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1

        241.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내 정온도를 산정 할 때에는 불규칙파의 회절과 반사가 정확하게 계산되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수치모형의 기본방정식은 완경사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파랑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비선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삼각격자망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비선형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의 계산결과들은 다른 연구자들의 실험결과 및 수치결과와 비교되어졌다. 그 결과, 비선형성의 파랑을 고려한 경우가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파랑해석에 더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해수교환방파제가 설치되어 있는 주문진항에 파고분포가 계산되어졌다. 수치해석결과, 이상 파랑이 해수교환방파제를 통한 유입 시에 항내 파고분포의 결과들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항내 파고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상 파랑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24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a water samples collected in August, 1994 from 20 stations in the Kwangyang Bay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to investigate persist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four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DVP, Diazinon, IBP, EDDP). Except for IBP, the contamination by DDVP, Diazinon, and EDDP in marine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is study, however, all these four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stations (except DDVP)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ng/L level. The concentrations ranged from detection limit to 15.3ng/L for DDVP, 1.8-27.7ng/L for Diazinon, 7.3-63.5ng/L for IBP, and 22.2-1100.1ng/L for EDDP. It is noteworthy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IBP and EDDP in this study would be much lower than usual, since the use of IBP and EDDP was less than 50% of average annual consumption due to unusually dry and hot weather condition in the summer of 1994. It wa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observed at stations near Daesa Streamlet instead of Seomjin River, which has more point source of the pestici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mall river discharge during heavy rain period in summer can give harmful effect on marine biota (both wild and aqua-cultured) with its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 despite of their short residence time in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the marine life properly from acute toxicity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monitoring the level of agricultural pesticides in river run-off should be done during active consumption period rather at regular intervals.
        24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항 탱커가 비교적 정온한 해역에서 타선을 피하기 위해 대각도 조타론 행한 결과, 선회 중에 전복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저자들은 전 논문에서 비중량이 큰 액체화물의 자유표면영향에 의한 중심상승과 전진 항해 중에 발생하는 선체 침하와 이로 인하여 생기는 선체 트림의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복원력 감소를 고려하여 사고선박의 복원력 곡선을 계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복사고를 당한 선박의 모형선을 제작하여 자항 선회실험을 실시하고 전복선박의 정상 선회시의 선회반경, 편류각 및 선속을 계측한다. 그리고 자항 선회실험을 통하여 얻은 선회반경, 선속 및 횡 편류각을 기초로 하여 각 경사각에 따른 측 압력과 경사 모멘트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고, 갑판상 해수 침입이 측 압력과 경사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선회시 해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측 경사 모멘트와 측압 중심의 변화론 조사함으로써 전복사고가 발생한 저건현 내항 탱커의 복원성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다.
        245.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 심층수 첨가에 따른 효모 발효력과 심층수 첨가 최적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효모균주 9종에 대하여 증식을 조사하였다. 효모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11호, 12호, 901, RCY, Sacch.cerwisiae ktwef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YJK, JK99, CMY-28 등이었으며, 해양 심층수는 경도 250, 500, 1000으로 조절하였고 대조군과 함께 증식력을 측
        246.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 심층수는 일본, 미국 등에서 200 m 이하의 심해에서 취수되고 있으며, 물의 특성으로 부영양성, 저온안정성 및 청정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빵의 효모증식에 대한 해양 심층수와 그 염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해양 심층수와 심층수염을 첨가하여 발효한 빵의 부피증가율은 증류수만을 사용한 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식빵의 기공 형태는 증류수로 제조된 식빵의 기공보다 둥글고 일정하였다. 한편, 식빵의 전반적인
        247.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 심층수염과 천일염을 이용하여 무를 절임할 경우 수축율, 염도, 물성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해양 심층수염을 가지고 무를 절임할 경우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축률은 절임 8시간 이후에 해양심층수염으로 절임한 경우가 천일염으로 절임한 경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심층수염이 천일염보다 더 높은 염도를 나타내며 절임 되었다. 젤리강도는 절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절임 염도가 높을수록 젤리강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
        248.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paration of strontium ion from synthetic seawater in the contained liquid membrane permeator with two micro-porous films was performed. The permeator consisted of a liquid membrane and two cells for aqueous solutions. The liquid membrane consisted of D2EHPA(di-2-ethylhexyl-phosphoric acid) and DCH18C6 (dicyclohexano-18-crown-6), diluted to 30 vol % with kerosine and was trapped between two micro-porous hydrophilic films. This liquid membrane separated two aqueous solutions, one of which was synthetic seawater and the other of which was the stripping solutions consisting of 1㏖/L H2SO4 Solution. The effects of various operating parameters on the extraction rate and equilibrium extraction ratio of strontium ion from synthetic seawater were experimentally examined. The addition of DCH18C6 to the D2EHPA solution caused synergy effect on the extraction of strontium ion. The permeator extracted strontium ion from synthetic seawater effectively with high membrane life time.
        249.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는 21세기에 물 부족이 예상되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히 댐을 건설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막 구조물을 이용한 담수저장기술은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서남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해 염수가 하천 상류로 깊숙이 침입하기 때문에 하류에서는 농공업용수를 위한 취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수역에서 담수와 염수를 분리할 수 만 있다면 용수문제 해결에 큰 기여를 할
        250.
        200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ynamics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population had examined by monthly sampl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part of watergate in an artificial Shihwa Reservoir in which situated near newly cities and industrial complex o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8. Among environmental factors, yearly average concentration of chl-a, TN and TP seemed to eutrophic or hypertrophic conditions that ranged 146.4∼245.8㎍/ℓ , 1.6∼2.7㎎ N/ℓ, 258∼448㎍ P/ℓ , 26.9∼80.7 ㎍/ℓ, 1.0∼2.4 ㎎ N/ℓ and 74∼239㎍ P/ℓ respectively. Water quality was extremely deteriorated to consistently accumulation into inner reservoir by load of pollutants from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until early July 1997 after embankment. Water pollution of Shihwa Reservoir was remarkble on the biological condition with largely persistent bloom of phytoplankton and increase rate of standing crops was 2.4/yr. The development trend of phytoplankton in water ecosystem were closely related to increse and decrease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ose scale seemed to control by nutrient contents. Inflow of seawater into reservoir to object of repair of water quality began on July 1997. This action was caused to variable of algal flora as well a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s to see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of those composed to mostly freshwater algae before inflow of seawater such as Selenastrum capricornutum of green algae, Cyclotella atomus, C meneghiniana of diatom and Microcystis spp. of blue-green algae and the other hand brackish algae were dominated after inflow of seawater such as Chaetoceros dicipiens, Skeletonema costatum of diatom, Dinophysis acuminata, Gymnodinium mikimotoi, G. sanguineum, Gyrodinium spirale, Prorocentrum minimum of dinoflagellate and Eutreptiella gymnastics of euglenoid. Moreover, small flagellates including Chroomonas spp. of cryptomonad were abundant throughout the year. The cause of water deterioration during fill of the freshwater were complexly supported with extra and intra parameters. The variation pattern of phytoplankton were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by inflow of seawater based to plentiful nutrients.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were assessed to ecosystem that clearly condition of dominant by unique or a few algal species seasonally.
        251.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one to research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biological evaluation of seawater quality using gametes, embryos and early development system of seaurchin species, Hemicentrotus pulcherrimus, Anthocidaris crassispina and Scaphechinus brevis. As the result of performing effects of temperature on early embryo development, the conditions of appropriate temperature on formation of normal pluteus were appropriate at 5-16℃ for H. pulcherrimus, 8-20℃ for A crassispina, 12-20℃ for S. brevis. The conditions of optimum temperature on biological evaluation were 16℃ for H. pulcherrimus and 20℃ for A. crassispina and S. brevis.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