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3

        34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형에서 불균형과 부적정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양형에 대한 불신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형의 정형화된 시스템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2007년 대법원은 양형위원회를 조직하여 양형기준제를 도입하였고, 이와 함께 양형기준제의 합리적 운용을 위해 법원직원 21명을 양형조사관으로 전국 7개 지방법원에 배치하여 양형조사제도를 시행하였다.그러나 대법원의 양형조사제도 운용에 대한 권한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었고, 따라서 대법원은 판결(2010도750)을 근거로 하여 이를 무마하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반대와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기존의 판결전조사제도와의 충돌되는 부분을 놓고 타당한 담당주체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현행 양형자료조사제도의 법이론 및 법체계상 적합성, 전문성, 공정성, 경제성이라는 4가지 기준으로 도출된 결과와 외국의 양형자료조사제도의 고찰을 통하여 보호관찰 조직이 1988년 도입한 소년형사범에 대한 판결전조사와 1997년 성인형사범에 대한 숙련된 경험은 단시간 내에 얻을 수 없는 무형의 자산이며, 보호관찰관에 의한 양형조사는 양형의 합리화뿐만 아니라 교정·보호활동의 합리화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천문학적인 국민 혈세의 낭비를 막는데 효과적이므로 보호관찰관이 양형조사를 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343.
        201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성폐기물 처분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방사성 핵종의 수착특성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성이 취약하여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방법으로 핵종 수착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KAERI-SDB)를 개발하였다. KAERI-SDB를 개발하기 위하여 1998년에 개발된 수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SDB-21C을 분석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였으며,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정 및 보완된 핵종 수착 자료에 실시간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KAERI-SDB는 로그인/회원가입, 자료 검색 및 저장 그리고 검색결과에 대한 차트 구현 등의 기능들이 포함되도록 고안되었다. KAERI-SDB는 수착 자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향상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 처분 안전성 평가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핵종 수착관련 자료들을 일반인에게 공개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 처분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와 대중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34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l-time data reduction pipeline for the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was develop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The main goal of the data reduction pipeline is to find variable objects and to record their light variation from the large amount of observation data of about 200 GB per night per site. To achieve the goal we adopt three strategic implementations: precision pointing of telescope using the cross correlation correction for target fields, realtime data transferring using kernel-level file handling and high speed network, and segment data processing architecture using the Sun-Grid engine. We tested performance of the pipeline using simulated data which represent the similar circumstance to CTIO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and we have found that it takes about eight hours for whole processing of one-night data.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pipeline works without problem in real-time if the network speed is high enough, e.g., as high as in CTIO.
        4,000원
        34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형 자료는 지구과학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상세한 분해능을 가지는 DEM 자료가 활용가능하며 따라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DEM 자료의 무손실 압축 및 효율적인 복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수웨이블릿 변환과, 엔트로피 부호화의 개념을 이용하여, 웨이블릿 계수의 부호화 및 일부 영역의 지형복원 방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정밀 중력 지형보정 과정에서 이러한 연구 결과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DEM의 압축률이 가장 좋은 웨이블릿은 CDF3.5이며, CDF3.1 또는 CDF3.5 웨이블릿을 사용하여 3단계 정도로 분해를 하는 것이 최적의 선택이다 (약 45.4%의 압축률). 또한 웨이블릿변환의 다중단계분석 특성을 활용하여 웨이블릿계수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지형의 일부만을 복원할 수 있었다.
        4,300원
        34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70 ~ 2000년 기간 세계 148개국으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이용해 세계 식량생산함수를 추정하였다. 생산함수의 결정요인으로는 노동, 물적자본, 인적자본 및 경작면적 등 경제적 생산요소뿐만 아니라 강수량과 기온 등 기후적인 요인까지 포함하였다. 또한 권역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권역더미변수를 고려해 권역 간 설명변수별 추정계수에 대한 동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설명변수 중 노동, 물적자본 및 인적자본 등 경제적 요인들의추정계수가 유의하고 그 부호도 경제이론과 일치하는 것으로나타나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생산요소 중경작면적의 탄력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식량생산이기본적으로 토지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당연히 예상할 수있는 결과라 하겠다. 이를 통해 식량생산의 증가를 위해 경작면적의 확대가 긴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기후온난화와 더불어 사막화로 인한 경작면적의 감소가 장기적으로 식량위기의 원인으로 대두될 수 있으며 이에 대비하기 위해 관개시설 및 간척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경작면적을 확보해 나가야 할 당위성을 입증한다 하겠다. 셋째, 각 설명변수가 식량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권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식량생산에서 규모에 대한 수익은 경제발전이 심화된 [북미 및 유럽]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대부분의 국가가 개발도상에 있는 [남·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와 [중앙·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특성을 나타내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세계적인 식량위기의 원인을 찾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갖는다. 식량위기가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생산요소의 탄력성이 권역별로 상이한 만큼 식량위기의 발생 원인도 권역별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식량위기의 해결방안 역시 권역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식량위기에 대처하려는 국제기구와 각국의 정부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식량생산의 규모수익이 개도국에서 크게 나타난다는 분석결과는 노동, 물적자본 및 인적자본과 경작면적 등 생산요소를 일정비율로 확충할 때에 식량생산은 그 비율 이상으로 크게 증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식량생산 확대를 위한 국제적 협력의 과정에서 권역별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넷째, 강수량의 추정계수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관개수로 확대, 저수지 확보 등을통한 물관리가 이 권역의 식량생산을 증가시키는 데에 상당한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권역에서는 강수량의 추정계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하라이남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권역에는 이미 관개수로가 어느정도 발달해 있기 때문에 강수량의 변화가 식량생산에 미치는영향이 비교적 작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섯째, 기온이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권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남미 및 캐리비안],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와 [남·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에서 유의하였으며, [북미 및 유럽]과 [중앙·서아시아 및북아프리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남미 및 캐리비안],[사하라이남 아프리카]와 [남·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의 경우 추정계수 부호가 반대로 나타났는데, 이는 후자의 권역에서는 이미 관개수로가 어느 정도 정비되어 있어 기온이 높아지더라도 2기작 혹은 3기작을 통하여 쌀의 생산을 늘릴 수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온의 변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있다. 즉, 각 권역의 식량생산은 재배작물의 재배방식과 관개시설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온변화의 영향만을 분리하여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는것이다. 기존 문헌에 대한 본 연구의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Lee et al. (20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식량위기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148개국을 망라하는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관련문헌에서는 처음으로 세계적규모의 식량생산함수를 추정하였다. 둘째, 식량생산에 절대적영향을 미치는 기후적 요인을 고려하기 위해 강수량과 기온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여 식량생산함수를 추정하였다. 셋째, 기후및 생산되는 식량 등의 특성에 따라 대상국가들을 5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권역별로 식량생산함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 기후요인 및 식량생산의 특성을 고려해 대상국가들을 권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나, 주요 식량을 좀 더 세분하여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식량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생산요소와 적합한 기후조건이 많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더 세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더 유의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식량생산과 설명변수들과의 관계를 선형함수로 상정하였으나, 이를 비선형함수로 확대한다면 기후변수 및 생산요소들이 식량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더 다양하게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 세계적으로 식량생산함수를추정하고자 하였으나 자료획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부 국가가 빠졌으며 불균형 패널자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강수량 및 기온의 국가별 시계열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점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기간도 1970 ~ 2000년으로 축소되었다. 향후 더 많은 국가로부터 더 장기간의 시계열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얻을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위와 같은 한계점들을 보완함으로써 향후의 후속연구를 통해 관련연구의 지평을 더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00원
        34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적벽강 지역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적벽강 지역의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은 해안 절벽에 형성된 큰 규모의 뚜렷한 퇴적구조와 암석을 관찰할 수 있어 지구과학 교과 야외학습 자료로 개발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중등 과학과 교과과정의 일반적 내용,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5단계 야외학습 모델이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20명에게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야외학습 과정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한 학습자료를 이용한 야외지질학습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을 높였고 학습 활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4,600원
        34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pollutants emitted into the air. Some of these pollutants have a malodor. Unlike other pollutants, people are able to detect and feel discomfort when this type of pollutant becomes high peak concentration instantaneously. In this sense, the peak concent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odor management and modeling. In previous odor modeling, the peak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one-hour average concentration using the correlation equ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ppropriate method to predict the peak concentration using meteorological input data of high time resolution in the odor modeling. It show that the peak concentration could be directly calculated from the dispersion modeling without using the correction equation when fine time scales such as 1 min or less time intervals are used as the meteorological input.
        4,300원
        35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의 웹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는 다양한 원격지로부터 접근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대용량 시계열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공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계열 래스터 데이터베이스의 웹 서비스를 위하여 REST(Representation State Transfer) 방식의 오픈 API를 구현함으로써 웹 GIS 서비스의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내에 시간객체 및 시간함수를 생성하여, 이미 존재하는 공간객체 및 공간함수와 결합시킴으로써 시계열 래스터 자료에 대한 시공간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서버 간의 요청/응답 구조를 경량화한 REST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채택하고, 그 인터페이스인 URI(unified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시공간 질의문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오픈 API는 개발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Java, C++.NET, C#.NET, VB.NET 등의 컴파일러 언어와 JavaScript, Python, Ruby, R 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하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지원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오픈 API의 가용성 테스트를 위하여, 웹상에서 3D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구글어스 웹플러그인(Google Earth Web Plugin)과 WebGL(Web Graphics Library) 을 이용하여 시계열 래스터 자료에 대한 시공간 질의와 그 결과의 3차원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4,000원
        35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 7월 26일 서울은 장마에 동반된 기록적인 대류성 집중호우로 인해 약 2천5백억 원 이상의 재산피해와 57명(사망자)의 인명손실이 발생되었고, 2012년 8월 27일 15호 태풍 볼라벤에 동반된 집중호우로 광주광역시에는 보다 약한 집중호우와 강풍을 동반하여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시켰다. 위의 사례에 대해 KLAPS(기상청 국지분석 및 예측시스템)을 사용하여 집중호우 시 다른 물리적 요소들에 의한 중규모 과정들의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것은 레이더관측과 천리안 위성관측 자료로부터 강우강도를 도출하는데 호조건의 전형적인 중규모 시스템이기 때문에 선택되었으며, 두 사례는 모두 집중호우 발생에 좋은 환경임을 보였다. 2011년 장마에 동반되어 서울에 나타난 사례에서 레이더와 천리안의 정량적인 강우강도를 지상강우계 관측과 비교했을 때, 최대 관측값이 85 mm/hr 이상이 나타난 시점에 비해 약 50 mm/hr 이상이 과소 추정되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레이더 강우강도는 35 mm/hr의 차이와 천리안 강우강도는 60 mm/hr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2012년 8월 27일 15호 태풍 볼라벤에 동반되어 광주광역시에 나타난 강우강도와 지상강우강도의 경향은 위의 사례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정량적인 강우강도 차이는 최대 관측값이 17 mm/hr 이상이 나타난 시점에 비해 약 10 mm/hr 이상이 과소 추정되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레이더 강우강도는 5 mm/hr의 차이와 천리안 강우강도는 10 mm/hr의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태풍 볼라벤에 의한 집중호우가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이었다. 두 사례에 대해 레이더 강우강도와 천리안 강우강도는 지상강우강도와 시계열적으로 비교했을 때,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600원
        353.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공적인 국제 Argo 사업을 통해 얻어진 고해상도의 수온 및 염분 프로파일들을 이용하여 준실시간으로 3차원 전지구 해양 상태의 재현이 가능해졌으며, 전지구 해양 자료 분석 연구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XBT와 Argo 자료의 계통 오차, 열염분 해수면 높이 및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의 해수면 수지 불일치, 해양 열용량 변동 및 객관 분석장 개발 현황 등 최근의 자료 분석 연구의 주요 쟁점들에 관해 정리하였다. 특히 동아시아 해역에서의 지역 규모 해양 기후 변화 분석에 앞서 매우 신중한 해양 자료의 품질 관리 및 전구 규모의 해양 변동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4,500원
        355.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심부지질환경조건을 반영한 처분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제공하기위해, 그 동안 국내 지하시험시설(KURT)환경조건에서 많은 실험을 수행해 왔다. 안전성평가코드에 사용되는 많은 입력변수 들 중 중요성이 부각되는 입력변수들을 선정하여, 각 변수별로 수집한 자료를 통계처리를 하여 값 분포 특성을 기술하고, 외국자료 값과 비교평가를 통해 값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룬 입력변수로서 용기물 성분야에서 용기수명, 초기파손률을, 완충재물성분야에서는 핵종용해도, 완충재의 공극률, 밀도, 확산계 수, 핵종분배계수를, 암반 및 원계영역에서는 수리전도도, 지하수유속, 핵종분배계수, 확산깊이, 암반균 열폭, 주지하수유동통로까지 거리, 핵종이동오염운의 너비 등이다.
        4,000원
        35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ttempt is given to the problem of analyzing the two-way binary attribute data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order to find a sound statistical methodolog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may not be good enough, especi
        4,200원
        35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 해상 바람 자원 평가에 적용되는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위성자료는 미항공우주국의 QuikSCAT과 유럽우주국의 ASCAT이다.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과정은 연안지역 바람 자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QuikSCAT의 관측 가능한 빔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QuikSCAT 해상풍 자료를 동화하여 제시된 연안 바람장이 ASCAT를 사용한 바람장보다 약간 높은 정확도를 제시한다. 그러나 센서의 직하 부근의 바람장은 상대적으로 ASCAT의 예측 정확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해상풍 위성자료의 동화효과는 6시간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정확한 연안지역 바람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공간해상도뿐 아니라 시간해상도가 높은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 과정이 필요하다.
        4,200원
        35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Ha-soo, Ju Hyang-a, Son Hyun-jung, Kong Nah-yung. 2012.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sociolinguistic factors- study on the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n 20(2). pp. 185-211. In sociolinguistic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linguistic phenomena are influenced more by extralinguistic factors than intralinguistic ones. In particular, issues such as language policy, language contact, langage extinction and language variation are strongly affected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ere a language is being used and taught. In order to analyze linguistic phenomena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ynthetically, we introduce linguistic typological metho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 automated system for the capture, storage, retrieval, analysis and display of spacial data. Using GIS, we present some maps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in order to discuss the regional condi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se areas. We als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s accessibility to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with GIS.
        6,600원
        35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ystem that is relevant to Jang(fermented soybean paste or solution), the relief of hunger- stricken people by Jang, 33 kinds of Jang, and its consumption in the documents,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ungjeongwon daily, Uigwe(record of national ceremony), official documents on the basis of Kyujanggak institute for the Korean studies and data base of Korean classics. There are lots of Jang named after the place of particular soybean's production from the ancient times. Jang, soybean, salt and Meju(source of Jang), during the Dynasty, were collected as taxation or tribute. In the 5th year of Hyeonjong(1664), the storage amount of soybean in Hojo(ministry of finance) was 16, 200 ㎘, and its consumption was 7, 694 ㎘ a year. In the 32nd year of Yongjo(1756), the 1, 800 ㎘ of soybean was distributed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disaster, and in his 36th year(1756), the 15, 426 ㎘ of soybean was reduced from the soybean taxation nationwide. The offices managing Jang are Naejashi, Saseonseo, Sadoshi, Yebinshi and Bongsangshi. Chongyoongcheong(Gyeonggi military headquarters) stored the 175.14 ㎘ of Jang, and the 198 ㎘ of Jang in Yebinshi. There are such posts managing Jang as Jangsaek, Jangdoo, and Saseonsikjang. In the year of Jeongjong(1777~1800), the royal family distributed the 3.6 ㎘ of Meju to Gasoon-court, Hygyeong-court, queen's mother-court, queen's court, royal palace. The 13.41 ㎘ of Gamjang(fermented soybean solution) was distributed to the Gasoon-court, 17.23 ㎘ to Hegyeong-court, 17.09 ㎘ to the queen's mother-court, and the 17.17 ㎘ to the queen's court each. There are 112 Jang-storing pots in the royal storages, and the 690 are in Namhan-hill, where the 2.7 ㎘ of fermented Jang was made and brought back by them each year. At the time of starvation, Jang relieved the starving people. There are 20 occasions of big relief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5th year of Sejong(1423), the 360 ㎘ of Jang was given to the hunger-stricken people. In his 6th year(1424), the 8, 512.92 ㎘ of rice, bean, and Jang was provided and in the 28th year(1446), the 8, 322.68 ㎘ of Jang was also provided to them. In the Dynasty, Jang was given as a salary. In case that when they were bereaved, they didn't eat Jang patiently for its preservation. They were awarded for their filial piety. I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re are 19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the order of Jang(108), Yeomjang(90), Maljang(11), Yookjang(5), Gamjang(4), and etc., . In Seungjeongwon daily, there are 11 kinds of Jang. Jang(6), Cheongjang (5), Maljang(5), and Tojang(3) are listed in order. In the Ihlseong-document, there are 5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Jang(15), Maljang(2), Gamjang(2), and etc., . There are 13 kinds of Jang in Uigwe, and the official documents, in the order of Gamjang(59), Ganjang(37), Jang(28), Yeomjang(7), Maljang(6), and Cheongjang(5). In addition, shi are Jeonshi(7), and Dooshi(4). All these are made of only soybean except, for Yookjang. The most-frequently recorded Jang among anthology, cookbook,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oungjeongwon daily, Uigwe, or officialdocument is Jang(372), and then Yeomjang(194), Gamjang(73), Cheongjang(46), Ganjang(46), Soojang(33), and Maljang(26), which were made of soybean. Jang from China in cookbook is not in anthology and royal palace documents. Thus, traditional Jang made of soybean was used in the daily food life in the royal court, and in the public during the Chosun period.
        4,800원
        36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 (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