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7

        30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species richness of lepidopteran insects (excluding butterflies and microlepidoptera) of Mt. Seungdal-san, Muan-gun, Jeollannam-do, Korea, from 2003 to 2005 using two portable light traps. A total of species comprised 423 species belon
        4,600원
        30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weekly from April to October in 2004 and 2005 on the sites along the 5.16 road. Sampling sites were made every 100 m height starting from 250 m altitude of both sides of Mt. Halla along 5.16 Road, which crosses the mountain
        5,800원
        30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인시 석성산은 북위 37˚15'15'~37˚17'00', 동경 127˚09'30'~127˚11'00'에 걸쳐 위치한다. 군집분석 결과 B지역에는 170종류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어 조사지역 가운데 가장 식생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C지역은 140종류의 관속식물을 갖고 있어 다음으로 식생이 풍부하다. 그러나 관속식물의 유사도 지수는 B지역과 D지역이 53.7%로 가장 높은
        4,000원
        30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성산은 북위 37˚15'15'~37˚17'00'와 동경 127˚09'30'~127˚11'00'에 걸쳐 용인시에 위치한다. 본 조사 지역에는 4강, 34목, 75과, 175속, 243종, 45변종, 5품종 등 모두 29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등급 1종류, 4등급 1종류, 3등급 6종류, 2등급 3종류 및 1등급 1
        4,300원
        30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악산(대청봉 1,708m)아고산대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5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81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설악산의 아고산대 산림식생은 분비나무군락군 유형으로 크게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철쭉군락과 개들쭉군락, 철쭉군락은 만주고로쇠군과 잣나무군 (시닥나무소군과 뽕잎피나무소군), 개들쭉군락은 눈잣나무군과 눈향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총5개의 식생유형으로 나타났다.
        4,000원
        30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계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0과 250속 350종 51변종 9품종으로 총 410종류가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410 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특산속인 금강초롱꽃속을 포함하여 총 15종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도 6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6과 10속 11종 1변종으로 총 12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생활형조성은 H-D4-R5-e type을 보였고,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9.8%로 가장 높았고, 목초용(38.3%), 약용(33.2%) 및 관상용(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계산의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etalia mongolicae community group)으로 대표되며, 하위군락으로는 소나무-신갈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Betula schmid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군락(typical community)이 형성되어 있고, 남서쪽 계곡으로는 가래나무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이 분포하였다.
        5,400원
        30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천연 활엽수림내에 분포하고 있는 고로쇠나무의 입지 및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림의 지형적 특성은 고도 1,000~1,200m, 평균경사 24˚, 북동에서 북서방향의 사면에서 우점하고 있다. 고로쇠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의 토양특성은 A층 토양깊이가 평균 22cm로 갚고, 수분함량은 36.9%로 높으며,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었다. 또한 고로쇠나무와 함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주요수종은 거제수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층층나무이었으며, 고로쇠나무림내 하층 초본류는 벌깨덩굴, 오리방풀, 노루오줌, 관중, 단풍취 등이었다. 고로쇠나무의 생장분석결과 고로쇠나무의 수고생장량은, 초기에는 최대 0.25m까지의 생장을보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연간 0.1m이하의 생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직경생장은 초기에는 연간 1mm이하의 생장을 보이다 4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최대 0.3mm의 생장을 보였으며, 최근에도 2mm정도의 생장을 유지하고 있다. 재적은 수령 120년경에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를 수령 200년까지도 유지하고 있어 목재부후가 없을 경우 벌기령이 매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0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six species of the subfamily Herminiinae were recognized from the lepidopteran surveys in Mt. Changbai (China) during 1999-2004. Among them, six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Paracolax fascialis (Leech), P. fentoni (Butler), Polypogon gryphalis Herrich-Schäffer, Sinarella japonica (Butler), S. punctalis (Herz), and S. cristulalis (Staudinger), and seven species are new to Mt. Changbai: Hadennia incongruens (Butler), Paracolax tristalis (Fabricius), Paracolax trilinealis (Bremer), Idia quadra (Graeser), Hydrillodes morosa (Butler), Herminia grisealis [Denis & Schiffermüller], and Sinarella nigrisigna (Leech). For the six newly reported species from China, taxonomical notes, color images of adults, and figures of the male or the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4,000원
        30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은 인류가 앞으로 풀어야 할 숙명적인 문제인 식량문제, 자원문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산 학 연 전문가가 참여하여 추진한 「해앙과학기술(MT) 개발 계획」 이 2004년 7월 28일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에 통과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MT 개발을 추진할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2005년 6월부터 「MT개발기획」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해양과학기술 로드맵(MTRM) 수립을 추진하여 2005년 12월에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T의 국내외 기술개발동향과 현재 직면한 현안문제 및 MTRM수립 결과를 고찰하고, MT R&D 전문기관 설치 운영 및 예산확보 등 MT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310.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주남산의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산림의 다목적이용과 남산의 산림보호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각 층위별로 토양성분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산 산림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토심이 31.4cm 이고 유효토심은 20.0cm 였으며 유기물층의 깊이는 5.9cm였다. 계곡부를 제외한 다른 조사지의 토성은 사질 양토이었다. 전체 토양 pH는 평균 4.76으로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유효인산의 함량은 평균 3.64로 유효인산의 함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환성양이온(, , , )의 함량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함량과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함량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 보다 낮은 함량인 를 나타내었다.
        4,000원
        311.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t. Bislsan, Dalseung-Gun, Daegu in Korea, were studied using a qualitative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and its vegetation types and various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of the major component species analyzed. The forest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2 community group, 14 community, 6 group, and total of 18 vegetation units. Pinus densiflora distributed mainly from lower at the sea level, while Quercus mongolica tended to distributed upper altitude in Physiognomical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values showed mostly 0.8 and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o and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so on highly showed to 1.0 and 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I.V.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highly showed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indera obtusiloba and so on highly showed in the shrub.
        4,000원
        31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th diversity of Mt. Duryunsan and its neighboring area, Haenam, Jeonnam, collected from 2001 to 2004 is presented. A total of 498 species were identified and a logarithmic equation to the species accumulation data provided a good fit (R2=0.98; y=218.
        4,300원
        31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개월 동안,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의 출현상을 채집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Sweeping에 총35과 151종 690개체가 나타났고, light trap에 30과 148종 68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리고 pitfall trap에는 총18과 112종 1674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 건중량은 pitfall trap (181.46 g), light trap (39.85 g), 그리고 sw
        4,000원
        31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site layout in Beopjusa which was built on Maitreya faith in the Shill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reconstruction of Beopjusa means a start in Dhamalsama(法相宗) and then it was supposed to be Buddhist temple which was formed by intersecting axis of centering around a wooden pagoda(捌相殿) with a main Buddhist hall and a lecture hall. 2) After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eopjusa was changed to building layout of intersecting with Yongwabojeon(龍華寶殿) and Daeungbojeon(大雄寶殿) because of harmony with Avatamsaka(華嚴宗) and Dhamalsama centering around Avatamsaka. 3) The buildings of Zen Buddhism was built in the early Chosun dynasty owing to a prevalence of Zen Buddhism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since 17th century, Buddhist halls were each built in their a faith system according to interpenetrated Buddhism(通佛敎). 4) The courtyard type of mountainous district was made on interpenetrate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site layout of Beopjusa is being maintained by centripetal spatial organization through the wooden pagoda as object.
        4,300원
        31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나무림 생태계 이해를 위하여 전나무 임분구조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조사의 일부이다. Leibundgut(1981)의 임분구조 분류에 따르면 A,B임분은 쇠퇴기로 추정되며 C는 갱신기, D는 안정기와 쇠퇴기 복합형, E는 불안정한 시기인 택벌상으로 추정된다.
        4,000원
        31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가는 배양균사로부터 위염, 위궤양 및 여러 가지 암에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베풍긴(befungin) 약제의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차가는 자작나무 줄기에서 주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자작나무 자생지는 해발고도 1,100m 이상에만 나타난다. 하지만, 우리는 점봉산의 거제수나무에서 차가버섯을 채집할 수 있었으며,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PDA 배지를 이용하여 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차가 균은 5개 부위 중차가 균으로 만연된 나무조직에서 분리될 뿐 다른 부분에서는 분리가 어려웠다. 균핵에서 확인한 포자는 6.0∼10.0 × 4.5∼6.0㎛ 크기를 나타내었고, 균사 굵기는 2.5∼5.0㎛ 이었다. 실내 배양에서 균총은 불규칙한 모양을 띄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균총의 중간 중간이 노란색으로 변색되었다. 약 20일이 경과하면 노란색으로 변색된 부분에서 적갈색의 강모(setae)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강모의 크기는 4∼6 × 100∼420㎛ 이었다. 차가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은 배지는 OA(oatmeal agar)이었다. 적합한 온도 범위는 25∼30℃이었으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pH는 8.0∼9.5로 비교적 높은 산도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320.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 군집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엽산 일대에 4개의 지점을 정하여 light trap, pitfall trap, 그리고 sweeping의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48과 358종 3053개체가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과는 Carabidae로 50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Chrysomelida 가 40종 그리고 Curculionidae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