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30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SA의 두 번째 주기에 해당되는 PISA 2003에서는 문제해결 영역에 대한 평가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PISA 2003 본검사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1) 의사결정, (2) 체제 분석 및 설계, (3) 문제점 해결 등의 세 가지 문제해결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범교과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ISA 2003 본검사에 포함된 문제해결 영역문항들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문항들 중 개방형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림이나 그래프로 표상하는 과제에 취약하며, 긴 문장으로 제시된 지문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에게는 다소 낯선 맥락이나 소재를 활용한 과제의 경우 낮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PISA 2003 문제해결 영역을 분석한 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4,000원
        302.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ow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run in the Seventh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s and to obtain some basic data for normalizing and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
        6,600원
        306.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해양영역의 용어, 학습개념, 탐구를 대상으로 학습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7학년,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용어의 사용 빈도는 초등학교에서 중 ·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증가하였으나, 용어의 해설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학습개념은 초·중·고등학교에 관계없이 구체적 개념이 형식적 개념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초·중·고등학교 전 과정에서 통해서 가장 높았다. 탐구과정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기본적 탐구과정에서 통합적 탐구과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활동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토의, 실험, 조사의 탐구활동이 많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견학 및 과제 연구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기본 교육자료인 교과서에는 학교급에 상관없이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개념과 탐구상황은 학생들의 인지발달과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에서 전인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과학교육에서 탐구활동은 야외학습을 통한 교육적인 효과가 크기에 적절한 적용이 요구된다.
        4,000원
        307.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interior space of the Royal Palace in the 15th Century,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 that is Jeongjeon(正殿, the royal audience chamber) and Haengrang(行廊, which encloses Jeongjeon on four sides and has many room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because the architectural space consists of the space unified by the organic function of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spac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terior space of Jeongjeon and Haengrang at the Royal Pal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ior space of those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Haengrang has several uses such as a night duty room, a storehouse, a government office or a banquet hall etc. So the interior spaces were finished with various methods that were suitable for the use of each room, and the material of the floor were the ground, Maru(the wooden floor) or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There were held many kinds of ceremonies in Jeongjeon,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could not enter the inside of that building and took part in the ceremony on the front court of Jeongjeon, except the men performing the ceremony. But the high ranking officials could enter the inside when King gave a banquet and there, they prostrated themselves before King. They sat down with their legs crossed on the ground floor instead of sitting on a chair. When King held tea ceremony with Chinese envoys in Jeongjeon, they sat on Gyoui(交倚, a kind of armchair). The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forming the ceremony in Jeongjeon prostrated himself around the King and the Chinese envoys and others stood around them.
        4,500원
        30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은 역학적 포장설계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입력변수이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보조기층 재료는 대부분 입상의 자갈질 흙으로서, 실제 시공현장에서 7종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 평가를 위하여 공진주/비틂전단시험 삼축압축시험,자유단공진주시험을수행하여 탄성계수에 대한 여러 영향요소를 검토하였다.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에 대한 하중주파수 및 하중반복횟수의 영향은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공학적 관점에서 무시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구속응력과 변형률 크기에 대단히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표적인 정규화탄성계수 감소곡선과 구성모델을 제안하였다.
        4,500원
        31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1991년부터 2003년까지 발간된 〈교정연구〉에 실린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교정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에 관한 논의를 하고 있다. 총 207편의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론적 특성과 경향을 밝혀내고 있다. 그 주요 결과를 보면 먼저, 연구주제는 행형관련 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상당히 다양했으나, 주제별로 상대적 중요도는 달랐다. 교정행정과 수용자관리, 그리고 교정처우의 법률적, 제도적인 논의는 풍부한 반면 교정의 다른 축인 수용자의 일상생활이나 독특한 문화를 이해하는 논의, 그리고 교정 프로그램의 실질적 효과를 측정하는 효과분석 논문은 양적으로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었다. 한편 연구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인 방법론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기술(description)수준의 문헌연구였으며, 실증연구인 경우에도 추론적 통계(inferential statistics)보다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교정학의 발전을 위해 더 관심이 주어져야 할 주제와 방법론적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6,300원
        31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계부품의 설계는 초기 설계, 해석, 성능 평가의 반복 과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설계자는 각 과정에서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 설계 영역을 이용한 형상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순차 설계영역의 근사함수를 구하기 위하여 Pro/Engineer 와 ANSYS 실행의 자동화를 수행하였다. 전체 설계영역을 근사식으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정확도가 높은 근사식을 만들기 위하여 순차설계영역을 설정하여 각 단계에서 수렴한 해로 이동량을 결정하고, 두 번 연속하여 순차설계 영역에 존재하면 수렴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하였다. 각 단계의 해는 순차이차 계획법인 PLBA(Pshenichny-Lim-Belegundu Aror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4,000원
        31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tistical model of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the English reading tes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t the initial phase, the study investigated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tem difficulty of English reading test. Using the correlated variables an instrument was designed to gather the data on item difficulty of each item of the English reading tests of 2002 and 2003 CSAT.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o get models which could predict item difficulty of the tests. To valid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odels were applied to the September Tests of 2003 and 2004 CSAT. It was found that the 2003 linear regression equation model showed the acceptable level of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were grammar, inference and op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variance accounted by the predictors was different. Some implications for CSAT design and further research were drawn from the findings.
        5,500원
        31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31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modulates cortical excitability beyond the duration of the rTMS trains themselves. Depending on rTMS parameters, a lasting inhibition or facilitation of cortical excitability can be induced. Therefore, rTMS of high or low frequency over motor cortex may change certain aspects of motor learning performance and cortical activ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gh and low frequency subthreshold rTMS applied to the motor cortex on motor learning of sequential finger movements and brain activation using functional MRI (fMRI). Three healthy right-handed subjects (mean age 23.3) were enrolled. All subjects were trained with sequences of seven-digit rapid sequential finger movements, 30 minutes per day for 5 consecutive days using their left hand. 10 Hz (high frequency) and 1 Hz (low frequency) trains of rTMS with 80% of resting motor threshold and sham stimulation were applied for each subject during the period of motor learning. rTMS was delivered on the scalp over the right primary motor cortex using a figure-eight shaped coil and a Rapid(R) stimulator with two Booster Modules (Magstim Co. Ltd, UK). Functional MRI (fMRI) was performed on a 3T ISOL Forte scanner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all subjects (35 slices per one brain volume TR/TE = 3000/30 ms, Flip angle , FOV 220 mm, matrix, slice thickness 4 mm). Response time (RT) and target scores (TS) of sequential finger movements were monitor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fMRl scanning. All subjects showed decreased RT and increased TS which reflecting learning effects over the training session. The subject who received high frequency rT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S and RT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 low frequency or sham stimulation of rTMS. In fMRI, the subject who received high frequency rTMS showed increased activation of primary motor cortex, premotor, and medial cerebellar areas after the motor sequence learning after the training, but the subject with low frequency rTMS showed decreased activation in above areas. High frequency subthreshold rTMS on the motor cortex may facilitate the excitability of motor cortex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motor sequence learning in normal subject.
        4,200원
        318.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에서의 응답을 이용하여 복잡한 트러스의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의 위치와 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정한 시간동안 획득한 응답데이터를 각 부재별 평균 변형에너지를 구하기 위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였다. 이렇게 확장된 평균 변형에너지는 다시 손상 지표를 구축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손상 지표는 손상 전과 손상 후의 구조물의 강성의 비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타당성은 유한요소 모델로 손상을 모의하고 이로부터 얻은 응답데이터를 적용하여 입증하였다. 또한 응답데이터에 노이즈를 추가하여 노이즈가 제안한 알고리즘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4,000원
        32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하는 단순평판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을 적용하였다. 파워흐름해석법에서 주어지는 진동 에너지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한 수치해석 도구로써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하는 단순평판의 진동 변위와 진동인텐시티 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수치해 결과를 엄밀해와 유한요소법에 의한 근사해와 비교함으로써,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은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 변위 및 진동 인텐시티를 예측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