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3

        28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 and web-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MI and instructional models of web-based learning, which was based on constructivis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we proposed a web-based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odel and applied it to the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experiment, we analyzed the effects that MI affects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students' intraperson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to their English achievement. Seco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nglish achieve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all kinds of multiple intelligences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when we design and practice web-based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odels.
        6,400원
        282.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ICT 활용 수업모듈의 개발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개방성, 자아개념, 솔선수범,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대해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학습열성, 책임감에서는 향상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에서는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융통성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28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등학교 지구과학 학습내용에서 지진학습은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기 힘든 내용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흥미와 특성에 맞게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듈을 ICT 교수 · 학습전략에 맞게 ICT 활용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개발된 애니메이션 모듈은 35명의 초등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 모듈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recognition on the mushrooms by elementary school pupi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dietitians were-carried out. The ways of cooking mushrooms by school dietitians were also investigated. Most students and dietitians highly recognized mushrooms as good food. The most favorite mushroom was Flammulina velutipes, the cooking of mushrooms with meat and the hot mushroom soup with meat(Jungol) being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s. School ditetitians like to use mushrooms in school lunch and generally use medium or high duality mushrooms. Students, however, do not tend to prefer mushroom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Mushroom dishe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by students are mushroom bulgogi, mushroom pizza, sweet and sour mushroom in the order.
        4,000원
        28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우리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漢字語의 指導 段階와 模型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은 漢字語와 고유어, 외래어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외래어와 달리 漢字語는 고유어와 구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 敎育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意味 把握의 어려움이 初等 學生 水準에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지금까지는 광범한 어휘의 비교, 대조, 유추와 긴 학습시간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였다. 的確한 指導를 통해 질 높은 언어 사용을 원하는 敎師의 입장에서는 語彙 意味의 명확하고 신속한 學習이 바탕이 되어 學生들의 文章과 글 사용 수준이 높아지기를 원한다. 이런 敎師의 바램을 가로막는 것이 漢字語에 대한 指導와 고유어 指導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점이 관심을 가지고 本 硏究가 이루어 진 이유이다. 이에 따라 硏究의 方向과 水準이 결정되었는데, 本 硏究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漢字語가 敎育的으로 가지는 意義에 대해 밝힌다. 문장 내에서 漢字語의 役割과 漢字語를 指導해야 하는 理論的 根據를 밝혔다. 讀解와 語集의 關聯性 및 讀解와 漢字語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讀解에 있어 漢字語가 어떤 役割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漢字語 指導의 根據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漢字語 指導의 內容이 되는 敎科書 속의 漢字語의 樣相을 밝히고, 漢字語 指導 位階를 세운다. 敎科書에 收錄된 漢字語의 頻度를 조사하고, 初等學校 指導用 漢字를 바탕으로 敎科書 收錄 漢字語 中 指導 漢字語를 밝힌다. 여기서는 指導用 漢字 뿐만 아니라, 收錄 頻度, 收錄 時期, 指導의 適合性 등을 함께 考慮하였다. Ⅳ장에서는 敎科書 收錄 漢字語의 指導 方案을 摸索한다. 漢字 學習 側面에서의 漢字語의 指導 目的과 內容, 指導 方法을 밝힌다. 이것은 漢字에 대한 理解를 바탕으로 漢字語를 指導하기 위한 方法이다. 본 논문이 漢字諦를 보는 시각은 이와 다르므로, 國語 敎育 側面에서의 漢字語 指導 方法을 具案하였다. Ⅲ장에서 選定한 漢字語를 바당으로 漢字語를 접하는 學習者의 상태를 非認識 段階와 認織 段階로 크게 區分하였다. 각 段階別로 細部 段階의 位階的 學習 方法을 提示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敎授·學習 段階 模型과 課程案을 具案하여 指導한다. 그런 다음 指導 結果를 評價紙를 통해 分析하고 設間調査를 指導 前·後에 實施하여 漢字語 指導에 대한 效果와 學習者의 認識을 確認한다. 결론에서는 漢字語의 指導 給果를 明示한다. 硏究 內容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漢字語의 意味 指導 時 漢字의 表意性을 活用하면 語彙 意味의 把持 效果가 크다는 것이다. 한 두 語彙의 指導가 語彙 속 개별 글자의 分節을 통해 새로운 語彙의 意味를 類推할 수 있고 類推 活勳을 통해 語彙 造語力이 향상된다. 學習者가 語彙 造語力을 향상시키는 方法을 體得하고 나면 스스로 語彙의 意味를 구성해 간다. 즉, 本 硏究의 결과, 語彙 造語를 해 나가는 段階를 나누고, 指導 方法을 段階마다 水準別로 달리하면 語彙 意味에 대한 造語 方法이 學習者에게 길러진다고 확인되었다. 위의 指導 內用과 方法을 適用하며 語彙 意味를 指導하면, 구조적으로 조직된 語彙를 바탕으로 폭넓은 文章과 글 지도가 가능하다. 이 뿐만 아니라, 學習者의 자가 발전적 語彙 學習으로 인해 많은 학습 시간을 語彙 意味 解析에 보내지 않아 學習의 質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이 學習 方法을 適用라는 것은 語彙 意味 把持力이라는 側面에서 有意味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學習者가 文章이나 새로운 意味를 처음 대할 때 느끼는 心理的 負擔感과 回避 意識을 떨치고 積極的으로 學習에 임하게 하는 自信感을 심어주는 效果가 크다. 그리고, 무엇보다 本 硏究는 敎師가 語彙 單位의 指導에 얽매이지 않고, 學習者의 文章, 글의 水準을 보다 세련되고 精練化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띤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7,000원
        287.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손의 기능, 즉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손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검사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성, 연령, 우세한 손)과 신체적인 특성(앉은키, 몸무게)에 따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의 정상아동 표준치를 제시하여서, 아동 치료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학생 85명(45.2%), 여학생 103명(54.8%)으로 전체 188명이였다. 자료는 8세에서 13세까지 6집단으로 나누고, 평균, 표준편차, 백분위 점수로 나타내었다.결과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평균값은 성별, 연령, 우세손에 따라 계산되었다(남자: 80.15, 여자: 75.68). 성별에 따라 점수를 비교했을 때, 남자 학생들의 점수가 왼손, 오른손 손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결론 : 본
        4,600원
        28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서울 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 103명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후 학생들이 가지는 개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의 개념원도 활용 수업 전후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지필고사로 평가, 조사하였다. 103명을 대상으로 개념원도를 도입한 수업을 1개월 동안 실시한 전후 지필고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념원도를 적용한 수업은 유의미하게 학생들의 개념을 신장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념원도를 적용한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은 진단평가, 형성평가에 도입할 가치가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4,000원
        29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habits of high(4th,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affection, rational guidance, overprotect and neglect).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and demographic variables, eating habits and food frequency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In this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96 boys and 337 girls in Chunju city in Korea, 50.1% of the mothers was in the age from 35 to 39 years and 57.8% of the mother had an occup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 PS packag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the frequency, 2-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ating habi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but was not affected by the levels of mother's education and income.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ren's snacks habits(p〈0.05, p〈0.01), but have no connection with dietary habits and the eating out. The survey revealed higher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 had taken affectionate, reasonable and positively reinforced child care, answered they enjoy meals and the other groups answered they did not. Also frequency of having soup, green vegetables, fruits, dairy product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ffective, reasonable rearing attitude,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neglective rearing attitude. And the survey showed children who were reared in overprotect had chocolate, candy and the like in large quantities.
        4,300원
        29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考는 아직 통일된 敎育課程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漢字敎育課程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현장에서 혼란스럽게 쓰이고 있는 漢字敎育의 개념을 분명히 하였다. 즉, 초등학교에서 漢字를 교육하는 일련의 학습활동과 구별하기 위하여 독립된 교과명으로 `漢字`라고 사용하기로 한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漢宇` 교육과정은 재량활동시간에 학생들에게 漢字敎育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편성 운영해야할 교육내용에 관한 기준을 말하며 그 기준에는 漢字敎育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지침 등을 제시한다. 초등학교 漢字敎育의 성격으로 제시한 것은 국어생활을 돕는 교과, 일반 교과학습에 필요한 도구교과, 한국인으로서의 일반 교양을 기르게 하는 교과, 전통문화의 이해와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교과,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되는 교과 등이다. 초등학교의 漢字敎育은 교육용 기초 漢字를 익혀 언어 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일상생활에서 漢字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니게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育의 내용제시에 있어서 영역을 漢字·漢字語와 漢字生活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교육내용을 수준차와 난이도를 고려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敎育用 基礎漢字 600字를 선정하고 학년별로 배당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育의 방법은 교수-학습계획,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자료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育의 평가는 교사가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데 실질적인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일반화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세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育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통일된 敎育課程이 수립되어야 한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수립되고 그 교육과정에 기초한 한자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한다면 교사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漢字敎育을 실시할 수 있다. 그래서 학년을 거듭하면서 연계적인 漢字敎育이 실시된다면 漢字 學力이 향상되고 그 漢字실력이 바탕이 되어 더욱 질 높은 言語生活과 바람직한 人性敎育의 목적까지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6,900원
        29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3개 공립 초등학교에서 12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와 과학 교수 효능감측정 도구를 투입하였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을수록 점차 증가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발달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 둘 사이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특징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수업의 초기에 수업 목표와 학습 문제를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려고 노력하며 수업의 각 과정에도 재인식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기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이 있고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수업에 관련된 그 외의 분야에도 지식이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
        4,800원
        29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수증기 응결 과제에서 초등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귀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과 가설 생성 과정의 하위 요소인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되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검증을 위해 수증기 응결에 관한 가설 생성 검사지, 사전 지식 검사지, 유사경험상황 검사지 등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수증기 응결에 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 89명의 학생 중 72명의 학생들이 이 지식을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가설 생성에 귀추가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증기 응결 현상에 관한 유시경험상황을 가지고 있는 56명의 학생들 중 54명의 학생들이 가설 검사에서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두 번째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의 실제에서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가설 생성 능력향상을 위한 교수 · 학습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4,000원
        300.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promoting seafood consumption by increasing its intak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seafood using frequ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For that purpose, randomly sampled out from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county were 155 dietitians and 5th grade 3581 children, on whom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ir seafood using frequency, and preference, and lunch menu by season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seafood using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in one or two times a week, while obstacles in seafood use presented high values in the safety of food by 71.6% and children preference by 68.4%. The seafood intake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 or four times a week by 34.5% and the places of seafood intake indicat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home by 43.5% and then school lunch and dining out. The dietitians responded that children for the most part had not a preference for seafood, whereas the children pointed out average by 46.2%. As for reasons for avoidance of seafood, the dietitians expressed the highest response in it depends cooking methods by 45.8%, while the children because of its peculiar taste and smell by 42.1%. Their required improvement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taste improvement by 51.8%. The children most preference for seafood that dietitians thought included fried Alaska pollack and shrimp cutlet, while dislikes braised mackerels and seasoned cold jelly fish. Cooking methods frequently used were represented in order of soup, hot soup, and stew, and the children's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from fried food.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ntion to increase seafood using frequency is needed to at the time of planning the menus so that more seafood-providing opportunities can be given. The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s is urgently needed that can change the taste or the smell of seafood, and concurrently with this conveniences be taken into account in eating such as elimination of bones, etc. as early as the states of purchase or checking of seafood. The reflection of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eafood as well as to the reduction of food remnants. The recommendation of intake of low preference but nutritionally good seafood is required to be expanded in nutrition education.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