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0

        22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CR영상에서 선량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임상 흉 부진단에 필요한 영상화질을 얻을 수 있는 최적 선량을 찾는 것이다. 영상화질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선량에서의 MTF, NNPS, 그리고 NEQ를 측정하였으며, MTF 측정과 실험장치 구성은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흉부진단의 경우 자동노출조절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제어반에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선량의 절반 선량으로도 필요한 영상화질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AEC에서 제시하는 선량이 최적 선량이 아니며 화질평가를 통해서 얻어진 최적 선량을 사용하면 환자 의 피폭을 상당량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222.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 목적은 흉부영상의 진단에 적절한 해상력과 음영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위해서다. 해상력을 비교하기 위해 서, linear 해상력 팬텀을 사용하여 film/screen(선생님이 원하시는 conventional radiography : film/screen), CR, DR, 촬영했다. 해상력을 비교하기 위해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3명의 방사선사가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했다. DR 은 3.95 필름/ 스크린은 3.58, CR은 3.48의 평가가 나왔다. 음영에 대해 분석은, CR, DR의 film/screen의 정상적인 흉부 영상 50장을 선택했다. 이 흉부영상에서 7부위(폐야 , 폐야 윤곽, 종격동 I, 종격동 Ⅱ, 심장 음영I, 심장음영Ⅱ, 횡격 막)을 정하여 덴시토미터(농도계)을 사용하여 음영을 평가했다. 우리의 분석 방법은 낮은 영상(음영)을 0에서부터 가장 우수한 영상(음영) 2를 정한 일본의 흉부 x-ray 평가 방법을 적용했다. DR의 경우 종격동 1, 종격동2, 심장 1, 심장2, 횡격막에서 2점을 기록하여 우수했다. 이와 반대로 CR에서는 폐부위와 폐음영 부위에서 2점으로 우수했다. 결 론적으로 , 해상력과 음영에 비교하면 후처리 알고리즘과 작은 픽셀 사이즈에 의한 DR은 CR과 film/screen 보다 우수 하다고 도출하였다.
        22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CR(Computed Radiography)과 DR(Digital Radiography)장비의 각 Detector를 통해 획 득된 영상의 화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CR(AGFA MD 4.0 General plate, JAPAN)과 DR(HOLOGIC nDirect Ray, USA)에 대한 영상평가의 주요인자인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NPS(Noise power spectrum), Photon fluence, DQE(Detective quantum efficiency)를 정량적인 값으로 도출 하여 비교한 결과 CR이 DR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CR과 DR장비의 Image quality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장비들을 유지, 보수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2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ROC를 이용하여 일반 촬영기기에 따른 영상의 질을 평가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 의 수행을 위하여 CR(Computed Radiography)과 DDR(Direct Digital Radiography)을 사용하였으며 피사체 로 흉부 팬텀을 사용하였다. 각 기기에서 영상을 획득한 후 ROC평가를 이용하여 영상의 질 및 기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조건으로 관전압 120kVp와 관전류량 3.2 mAs를 이용하였고 SID(Source to Image Distance)는 180㎝로 설정하였다. 팬텀의 심장, 폐야, 흉추부위에 병소를 표현하였으며 각 장비에 서 획득한 영상의 질 및 기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선학 전공자 29명을 대상으로 ROC평가를 실시하였다. ROC 평가 결과 DDR의 TPF(true positive fraction)는 0.552, FPF(false positive fraction)는 0.474, CR의 TPF는 0.629, FPF는 0.40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R의 영상이 DDR의 영상보다 더 나 은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의 질의 확연한 차이의 원인은 DDR의 경우 enhance board의 미 삽입으로 인한 영상 후처리의 미수행이라고 사료된다. 추후 DDR의 enhance board의 삽입 후 영상의 후처리가 가미된 DDR영상의 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하여 영상의 후처 리가 임상의 판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9.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복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에 기인한 매크로셀 부식 환경하에서의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종류의 Cr강방식철근을 콘크리트에 매입 후 피복 콘크리트에 모사 균열을 발생시킨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그 후 염수 분무 촉진 양생 105사이클까지의 매크로셀 부식전류밀도의 경시변화와 아노드ㆍ캐소드 철근의 자연전위, 부식면적률, 부식감량률을 측정함으로써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화물 이온 농도차 3kg/m3 이하의 매크로셀 부식 환경에 대하여 Cr함유율 9% 이상의 Cr강재에서 방식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Cr함유율 11% 이상의 Cr강재에서 뛰어난 방식성이 입증되었다.
        230.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성화와 염해의 복합 열화 환경하의 콘크리트 내에서의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r함유율이 다른 10종류의 철근을 피복 두께 20mm 위치에 매입한 염화물 이온 함유량 0.3, 0.6, 1.2, 2.4kg/m3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그 후 촉진 중성화 시험 및 고저온 건습 반복의 부식 촉진 시험 기간 중의 Cr강방식철근의 자연전위, 부식면적률, 부식감량률의 경시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각 부식 환경에 대한 Cr강방식철근의 방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성화와 염해의 복합 열화 환경의 경우, 염화물 이온 함유량 1.2kg/m3과 2.4kg/m3에 대하여 각각 Cr함유율 7% 이상과 9% 이상의 Cr강방식철근에서 방식성이 확인되었다.
        232.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help of mechanical mixing method such as Banbury mixer and open 2 roll mill,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EPDM) was blended with the chloroprene rubber (CR) then mechanical properties and ozone resistance test of blends were subsequently investigated. It was noted that the hardness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of CR contents. Generally the hardness was increased with heat aging time most likely due to the post cure. In ozone resistance test of blend, after 8 hours a portion of fine crack is obtained for pure CR. It is confirmed that ozone resistance is greatly improved by addition of 25wt% EPDM to CR.
        233.
        200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aims the search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e-treatment technologies to develop chromate replacements for metal finishing industries due to its toxicological properties. Sinc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eel was strongly related to water permeation, galvanized steel sheets were treated with various hydrophobic silane compounds and water-suspended polymer solution. Also, plasma gas discharge was applied to modify the surface of a polymer coated-steel sheet to be hydrophobic. The surface hydrophobicity of materials was introduced by CF3H plasma exposure. The corrosion property before and after the plasma treatment was investigated in a slat spray tester with 3.5 wt.% NaCl at 35 ℃.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ilane/polymer double coatings and plasma treatment of the galvanized steel exhibited significant retardation of corrosion.
        237.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moval of Pb(Ⅱ), Cu(Ⅱ), Cr(Ⅲ) and Zn(Ⅱ) ion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the adsorption process on domestic loess minerals has been investigated. Variations of contact time, pH, adsorption isotherms and selectivity of coexisting ions and leachate were experimental parameters. YDI, YPT and KRT samples diluted in 1% aquous solution which was adjusted pH 10.8, 8.0 and 6.50, respectively. The result of XRD measurement, Quartz was mainly observed in all samples. In the case of KRT sample, Kaolinite, Feldspar, Chlorite consisting of clay minerals shows almost same pattern with YPT samples. Different properties showed from the YDI sample containing Iillite, remarkably.For all the metals, maximum adsorption was observed at 30min ∼ 60min. Adsorption of metal ions on loess minerals were reached an equilibrium by shaking the solution for about 30min. Removal efficiency of Pb(Ⅱ) ion for KRT, YPT and YDI were 84.7%, 92% and 100%, respectively. The Cu(Ⅱ) and Zn(Ⅱ) adsorptivity on KRT showed the low in various pH solution However, those on YPT and YDI were high than 90% except for the pH 2 solution. The orders of adsorptivities for domestic loess minerals showed as following : YPT>KRT>YDI. The adsorption isotherms of Cu(Ⅱ) and Zn(Ⅱ) ions on clay minerals were fitted to a Freundlich's. Freundlich constants(1/n) of KRT and YPT domestic loess minerals were 0.63, 0.97 and 0.36, 0.25, respectively.
        23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b2+ and Cr3+ uptake capacity by Sargassum horneri was 185.5㎎ Pb2+/g biomass and 102.6㎎ Cr3-/g biomass, respectively. An adsorption equilibria were reached within about 0.5 hr for Pb2+ and 1 hr for Cr3+. The adsorption parameters for Pb2+ and Cr3+,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Langmuir and Freundlich model. With an increase in pH values of 2 to 5, Pb2+ uptake was increased, however Cr3+ uptake was constant. The selectivity of mixture solution showed the uptake order of Pb2+>Cu2+>Cr3+>Cd2+. Pb2+ and Cr3+ adsorbed by S. horneri could be recovered from 0.1M HCl, 0.1M HNO3 and 0.1M EDTA by desorption process, and the efficiency of Pb2+ desorption was above 98%, whereas the efficiency of Cr3+ desorption was below 34%.
        240.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tion exchange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poly(dithiocarbamate) were presented for Cd^2+, Cr^3+, and Pb^2+ in HCl. The distribution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batch method. Based on these distribution data, the separation possibilities of the heavy metal ions were discussed. The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three heavy metal ions on dithiocarbamate resin were decreased as HCl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selective separation of Cr^3+ and Cd^2+ was possible by using 0.1 M HCl in dithiocarbamate resin and the reproducibility test showed that the average absorptivity of resin was 90% in the case of Cd^2+ ion by the column method.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