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2

        20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진과 삽화는 현행 과학 교과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표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 결과, 6차와 7차 모두 예시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7차의 경우 사진과 삽화의 기능들이 6차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이것은 지구과학 II 보다는 I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6차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던 보충적 기능과 설명적 기능이 7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장식적 기능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 6차에 비해 7차에서 참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본문과의 연계성 면에서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독 사진이나 삽화에 비해 다중 구성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짝이나 연속 구성에서는 발전된 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 사진과 삽화의 기능에서 탐구적 기능을, 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을 추가할 것과 사진과 삽화를 포함한 시각적 표상의 기능과 구조 측면을 과학 교과서 검정 준거로 활용할 것을 논의하였다.
        4,600원
        20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초등 과학과 지구과학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고 이를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에 적용하여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도와 평가 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의 초등 과학과 교육 과정 중 지구과학 내용의 반영도는 52%이고 평가 척도는 3.53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서는 높은 반영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관은 학교 과학 교육과 연계되어야 하며, 그 과정은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반영하는데 지표가 될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과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0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高等學校 <漢文> 수업을 관찰하고, 관찰한 결과를 통해 드러난 ‘읽기’ 영역의 敎授學習 活動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에서 유의미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을 찾고, 이것을 분석함으로써 읽기 교수학습 요소를 발굴할 수 있다.이 연구에서 다루는 ‘읽기’는 2006년 발표된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온 ‘한문’ 영역의 중영역 중의 하나인 ‘읽기’ 영역을 의미한다. 필자는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 수업의 면밀한 관찰과 기록을 위해 微視文化記述的 硏究 方法을 이용하여 수업을 분석한다.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관찰한 수업에 드러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은 ⅰ) 본문에 나온 字句를 익히기, ⅱ) 허사 등을 학습하여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ⅲ) 문장의 해석을 위해 逐字的으로 풀이하기, ⅳ) 바르게 끊어 읽기를 위해 소리 내어 큰 소리로 따라 읽기, ⅴ) 문장을 익숙하게 보기 위해 반복하여 따라 읽기, ⅵ) 문장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의미까지 파악하기 등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찾아낸 ‘읽기’ 교수학습 요소는 字句 學習, 構造 把握, 解釋, 聲讀, 復讀, 精讀이다.이 연구는 일상적인 교육 활동으로 여겨 으레 그러려니 생각한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요소를 찾은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6,700원
        20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초급 GIS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미흡하므로 이 점을 보완할 교육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S 초급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IS 전문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GIS 업체와 GIS 기술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그들의 업무, 전문계 고등학교출신 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업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GIS 이론, 기술, 응용과 관련된 과목이외에도 'CAD 실습', '프로그램 개발', '수치지도 실습', ‘컴퓨터 기초 실습’등과 같은 독립적인 과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이 GIS 관련 업체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 학년에 걸친 대대적인 과목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GIS 업체와의 긴밀한 협동 체제를 구축하여 산학협동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S 업체의 수요에 맞추어 정규 교육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관련학과에서 현장의 요구에 입각한 GIS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5,400원
        20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rthComm implementation in the U.S. high schools in terms of demographic background including school size, urban/rural area, a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using the visions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Two modular of the EarthComm curriculum were used for this purpose with thirty one teachers and around thousand students involved across four states. Findings were that EarthComm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ially in schools of varying sizes and school location, i.e., urban and rural area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impact student achievement scores for Module I but did significantly impact for Module II. It is noted that the two results seemingly conflict with each other similar to other research findings (Ferguson, 1998; Yager et al., 1988). Student higher-order thinking skills,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studying with EarthCom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4,800원
        209.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210.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재학생들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고, 재활보조공학의 교과과정 도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6년 12월 중 전국의 약 43개 작업치료(학)과 중 6개 학교를 무작위 추출하여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31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재활보조공학에 대하여 알고 있는 학생들은 76.8%를 차지하였으나,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정보의 만족도에서는 68.3%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에서 재활보조공학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84.3%를 차지하였고, 재활보조공학이 재활 및 치료에 효과성이 높을 것이라는 비율이 90.7%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교과과정에 재활보조공학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의 비율은 72.7%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용 장치, 인지 재훈련, 신경근골격 재훈련이 작업치료와 관련된 재활보조공학의 분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분야에서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그 의미를 두고 있으며, 향후 작업치료분야와 재활보조공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500원
        211.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의 일환으로 제7차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1차 과학교육 개혁은 학문의 구조라는 특정 범주가 다른 범주보다 중요하고 부각되는 구조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반면에 후기 구조주의라는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은 제2차 과학교육 개혁에서는 이러한 구조주의적 사고에 제동을 걸면서, 학생들이 갖는 학습 기회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을 내놓기 시작하였다. 제7차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 8개 교과목에 대한 현장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이수 비율과 대수능 응시 비율이 가장 낮은 두 과목인 지구과학 II와 물리 II는 '학습량이 많으며, 학생의 수준에 비하여 내용이 어렵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학습량과 수준을 적정화하려는 노력에 추가하여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체능계, 인문사회계 및 자연계 진학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각 과목Ⅰ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얻어 '주제 중심 내용 구성'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갖는 학습 기회라고 볼 때, 교육과정 연구는 학습자가 가져야 할 학습기회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추구해 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방향을 제안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입을 통하여 발현 관계를 명확히 확인해야 하는 추가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하게 된다.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α0 α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α0 α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α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α0 α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4,000원
        21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nited States curriculum reform movement has recently started in each area of science education. The initiatives on curriculum reform stem from a notion that the low rate of science curricula offered in schools has been a serious problem. Th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re not only facing a lack of offerings within science curricula but also low enrollment in science courses, especially in physics, chemistry, and earth science. This trend resulted in low performances on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cluding TIMSS and PISA. This paper introduces the efforts to solve existing problems through curriculum reform; including ChemCom, BioCom, EarthComm, and Active Physics. In this paper, a discussion is presented to show how the curricula can help address the status quo in science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curriculum reform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EarthComm), providing a closer look at the scope and sequence of the reform movement. EarthComm was chosen because it was releas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RC, 1996). Consequently, EarthComm became a curriculum that espoused the visions of the Standards, which has been guiding the reform of the US curriculum. At the end of this paper, two research outcomes of the EarthComm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are discussed in terms of student learning and differences from conventional curricula.
        4,800원
        21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悠久한 傳統文化가 말해주듯, 한때 强盛을 자랑하다가 歷史속으로 사라져 버린 저 東․西洋의 몇몇 나라에 比할 바가 아니다. 漢文科敎育은 半萬年文化民族의 底力을 學校現場敎育에 정립하고 선양하는 敎科가 되어야 한다. 第7次漢文科敎育課程의 改正은 漢文文章을 읽고, 理解하는 次元을 넘어 미래의 삶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교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위해 ‘한자 → 한자어 → 한문’이라는 기본 강령을 터전으로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전통문화의 계승과 한자문화권에서의 교류 증진에도 기여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漢文科새 敎育課程의 改正은 多樣한 類型의 漢文資料를 批判的으로 理解 하고 審美的으로 享有할 수 있는 軟弱한 교과로 安住해서는 안 된다. 過去漢文 全盛期의 傳統文化와 敎育的價値가 現學習者의 水準에 맞게 재편성되어 내일이 있는 오늘의 漢文科敎育이 되어야 하며, 오늘의 교육이 과거로부터 전승된 精神文化의 유산에 基底하여, 새 생명을 誕生시키는 有意味한 敎育의 場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第7次漢文科敎育課程의 改正試案은 이 같은 시대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性格ㆍ目標ㆍ內容의 改正試案에는 적잖은 問題點을 露出하고 있다. 현장 적합성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그 對策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성격과 교육목표의 문제점>첫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를 소홀히 다룰 가능성이 높다. 둘째, 미래 동북아 시대에 강조되어야 한자어 교육이 축소되었다. 셋째, 한문 중심 교육은 학습자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넷째, 원활한 언어 활용 등 실용적이고 도구교과적 기능이 약화되었다. 다섯째, 학생, 학부모, 일반인 등 각계각층의 의견보다 敎師便宜中心으로 구성되었다. 여섯째,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유형의 한문에 대해 비판적 이해와 심미적 향유가 어렵다. <내용 체계와 영역별 문제점> 첫째, 학습내용의 계열화와 구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학습목표와의 일관성과 체계화가 형성되지 않았다. 셋째, 외국어 교과의 내용 체계와 용어를 모방하였다. 넷째, 한문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다섯째, 敎師中心의 내용 체제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기 어렵다. 여섯째,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가 교육 내용에 반영되지 않아 고답적이다. <性格ㆍ目標ㆍ內容의 改正試案에 대한 對策> 첫째, 한자ㆍ한자어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널리 선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넷째, 文ㆍ史ㆍ哲을 두루 포괄하여야 한다.
        7,000원
        21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iven the crucial role of teachers’ forming and modifying a curriculum in a school system, it was questioned if the results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learners’ needs could serve the ultimate goal of meeting students’ needs and desires in their language learning. For the grand research question, needs were sought from both parties (111 students and 5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interview research design and elaborated for the potential differences and their underlying reas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needs for the current curriculum were not agreed upon between the two education agents. Students wanted to have mor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a curriculum with an addition of courses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an increased interaction with foreign teachers. However, teachers were on a different agenda in the pursuit of a program renewal. The distinctive themes found from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in the following: 1) doubts over the worthiness of students’ needs, 2) tenacity to their specialty in the teaching, and 3) anxiety and pressure for changing needs in institution and society.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needs were better met with students’ needs being left outside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has been a long-lived ideological problem at a university.
        5,800원
        216.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사 박물관을 비형식교육기관으로 정의하게 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형식교육기관과 어떤 형식으로 보조를 맞추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가 이다. 이는 전시의 내용과 전시의 형태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인 스미소니안 자연사 박물관과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물 중에서 지구과학관련 전시물 461점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전시물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된 도구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분석틀은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 NRC, 1996)과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obitaille et al., 1993)의 과학교육과정 프레임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고려되었던 전시의 특징은 우선 전시의 활동 유형, 전시 기술, 전시 매체, 전시 표현 등이고 아울러 과학의 본성이 어떻게 전시물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잠재력을 본 연구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4,000원
        217.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21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outlines some concerns that must be addressed in writing prim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and materials in the Korean context and makes suggestions to better the quality of materials made for the next time around. Literature review of current primary school English materials has shown that setting realistic and appropriate program goals based on needs analysis, early introduction of written skills, adoption of graded reading and writing materials, and more informative teacher's guides are needed. Suggestions are made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language materials, continuity, diversity of needs, class time modules, and teachers’ roles, as well as trainer and teacher training. These issues need to be tackled at the personal, local, and national levels in order to bring out a better outcome in primary school English education and to maintain continuity into the secondary school.
        6,100원
        21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들에 인식과 그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은 고등학교 3개교의 10, 11학년(485명)이며 결과는 다음과 갔다. 첫째, 학생이 장래 직업에 대한 확고한 결정이 없이(29%),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충분히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45%)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25%) 상태에서 교과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에 긍정적(65%)이거나,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졌다(96%)고 생각하고 있어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 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는 39%의 학생들만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대학 진학의 필요성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고(48%), 대학에 진학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교과를 모두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41%). 넷째, 과학 과목의 선택은 화학 40%, 생물 25%, 물리 22%, 지구과학 13%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선택한 교과목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한 학생이 74%이다. 위의 결과는 학생들이 7차 교육과정의 취지는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과목의 선택에서는 자신의 장래나 적성이 고려되지 않고 대학 진학에 따른 해당 대학의 요구와 학교 헌장의 과학교사 분포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22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