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nning technic is implemented with the underground structures: subway, tunnel, shaft, drainage path, spillway, and slurry wall. Both optical and laser scanning system have been conducted to the precise inspection of diagnosis and safety. Image and 3D coordinate from scanning can be utilized in monitoring scope and fundamental database of maintena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canning will prevail on inspection and diagnos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rganization, as well as present plans to activate the organization through diagnosis on 'My Hometown Keeper' organization that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growth of agricultural and fishing regions, and environment improvement. Utilizing Weisbord's Six-box Model, an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useful for diagnosis of 'My Hometown Keeper' organization, 6 areas including organization's objective, structure, relationship, compensation system, leadership, subsidiary device system etc. and 14 survey questions were prepared, and a surve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taff a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in charge of 'My Hometown Keeper' participating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urvey investigation,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and as plans to improve these and activate 'My Hometown Keeper' organization, 'Clear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objective and role', 'Preparation of compensation and incentive system', 'Growth of relationship and leadership between constituents'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subsidiary device system such as educ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etc.' etc. were presented.
국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는 3년 주기로 시행되는 정기적인 정도관리 검사에 앞서 일별, 주별, 월별, 분기 반기별로 시행하는 수시 정도 관리에 대한 항목 및 규정이 명확하게 지정되어 있지 않다.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정도 관리 항목에 대해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를 구분하여 국가 기관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체계적인 검사 수행과 더불어 검토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의료 장비의 현대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국외의 주기별 정도관리 시스템을 국내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에 적합하도록 도입하여 정도관리 항목과 기준의 재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중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일반 X선 촬영 장치의 3년 정기점검 사이에 주기적인 수시 정도 관리 검사 항목과 방법 및 기준 수립을 위해 미국, 캐나다 등의 국외 문헌 조사 및 국제 전자 기술 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의 규정 항목과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수시 정도관리 항목 신설 시 필요한 검사 항목 및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light of the maintenance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evaluation scope of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have been revised. Crack, leakage, deterioration, and drainage system are evaluated with field inspection in maintenance manner. It also proposed that the additional revision of the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inspection, diagnosis and utilizing manual for facilities such as bridges, tunnels, and buildings. For this, firstly, the classification system about inspection and diagnosis equipment was established and that was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ded use(durability, safety, equipment, environment). based on this, the manual was developed including specification, performance of equipment and using, managing and controling for the inspection and diagnosis work.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가진을 이용한 초음파 전파 영상 기반 배관 비파괴 검사에 관해 다룬다. 손상의 영상화를 위해 갈바노미터 기반레이저 미러 스캐너와 Q-Switch Nd: YAG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레이저 시스템을 가진원으로 사용하면 빠른 속도로 비접촉 초음파 가진이 가능하며,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환경이나 유해 물질이 포함된 환경에서도 대상 구조물의 원거리 가진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해상도가 높으며, 입사각이 넓어 표면 형상이 복잡한 대상 구조물도 가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저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유도 초음파를 단일 PZT 센서를 사용하여 계측하고, 계측된 신호는 레이저 가진점에 해당하는 좌표점에 나열함으로써 2차원 공간좌표 및시간축을 더한 초음파 전파 영상 생성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 데이터를 시간 축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재생하면 초음파 전파 영상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계측 신호의 특정 주파수 성분을 추출해냄으로써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유도 초음파 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 전파 영상 데이터를 시간-공간 영역에서 주파수-wavenumber 영역으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손상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손상의 진단 및 위치 추정을 위해 wavenumber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검증을 위해 다양한 배관구조물 Testbed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this study, it propose what the landscape elements is to be improved urgently and how to improv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rural villag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spatial integrated landscape planning. The study area for landscape research is selected as the 9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buk-do, and research is done by using village unit landscape diagnostic index(VULDI). the result is shown that average VULDI value of the rural village zones is bigger than one of the town village zones with difference of 15%. Two zones of Chilseong-myeon and Sangchon-myeon among the town village zones are appeared to be similar with the rural village zones in landscape level by VULDI value. Generally, the rural villages to maintain the good landscape have the low population and high engagement rate in agriculture. Looking political support criteria at the landscape level, the seven zones except Deoksan-myeon and Maengdong-myeon have high VULDI value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it seems un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whe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village inside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8 rural village zones except one zone of Sangchon-myeon have low VULDI value less than 60%,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intensive support of ever urgent landscape improvements and high priority landscape elements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before planning of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In this study,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was developed.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 sensor system, omnicube system and pipeline safety assessment solutions. The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was constructed in plant pipeline and was validated field applicability.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IoT is appropriate for plant pipeline safety monitoring.
대상구조물은 준공 후 6년 경과된 창고용도의 구조물로서 폭설이 내리는 도중 창고 지붕(Arch Panel)과 서측에 면한 기둥 및 벽체부분이 붕괴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붕괴원인과 붕괴사고 후 남아있는 구조체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물주의 요청에 의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관련된 도면 및 현재 시공상태를 비교 검토하고 붕괴된 부분과 붕괴되지 않은 구조물에 대해 외관조사와 비파괴조사(콘크리트 강도시험, 철근배근탐사 등)를 수행하여 구조부재의 상태와 손상정도를 파악한다. 또한, 지붕 및 기둥 붕괴에 관련한 하중을 검토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검토를 수행한다. 수행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붕괴원인을 검토 분석하고 붕괴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보수⋅보강 여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런칭거더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를 가설하는 건설현장에서 런칭거더가 붕괴하여 인접하는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에 일시적인 큰 충격하중을 가하므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손상이 발생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건전성을 평가하여 장기적인 안전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In this study, fire test of predicting fire behavior(fire growth rate, temperature of compartment, etc.)
were performed for fire safety diagnosis in buildings. From this test, fire propagation for each combustible was identified, which was delayed compared to the summed heat release rate fo a single combustible. Also, comparison with Matsuyama model allowed improvement in the modeling of the process of fire spreading to nearby combustib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ouse of Commons through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flammable after performing the experiment for predicting fire constellation is to present basic material. Combustibles of the House of Commons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rough the standard model, such a list of proposed standards for the combust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data base showing new basis about diagnosis equi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diagnosis equipment and establishes a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t. To grasp present state of diagnosis equipment, we collected data by the questionnaire diagnosis company and in order to establish classification system of diagnosis equipment two kinds of classification system are suggested.
This Study is described safe and efficient Damage Estimation for underwater structures with equipment(3-D scan sonar). Which is conducted inspection in compliance to actual domestic situation and take a dive investigation of actual underwater dam facility directly.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재난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문화재는 상대적으로 희소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재난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자산으로서,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효과적인 문화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문화재 재난관리 관련 기초정보가 요구되는데, 이에 대한 체계화가 미흡하고 정보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관련 연구 및 정책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고찰하여 시스템 구축의 당위성을 검토하는 한편, 현황진단을 통해 시스템 구축의 기본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