운전온도의 증가에 따라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SILEMs의 이온전도도 거동은 가습과 관계없이 거의 같았다. SILEMs의 이온전도도는 30℃에서 2.7×10 -3 S/cm이었고 온도가 130℃까지 증가함에 따라 2.2×10 -2 S/cm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SiO2를 이용하여 SILEMs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무기첨가제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SILEMs에 SiO2의 첨가는 비록 약간의 이온전도도 감소는 있으나 SILEMs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000원
        21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 BiSrCaCuO superconductor were studied. In the measurement of current-voltage properties, the voltage was measured when applying an external magnetic field. The voltage continues to appear after the removal of the magnetic field. This phenomenon was considered as a nonvolatile magnetic effect. The voltage increased with the applied magnetic flux, but it became constant at about T. The appearance of the voltage was ascribed to the trapping of magnetic flux.
        4,000원
        21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properties of superconductor and externally applied magnetic field was studied to develop a magnetic field sensor.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uperconductor was increased by applying external magnetic field and even after removal of the magnetic field. This behavior was related to the magnetic flux trapped in the superconductor, which penetrated through the material by the external magnetic field. Some portion of the superconductor was changed to a normal state by the trapped magnetic flux. The appearance of the normal state yielded to enhance the electrical resistance.
        4,000원
        21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biennale exhibitions has been expanded into all of the world since 1990s, these trends of blockbuster exhibitions have caused several problems. For instance, some major curators monopolized most global size exhibitions despite of a variety of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Besides, due to a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se curators and their own artists, the young emerging artists’ opportunities tend to be reduced as a result of the power game. In addition, major curators’ power have influence on the exhibition style as well as on the theme itself. Some artists who did not involved that kind of huge scale exhibitions dispute that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is concentrating on the curator’s interest instead of artists or viewers. Although these dissatisfactions could not portray correctly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managing system of a biennale exhibition, those biennale exhibitions held in recent have shown tautologic discourses without any passion and positive attitude direct to the exploitation of our society as a vanguard. In the process of comparing several kinds of biennale exhibitions, I could find that some artists who participated several biennale exhibitions at the same time did not present their creative vision, although the triumph of an exhibition was typically measured by the amount of visitors. Thu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e that the biennale can show us new cultural discourse as well as progressive method of understanding our times. Is biennale producing the real ‘global standard’? If biennale has done it, could this global standard present up-to-date paradigm for the unique exhibition system? Is biennale providing an useful opportunity for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of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re-contextualization which is pronounced by the publicity of curator and organizing committee? How can we find the distinctive strategy from each biennale exhibition including Venice Biennale? Biennale, as a blockbuster exhibition, always requires a degree of hype, otherwise it would not be a special event and would not attract a big enough audience. It is the actual reason why major biennale exhibitions seem to be similar artistic events. Unfortunately, it seems that the excess of biennale exhibitions might bring about the lack of contents. In this case, the biennale syndrome would being a kind of the center of poverty, in spite of the visual splendor. After all, following the global standard may not be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now. What really matters is how each biennale exhibition which star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can search their own identity.
        5,800원
        219.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lates to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inciple of Gyeonghoeru pavilion, one of the major buildings in Gyeongbokgung palace. The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Book of Gyeonghoeru Pavilion written by Jeong Haksun in 1865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yeonghoeru pavili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inciple of Gyeonghoeru pavilion disclosed in The Book of Gyeonghoeru Pavilion appears to be 'the method of expanding with six by six system'. 'The method of expanding with six by six system' means a way of continuously extending the number related to 6 by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nd reflecting to architecture, having number 6 as the basic number. Number 6 means a large amount of water in East Asian philosophy, Applying 'the method of expanding with six by six system' to the architecture of Gyeonghoeru includes an intention to prevent fire in a way of a type of incantation because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re we to fire. Since Gyeonghoeru is surrounded by a pond and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number 6 having a strength of water,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be safe from fire.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Book of Gyeonghoeru Pavilion with the construction of Gyeonghoeru to find out how the number 6 was applied to the overall construction of Gyeonghoeru. From the fact that the total number of km of Gyeonghoeru is 36 ($6{\times}6$), the number of pillars is 42 ($6{\times}7$), and the number of windows and doors is multiples of 6,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number 6 is deeply related to the overall construction of Gyeonghoeru.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of Gyeonghoeru can be explained by 'the method of expanding with six by six system', The Book of Gyeonghoeru Pavilion also discloses parts where Diagram of Hotu, Later Heaven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64 Hexagrams are applied. Therefrom, it has been found out that Gyeonghoeru pavilion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East Asian philosophy based on The Book of Changes.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