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343.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medium, hormones, and PFP on the proliferation of red callus in leaf tissue cultures of Garden orach(Atriplex hortensis L.) was investigated. As a result,88% of leaf tissues formed eallus on MS nledium containing 2mg/l 2,4-D. Fresh weight of callus was higher on MS medium than on Bsand NN media. It was also found that 2, 4-D was more effective than Dicamba and Picloram.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hormones for callus proliferation depended on culture media. Isolated red cal-lus grew markedly both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2mg/l 2, 4-D and Bs medium contain-ing 2-4111g/l 2,4D. Callus proliferated on B5 and NN media containing Dicabma Img/l as well as onthe same media containing 2mg/l Picioram. The addition of PFP concentrations of 2, 5, and 40mg/ lrcspectiely to culture medium caused increase of callus fresh weight, especially under light condition.
        345.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항암식물로 효능이 인정되는 와송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 와송의 해부형태적 관찰, 대량증식을 위한 발아실험, 자생지의 토양분석 및 토양적응실험을 실시하였다. 와송의 잎은 끝에 가시가 있는 건생형이며, 엽세포엽록체는 유관속주위에 집중분포하고, 크고 엽록체를 갖지 않는 저수조직을 갖고 있으며 기공이 양면에 있는 양면기공엽이다. 줄기는 외사포위형유관속이며 중심주는 원기둥상이고 원생중심주이다. 뿌리는 다원형이며, 원생목부가 후생목부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원형이다. 꽃의 구조는 꽃잎이 5개, 수술은 10개, 자방은 5개이며, 자방상위이고, 2심피 중축태좌이다. 와송종자 발아적온는 명상태 25℃ 에서 22.5%로 가장 좋았고, 휴면타파는 5℃ 에서 6~8일, GA3 100 ppm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와송 자생지 토양분석결과 적정수준의 밭토양보다 유기물, 유효인산 석회 등은 높았고, 보비력, 치환성가리는 차이가 없었으며, 고토는 낮았다. 토양적응실험에서 돌가루 조합과 기와가루 조합에서 돌가루와 기와가루가 많이 첨가될수록 생육상태가 불량하였고, 배수가 양호한 처리구에서는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347.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할미꽃의 재배화(裁培化)를 위한 기초실험(基礎實驗)으로 대량번식(大量繁殖) 체계(體系)의 확립(確立)과 품종개량(品種改良)에 있어 그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엽조직(葉組織) 배양시(培養時) 적정한 배지(培地) 및 생장조절제(生葬調節制)의 종류(種類)와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고 약배양(葯培量)에 적합(適合)한 시기(時期)와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한 화분(花粉) 2형현상(型現象)및 캘러스 유기(誘起)에 미치는 효과와 식물체(植物體) 분화(分化)에 알맞는 배양조건(培養條件)에 관하여 조사 하였으며, 재분화(再分化)된 식물체(植物體)의 염색체수(染色體數) 및 동위효소(同位酵素) 분석(分析)을 하였다.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서 엽조직(葉組織)으로부터 캘러스 유기(誘起) 및 생장(生長)에는 auxin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Auxin 단독처리시(單獨處理時) IBA처리구(處理區)에서는 캘러스가 연색(緣色)을 띠는 경향(傾向)이었으나 auxin과 zeatin의 혼합첨가시(混合添加時) IBA는 오히려 연색(緣色)이 멸소(滅少)하였고, NAA와 2,4-D는 연색(緣色)이 증가하였으며 zeatin 1.0mg/l 과의 혼용(混用)에서 더욱 연색(緣色)이 증가하였다. 경엽분화(莖葉分化)는 auxin류(類)만의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 효과가 현저하여 zeatin 1.0mg/l + NAA 1.0 mg/l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2,4-D는 경엽분화(莖葉分化)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근(根)의 발생(發生)은 MT배지(培地)가 MS, LS, B5배지(培地)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auxin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효과적이었고 zeatin 2.0 mg/ㅣ + 1.0 mg/l 에서 근(根)의 발생(發生)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연상태(自然狀態)의 S 화분(花粉)은 35%였으나 4℃에서 4일간 저온처리(低溫處理)한 경우에는 53%로 높아졌으며 약(約)으로부 터 캘러스 유기(誘起)에 가장 적합한 화분발육시기(花紛發育時期)는 1핵성(核性) 소포자기(小包子期)였다. 또한 1핵성(核性) 소포자기(小包子期)의 약(葯)을 B5배지(培地)에 NAA 0.5mg/ㅣ + xeatin 1.0 mg/l를 첨가(添加)하여 배양(培養)했을때 가장 양호한 캘러스 유기율(誘起率)을 나타내었으며 植物體分化(식물체분화)는 NAA 0.5 mg/l + zeatin 0.5 mg/l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약배양(葯培養)에서 2세포성(細胞性) 소포자(小胞子)의 균등 불균등분열의 비율은 비슷하였다. 약배양(葯培養)에 의한 캘러스를 MT 배지(培地)에 NH4NO3, KNO3의 유(有) 무(無) 및 zeatin을 혼합첨가(混合添加)하여 배양(培養)했을때 식물체(植物體) 발생(發生)에 NH4NO3가 KNO3보다 효과적이었으며 zeatin 2.0 mg/l 에서 70.5%로 가장 양호하였다. 약배양유내(葯培養由來) 식물체(植物體)의 배수성(倍數性)은 반수체(半數體)(2n=8)가 28%, 2배체(培體)(2n=16)가 47%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3배체(培體), 4배체(培體)와 혼수체(混數體)였다. 분화(分化)된 캘러스, 반수성(半數性) 및 2배체(培體) 식물체(植物體)의 엽(葉)과 엽병(葉炳)을 동위효색(同位酵索) 분석(分析) 하였던 바 캘러스, 반수성(半數性) 식물체(稙物體) 및 2배체간(倍體間)에 E.S.T, P.X, M.D.H banding pattern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2배체(培體)의 엽(藥)과 약병간(藥炳間)에는 차이가 없었다.
        348.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담은 뿌리에 Gentiopicros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방에서 고미건위약으로 이용되는데 수요전량을 야생채취에 의존해왔으나 공급의 절대부족으로 '92년에는 46,183kg을 수입, 매년 그 양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실생에 의한 증식이 곤란하여 아직까지 재배화 되지 못하고 있는바, 종묘 생산을 위한 기내 대량증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엽육 조직배양시 MS 배지에서의 callus 형성율은 2,4-D 0.1mg/l 에 BA 0.2mg/l 첨가에서 16%를 보였고 shoot의 형성은 2,4-D 0.5mg/l 에 BA 0.2mg/l 에서만 8% 이루어졌으며 2. 경편배양에서 shoot의 형성은 2,4-D 0.1mg/l 에 BA 0.2mg/l첨가에서 24% 이루어졌고 식물체 기내 생육은 2,4-D 0.5mg/l 에 BA 0.2mg/l 처리가 가장 양호하였다. 3. 배지의 종류에 따른 shoot의 길이와 평균엽수는 GD배지에서 7.9cm와 9.2매로 가장 좋았으나 shoot의 증식수는 MS배지가 5.0로 가장 많았고 B5〉GD〉WPM〉DKW배지의 순으로 좋았으며 4. 배지의 pH별 시험에서는 5.0에서 6.2까지 높아질수록 shoot 길이와 증식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식물체의 정상적 생육은 pH 5.9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지내 활성탄의 첨가농도가 2g까지 높아질수록 shoot 길이가 증가하여 개체의 생육은 건전하였으나 shoot 증식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5. MS 배지에 2,4-D 1.0~2.0mg/l 처리에서 유도한 체세포 돌연변이주는 키가 큰 신장형이 63%였고, 작은키의 위축형은 37%였다.
        350.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육종을 위한 기초 연구로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가성을 검토한 결과, 1) 액아 배양에 적합한 배지로는 MS 배지와 DKW 배지가 77%의 신초형성율을 보여 가장 양호하였고 WPM과 GD배지는 다소 저조하였다. 2) 얻어진 기내 Shoot의 증식에는 DKW가 6.8개의 신초를 형성하고 신초장이 4.5cm, 엽수도 10.8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B5 〉 GD 〉 MS 〉WPM의 순이었다. 3) Shoot 증식에 적합한 sucrose의 농도는 MS배지의 경우 3%가 좋았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초의 기내 생육에 제한적이었으며, 활성탄의 영향으로는 배지내 농도가 2 g / l 까지 증가할 수록 개체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4) MS배지의 경우 무기염류의 농도는 2MS에 비하여 1/4MS까지 낮아질수록 기내 생육에 적합하였다. 5) Shoot증식을 위하여 BA 0.5mg / l에 auxin을 종류별로 혼합 첨가한 결과 2,4-D 첨가구의 경우 Callus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Shoot 증식에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IAA와 IBA 처리는 Callus가 전혀 유기되지 않는 반면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NAA에서는 Callus형성과 Shoot증식 이 모두 이루어졌다. 6) 신초의 기내 발근유도 시험에서는 MS매지에 NAA 0.5mg / l 와 BA 0.5mg / l를 첨가한 처리에서 신초로부터 정상근이 분화 되었으나 5% 비율로 낮았다.
        351.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은 종근(種根)을 분근(分根)하거나 苗頭植付法(묘두식부법)을 쓰고 있는바 이는 마 재배시(栽培時) 종근(種根)의 소요양(所蓉量)이 과다(過多)하다는 문제(問題)로 증식비률(增殖比率)이 낮아 대량증식(大量增殖)을 기대(期待)하기 어려운 실정(實情)이다. 따라서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이용(利用)한 종근증식(種根增殖) 체계(體系)를 이용(利用)코저 마의 줄기마디 부분(部分)을 시료(時로料 )하고 무기염류(無基鹽類)의 농도(濃度)를 1/2, 1/4, 1/8로한 MS배지(培地)와 옥신류(類), Cytokinin류(類) 처리(處理)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S배지(培地)를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기내배양(器內培養) 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발육상태(發育狀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배지내(培地內) 무기염농도(無機鹽濃度)가 점차(漸次) 낮아 질수록 shoot장(長)을 촉진(促進) 시키고 출엽(出葉)과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가 모두 증가(增加)되는 경향을(傾向) 보였으며 출엽율(出葉率)과 발근율(發根率)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볼때 배양초기(培養初期) 보다는 중후(中後)로 경과(經過)할수록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키는 정도(程度)가 빨라 지므로서 MS배지(培地)에 비(比하)여 1 /8MS에서 보다 뚜렷한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보였다 3. MS배지(培地) 농도(濃度)에 따른 IBA와Kinetin을 고정(固定)시키고 IAA와 NAA를 농도별(濃度別)로 첨가처리(添加處理)한 것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발육(發育)을 억제(抑制) 시키는 작용(作用)이 있었다. 4. 1/8MS에 IBA 5mg / l, Kinetin 2mg / l으로 IAA와 NAA를 각각(各各) 1mg / l으로 할때 shoot가 길어지고 출엽(出葉) 및 발근(發根) 효과(效果)가 있었다. 5. 1/8MS 選擇培地를 가지고 Kinet고과 BA에 2,4-D를 농도별(濃度別)로 조합처리(組合處理)한 결과(結果) shoot 유기(誘起)가 지극(致極)히 불량(不良)하였으나 Kinetin에 IBA와 IAA를 조합처리(組合處理)할 경우(境遇) shoot 발생(發生)이 많아지고 출엽(出葉), 발근효과(發根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354.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흰잎마름병(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병원세균(K1)의 조직내에서의 증식과 이동 그리고 수공을 통해 추출되는 병원세균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항성 품종에서는 접종 3일후에 약 103 cfu/cm2 로 12일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리병성 품종에서는 접종 6일에 약 104 cfu/cm2 에서 접종 12일에는 약 108-109cfu/cm2 로 계속 증식하였다. 2. 병원세균의 접종부위로부터 상, 하향 이동속도 및 증식속도는 상향이동이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며 리병성 품종에서 빠른 증식과 이동속도를 보여 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은 생육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감염된 잎의 수공을 통해 나오는 병원세균의 농도는 조직내에서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과 일치하였으며 저항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55.
        198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lants from stem, leaf and root tissue of Cissus juttae were plased on Ms medium supplemented ifferent combination of 2.4-D, NAA, Kinetin and BA in a actorial experiment. some callus formed in every treatment, but the best callus growth was on media containing 1.0 mg/l NAA and 1.0 mg/l BA. Formation of advantitious emboyos was evident in callus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357.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가불화합성 작물인 스테비아는 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삽목에 의해 번식하고 있으나 그 소요기간과 증식률이 낮다. 본 실험에서는 액아로부터 완전한 식물계로 분화시켜 대량 증식을 위한 기내배양조건을 알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Skoog(MS) 기본 배지에 NAA와 kinetin을 단독 처리할 때 액아로부터 shoot분화가 가장 좋은 경우는 NAA는 0.01-0.05mg/의 범위였고, kinetin은 0.5-1.0mg/의 범위이었다. 2. MS배지에서 shoot분화는 NAA 0.01-0.05mg/와 kinetin 0.5-1.0mg/을 조합처리하였을 때 좋았다. 3. MS배지의 salt strength를 달리할 때 1 MS가 12XMS보다 shoot분화와 생육에서 좋을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root분화는12XMS에서 높았다. 4. 이상의 결과로보아 스테비아는 단시일 내에 많은 양을 증식시킬 수 있으며 shoot분화와 root 분화시 배지의 염류농도와 홀몬농도를 달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