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

        24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양식산 넙치의 성장단계별 및 계절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과 혈액학적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분석된 항목으로는 hematocrit, red blood cell, hemoglobin,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총단백질, AST, ALT, , osmolality, 코티졸 및 였다. 성장단계별 혈액학적 성상에 있어 는 어류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콜레스테롤은 어체의 크기가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 혈액학
        24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ured flatfish in Korea and Japan. During development, in a process known as metamorphosis, this fish reorients itself to lie on one side, the body flattens, and the eye migrates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molecule regulation mechanism of eye development in olive flounder. To reveal the molecular mechanism of eye development, we performed the studies on identification of genes expressed in the eye of olive flounder using EST and RT-PCR strategy. A total of 270 ESTs were sequenced, and 178 (65.9%) clones were identified as known genes and 92 (34.1%) as unknown genes. Among the 178 EST clones, 29 (16.3%) clones were representing 9 unique genes identified as homologous to the previously reported olive flounder ESTs, 131 (73.6%) clones representing 107 unique genes were identified as orthologs of known genes from other organisms. We also identified a kind of eye development associated proteins, indicating EST as a powerful method for identifying eye development-related genes of fish as well as identifying novel genes. Further functional studies on these genes will provide more information on molecule regulation mechanism of eye development in olive flounder.
        24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넙치 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실내 사육수조에서 자연산란된 것으로서, 6개의 수온별 실험구(5, 10, 15, 20, 25 및 )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10, 15, 20 및 에서 부화 가능하였으며, 부화율은 각각 3, 12, 25 및 50%였다. 발생단계별 수온(T, )과 소요 시간(1/t, hour)과의 상관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포배기: 1/t=0.0208T-0.0951 (=0.
        24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외인성 T3처리가 강도다리의 담수 순화시 삼투압 조절과 혈중 코티졸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해수에서 사육 중인 강도다리에 갑상선호르몬의 일종인 T3를 5, 10 및 /g body weight의 농도로 0.9% NaCl과 함께 주입하고 담수로 옮긴 후 3일째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삼투압 조절 지표인 및 삼투질 농도와 스트레스 지표인 cortisol, glucose를 조사하였다. /g의 T3를 주입한 실험구의 혈장 와 의
        24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3월까지 전남 여수시 거문도 해역에서 어획된 찰가자미의 어미로부터 실험실 내 자연 산란을 유도하여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이고, 유구는 없었으며, 난경은 1.640.03 mm(n=50)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평균 )에서 수정 후 168시간 40분이었으며, 부화 직후의 평균 전장은 4.050.18 mm(n=20)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막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24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수온이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찰가자미의 난발생 속도와 부화율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였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에서 86.5~296.67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각 발생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화율은 에서 95.8~97.0%였으며, 와 에서는 각각 86.9
        24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속성장 육종 넙치(selected line of olive flounder cultured, SF)의 수정란의 부화율 및 기형률, 자치어의 성장을 일반 넙치(unselected line of olive flounder cultured, UF)와 비교하였다. 동일한 날에 획득한 SF구 및 UF구 수정란의 부화율은 SF구가 96.21.7%, UF구는 90.42.1%로 SF구가 높았으며, 기형률은 UF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수정란으로부터 부화한 자어를 8
        248.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total aerobacter, Staphylococcus aureus, E. coli)의 생육에 미치는 0.1% chitosan-ascorbate (CA) 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미는 아가미를 제거한것(OG)과 제거하지 않은 것(WG), 건조도를 0%(0 D), 20% 건조(20 D), 40% 건조(40 D)로 구분하였으며 처리 후 진공 포장하여 에서 1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중 총호기성 균수(log CFU/
        24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넙치 자치어의 초기 발육단계에 따른 소화관의 형태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평균전장 (n=20)로 입과 항문이 아직 열려 있지 않았고, 소화관은 배체와 난황 사이에 원시 소화관의 형태로 거의 직선상으로 식도에서 항문이 생길 부분까지 길게 신장되어 있는 형태였다. 부화 후 일째 후기 자어는 평균 전장 (n=20)로 소화관이 발달하여 먹이의 섭취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소화관은 배쪽으로 팽창하여 장과 연결되어 위가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