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붕소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근류 형성, 수량, 양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및 다른 미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시비량을 달리한 시비처리를 하였다. 붕소 처리수준은 1) ; 0.0, 2) ; 0.2, 3) ;2.0, 4) ;6.0, 5) ;6.0, 5);15.0me B/po
        4,000원
        2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5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제주대학교 동물사육장 초지시험포장에서 초종혼파조합 차이에 따른 잡초억제 효과를 구명키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 처리(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세구 4처리(보조초종 단파; T1, 툴페스큐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2,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3,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4)를 3반복하여 분할구 배치법으로 처리되었다. 목초의 2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주구 즉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에서 각각 15,437kg/ha, 14,581kg/ha이었고, 세구 즉 T1, T2, T3 및 T4에서는 각각 14,815kg/ha, 15,407kg/ha, 14,629kg/ha, 15,187kg/ha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년차 1차수확시 주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으나 세구간 즉 T1(보조초종 단파)구가 3,376kg/ha로서 가장 낮은 건물수량을 보였고 T3, T4가 각각 4,591kg/ha, 4,816kg/ha로서 T1의 건물수량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2년째 평균 건물수량 역시 세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며 T4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 T1 및 T3구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초년도 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보조초종으로 이용하는 것이 켄터키 블루그라스보다 잡초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여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없어져서 서로 비슷한 추세였다. 2년차 말에 보조초종 켄터키 블루그라스 이용으로 다소 잡초를 감소케 하는 경향이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2년 전체적으로 볼 때 오차드 그라스를 조합한 구(T2, T3 및 T4)가 보조초종 단파구(T1) 보다 잡초율을 낮게 했다. 목초의 조단백질은 처리별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10월 수확시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NDF와 ADF 함량이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것에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7월 수확시에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ADF 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것 보다 고도히 유의적 차이로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초년도 봄에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혼파하므로 잡초 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건물생산에 뚜렷한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본 시험결과로서 오차드그라스 조합이 잡초 억제에 가장 유리한 초종이었으며 건물수량도 가장 높았다.
        4,000원
        24.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organic phosphate ( 200kg/ha), fermented cow manures( 200kg/ha, 400kg/ha) and poultry manures( 200kg/ha, 400kg/na) levels mixed with sawdust on the soil changes and productivity of alfalfa monoculture, a field experiment ar
        4,000원
        25.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etition relationship between orchardgrass(Docflis glomerutu L. cv; Potomac) and red clover (Trifnlium prurense L. cv; Kenland) was investigated under the pure and mixed swards. Each species were grown in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pot
        4,000원
        26.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pons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rneruta L.) varieties to grazing at the condition of monocultures and mixed pastures on the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at Suwon from Sep. 1989 to Oct. 1991. The
        4,000원
        27.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pons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rrata L.) varieties to grazing at the condition of monocultures and mixed pastures on the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at Suwon from Sep. 1989 to Oct. 1991. The
        4,000원
        28.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falfa 단파초지(單播草地)에 있어서 최대총건물(最大總乾物) 생산(生産)과 질적(質的) 향상(向上)을 위한 예취적기(刈取適期)가 연구(硏究)되었다. 최대총생산수량(最大總生産收量)을 위한 예취기(刈取期) tc(장(張), 1971)가 alfalfa 초종(草種)의 영속성(永續性)과 동시에 CP 및 IVD의 높은 수준(水準)을 수분하는 최대건물생산수량(最大乾物生産收量)의 적기(適期)로 선택(選擇)되었다. 이와 동일(同一)한 이론적(理論的) 근거에 입각하여
        4,000원
        29.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단파초지(單播草地)의 최고총생산수량(最高總生産收量)과 질적향상(質的向上)을 위한 수확적기(收穫適期)를 장(張) (1971)의 총생산수(總生産收) 양식(量式)에 의하여 이론적(理論的)으로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였다. Orchardgrass초지(草地)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으로 0% 개화기(開花期)에 목확(牧穫)하는 것이 IDV와 CP의 높은 수준(水準)과 함께 최대건물생산량(最大乾物生産量)을 달성(達成)할 수 있다는
        4,000원
        3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단파 하계룡의 학행과 그의 시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단파 하계룡은 세상에 크게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겉으로 보아서는 이렇다 할 벼슬을 한 것도 아니고, 남긴 약간의 저술이 󰡔단파유고󰡕라는 이름으로 후손에 의해 정리되어 출간된 것 이외에는 내세울 것이 없다. 하지만, 그는 당시의 사람들에게 삼불후 가운데 벼슬을 뺀 치와 덕을 누린 사람으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당대의 대표 적 학자인 정재규와 권재규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가 당시에 이러한 평가를 받았던 까닭은 그의 선조 창주와 습정재로부터 물 려받은 가학, 그 가운데에서도 효성을 깊이 본받았고, 또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에서부터 이어져온 학문, 그 가운데에서도 실천적 행실을 배운 때문이었 다. 그래서 그는 집안에서는 위로 선조와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 아래로 친족 과 자손들에게 돈목과 우애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향촌의 인사들에게 존모를 받았던 것이다. 그의 이러한 일생과 삶의 지향은 그의 많지 않은 시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첫 째는 과거가 자신이 갈 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공령을 버리고 학문을 좇았 던 일을 노래한 것이고, 둘째는 자신의 부모형제와 선조가 있는 고향에 대한 그 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셋째는 효를 실천하는 차원에서 일생 심력을 기울여 추 진했던 선조에 대한 추념을 노래한 것이고, 넷째는 같은 선조 아래에서 우애 있 게 지내기 위해 노력하던 마음이 담긴 친족 간의 화목을 중시하던 뜻을 읊은 것 이다.
        34.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산 건생강으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고자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몇 가지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극초단파(2,450 MHz, 50 W) 추출에서 원료의 입자크기는 60 mesh 내외, 시료와 용매의 비는 1:10 (g/mL)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농도 50% 이상에서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
        35.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고추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신소가게 추출하고자 기존 추출방법들에 비하여 신속성과 환경친화성이 인정되고 있는 극초단파 추출공정에 필요한 몇 가지 기본조건을 검토하였다. 극초단파 추출에서 건고추의 입자 크기는 60 mesh, 시료와 용매(에탄올)의 비는 1:10(g/mL)이 적당하였고, 에너지 용량은 50 W에서 올레오레진과 capsanthin에 대한 추출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capsanthin
        36.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bot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in the soybean canop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dry matter production. The soybean cultivars 'Hwanggeumkong' and 'Paldalkong' were sown with the spaces of 60~times 15cm and 30~times 15cm at Suwon on May 20 and on June 20 in 1989. The ratio of PAR to the total shortwave radiation was estimated by the empirical equation derived from sunshine hours and direct incoming radiation.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 interception and the leaf area index were expressed as a function of Beer's law. The extinction coefficients(k) in the functions ranged from 0.77 to 0.92. The values of k were greater at higher planting density, but they were affected neither by planting dates nor by varieties. The reflection ratio of PAR(α ) was determined by the exponential function as below; α =α p-(α p-α o) exp(-kㆍLAI) where α p was the reflectance at the maximum LAI and α o was that of the bare soil. The ap ranged from 0.025 to 0.035 and α o ranged from 0.11 to 0.12, respectively. The reflected PAR ranged from 0.049 to 0.064 and the transmitted PAR ranged from 0.168 to 0.340 until maximum dry weights were observed. The slope from the linear regression of dry matter on absorbed PAR, conversion efficiency, ranged from 1.30 to 2.3g MJ-1 during the growing season until maximum dry weight was reached. The total dry matter yield above ground (TDM) increased with the increases in the conversion efficiency. TDM was higher in Hwanggeumkong than Paldalkong and higher in the space of 30~times 15cm than 60~times 15cm, Paldalkong showed higher harvest index than Hwanggeumkong. than Hwanggeumkong.
        37.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군락에 흡수된 단파폭사와 건물생산과의 관계를 단경밀식적응품종인 팔달콩을 공시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파폭사의 군락에서의 감쇄계수는 0.53, 총투과된 양은 입사된 단파폭사량의 31.9%이었다. 2. 생육시기별 지하부 건물중과 그 기간에 군락이 흡수한 단파폭사의 적산치는 등숙기인 출현후 88일항까지는 직선적 비례관계가 성립하였고, 건물로의 변환효율인 비례계수는 1.45gMJ1이었다. 3. 생육기간의 전체반사율은 24.7%이었으며 엽면적지수(LAI) 2.5 이상에서는 입사량에서 투과량을 뺀값과 반사폭사량간의 상관도가 높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