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s four species of Noctuida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Hadennia obliqua (Wileman), Zanclognatha lui Han and Park, Premusia intrahens Walker, and Cucullia hostilis Broursin. The adults and genit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are briefly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and their biological and distributional notes are given as necessary.
        4,000원
        2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방과에 속하는 Eupsilia boursini Sugi, Valeria tricristata Draudt, Othosia satoi Sugi 등 3종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새로이 밝혀진 미기록 3종에 대해 성충의 외부형태적 특징과 암수생식기를 간략한 기술과 함께 도해하였다.
        3,000원
        23.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2004년에 걸쳐 수행된 장백산의 나방류 조사결과로 Plusiinae 아과 3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그들 중 Abrostola ussurienis Dufay, Polychrysia aurata (Staudinger), P. splendida (Butler), Lamprotes mikadina (Butler), Autographa amurica (Staudinger), A. v-minus (Oberthur) 등 6종이 중국미기록 종으로 밝혀졌다. 과거에 보고되었던 Antoculeora ornatissima (Walker), Autographa nigrisigna (Walker), 그리고 Syngrapha hochenwarthi (Hochenwarth)등 3종은 본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새로이 밝혀진 중국 미기록 6종에 대해 성충의 외부특징에 대한 간략한 기술과 그들의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장백산에서 보고된 총 37종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4,000원
        2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산 곤충병원성 선충(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S. monticolum Jiri)을 이용한 잔디밤나방(Spodotera depravata)의 환경 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와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잔디의 예고가 곤충병원성 선충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야외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처리가 잔디밭에 분포하고 있는 개미와 집게벌레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잔디밤나방 3령충은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하여 처리 5일째 53.3%에서 66.7%의 보정사충율을 나타내었다. S. carpocapsae GSN1과 S. monticolum Jiri의 잔디밤나방 3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 (LC)는 6.9와 3.9마리였다.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은 잔디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어 2령충에서 73.3%로 가장 높았으며, 3령충부터 감소하였다. 예고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다. 들잔디의 예고가 14mm인 pot에서 4령충의 치사율은 S. carpocapsae GSN1 처리가 40.0%였고, S. monticolum Jiri처리는 33.3%였으며 fenitrothion은 83.3%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나 45mm구에서는 모두 낮았다. 곰개미(Formica japonica) 분포지에서 선충처리구의 보정사충율은 fenitrothion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개미의 감소율은 fenitrothion구에서 56.7%로 높았고, S. carpocapsae GSN1 처리구와 S. monticolum Jiri 처리구에서는 각각 0%, 6.7%로 낮았다. 잔디의 예고는 S. carpocapsae GSN1과 fenitrothion의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S. carpocapsae GSN1은 3-4cm 예고구에서는 62.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였으나, 6-8cm와 12-14cm의 예고구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못뽑기집게벌레(Forficula scudderi)의 밀도도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만 감소를 보였다. 즉, 3-4cm 예고구에서는 100%의 감소율을 보였고, 6-8cm 구에서는 41.7%, 12-14cm 구에서는 16.1%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6.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구마를 가해하는 됫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의 형태적 특징과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 그리고 발생소장 및 고구마 가해양상을 1999부터 2000년까지 실내와 고구마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성충은 흑갈색으로 체장은 암컷이 20.2mm,수컷이 18.9mm이었고, 날개 편 길이는 각각 33.7mm, 29.4mm이었다. 난은 납작한 원형이며, 유충은 엷은 황녹색-짙은 회색으로 체장은 3.3-53.5 mm이고, 번데기는 진한 갈색으로 체장은 15.1 mm이었다. 난부터 우화까지의 평균발육기 간은 15, 20, 25, 3 (605% RH, 16L : 8D)에서 각각 108.5, 70:7, 40.2, 29.1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각 태별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난은 10.7C와 67.5일도, 유충은 11.0C와 275.1일도, 번데기는 9.3C와 244.6일도 이었다. 암컷의 수명은 위 조사온도에서 각각 14.6, 12.8, 11.1, 10.3일이었고, 산란수는 각각 43, 189,244,265개로 성충수명은 고온일수록 짧아졌지만 산란수는 증가하였다. 됫날개흰밤나방 유충은 고구마 포장에서 6월 중순부터 10월까지 발생되었는데 9월 상-중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유충의 섭식량은 20-에서 가장 많았고, 25C에서 1령, 2령, 3령, 4령, 5령 유충의 1일 섭식량은 각각 0.4, 3.6, 19.6, 40.7, 78.9 였다.
        4,000원
        32.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04년 Herz에 의해 한반도에서 보고된 밤나방과 종들을 재정리하고, 수정한 학명의 종목록을 보고한다. 또한 그에 의해 오동정으로 발표되었던 종들에 대해 설명과 함께 재동정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일부 종의 모식표본 정리와 함께 종에 대한 Lectotype을 설정하였다. 두 종, striata Herz 와coreana Herz을 각각 Coryta grisea Leech와 Apopestes indica Moore의 synonym으로 정리하고, 몇몇 주요 종에 대해 성충으 사진과 수컷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200원
        3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와 외국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밤나방과의 한국미기록종 및 비교적 덜 알려져 있는 24종을 보고한다. 한국미기록종은 Hypenodes curvilinea Sugi, Polydesma boarmoides(Guenee), Catocala bokhaica (Kononenko), Xanthomantis contaminata (Draudt), Craniophora harman야 (Poujade), Amphipyra acheron Draudt, Orthogonia tapaishana (Draudt), Chasminodes ussurica Kononenko, Oncocnemis campicola Lederer, Protomiselia bilinea (Hampson)과 Xistia (Anomogyna) albonigra (Kononenko)등 11종이며, 그 중 일본에서만 기록되었던 P. bilinea (Hampson)은 아시아의 대륙에서는 처음 기록된다. 또한 Athetis pallidipennis Sugi, Pseudocosmia maculata Kononenko, Callopistria miracula Herz Lacanobia dentata Kononenko는 한국에 분포하는 종임이 재확인되었다. Eudocyma 와salamina (Cramer)와 Polydesma boarmoides Guenee는 열대지방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비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오동정되었던 종 H. rectifascia Sugi는 Hypenodes curvilinea Sugi로 바로 잡는다.
        4,000원
        34.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중부와 동부에서만 기록되어 있던 Sineugraphe stolidoprocta Boursin (중국쌍검은밤나방 신칭)이 우리나라에서 새로이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ineugaph2속 은 4종이 되며, 이들 4종의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국내외 분포 및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4,300원
        35.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스톡홀름의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을 재점검하여 F. Bryk (1948)에 의해 한국에서 기록된 대부분 종들의 모식표본을 점겸한 결과를 보고한다. Bryk에 의해 제안된 각종, 아종, 개별형의 학명올 알파벳순으로 전체 목록화하고 그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모식표본에 대한 제정보를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정확한 종명을 제시하였다. Bryk는 한국산 밤나방에 대해 5속,20종,75아종,5형(from) 등을 기재, 발표하였는데, 그중 9종만 현재 유효한 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대부분의 명칭은 분류학적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새로운 이명과 분류학적 변경은 아래와 같다. Euxoa intracta kurilintracta Bryk, 1948은 Euxoa sibirica (Boisduval, 1832)의 syn. n. Euxoa oberthuri nominata Bryk, 1948은 Euxoa subconspicua (Staudinger, 1881)의 syn. n. Diarsia exusta nolimetangere Bryk, 1948은 Sineugraphe bipartita Graeser, [1889] 1888의 syn. Gelastocera ochroleucana f. designata Bryk, 1948은 Gelastocera exusta Butler, 1877의 syn. n. Moma kolthoffi Bryk, 1948 stat. n., comb. n Moma fuluicollis (Lattin, 1949)은 Moma kolthoffi Bryk, 1948의 syn. n. Moma ludifera azugensis Bryk, 1948은 Trichosea ludifica (Unnaeus, 1758)의 syn. n. Acronicta alni korealni Bryk, 1948은 Acronicta alni (Unnaeus, 1758)의 syn. n. Hydrillodes obscurans Bryk, 1948은 Hydrillodes morosa (Butler, 1879)의 syn.n. Mythimna turca matsumuriana Bryk, 1948은 Mythimna turca (Unnaeus, 1758)의 syn. n. Mythimna monticola Sugi, 1981, stat. ress., bona species Cosmia fuluago korecosmia Bryk, 1948은 Xanthia icteritia (Hufnagel, 1766)의 syn. n.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 stat. ress., bona species Euplexia uinacea Sugi, 1982은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의 syn. n. Oligia arcta tegulalis Bryk, 1948은 Eucarta fasciata (Butler, 1878)의 syn. n. D Dadaica differentiata Bryk, 1948은 Athetis albisignata (Oberthiir, 1879)의 syn. n. Virgo uernalis Bryk, 1948은 Virgo datanidia (Butler, 1885)의 syn. n. Zanelognatha triplex koreognatha Bryk, 1948은 Zanelognatha leechi (South, 1879)의 syn. n. 또한 Poole(1989)의 “Catalogue of the World Noctiuidae"에 대해 몇가지를 정정하였다.
        6,400원
        36.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Quadrifinaee" (Euteliinae, Sarrothripinae, Chloephorinae, Plusiinae, Catocalinae, Ophiderinae, Hypenodinae, Rivulinae and Hypeninae)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종을 24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우나,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된다.
        4,000원
        3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Trifinae" (Acronictinae, Noctuinae, Heliothinae, Hadeninas, Cuculliina and Amphipyrinae)에 속하는 59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을뿐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되는 종들이다. 또한 Brithys crini, Apamea hampsoni, Kumasia kumaso, Callopistria japonobia 등 4종은 현재까지 제주도에서만 분포가 알려지는 종들이며, Euxoa lidia, Spaolotis deplorata, Xestia (Anomogyana) albuncula, Lacanobia dentata, Apamea rubrirena, Psudocosmia maculata 등 6종은 북한지역에서만 채집된 종들이다.
        5,800원
        38.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헝가리국립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과 최근 남한지역에서 채집된 밤나방류 표본들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700여종이 밝혀졌다. 이들 중 10종이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므로 이들의 초기재 문헌과 함게 채집지들을 정리, 보고한다.
        5,800원
        39.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숫검 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utler) 유충 하면의 개시와 종료에 온도와 광주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조건에서 하면기간은 유충이 하면을 시작하는 시기가 늦을수록 짧아져서 조사짐단내 용화시기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모든 광주기 및 온도 조건에서 유충의 발육속도에는 변화가 있었으나 하면개시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 였기 때문에 이 곤충의 하면은 내인성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하면의 종료는 이상의 두가 지 환경조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온도조건에 대한 반응에 따라 하면기간은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는데 전기에는 평균온도가 높을수록 하면시간이 단축되었으나 후기에는 저온 일수록 짧아졌다. 또한 실험한 광주기에서는 단일조건 (LD 8 : 16)에서 하면기간이 가장 짧았다.
        4,000원
        40.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 film으로 피복한 포장에서 숫검은밤나방 유충에 의한 담배 피해주율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해주율은 무피복구(n)에 비해 P.E. film 피복구(m)에서 63% 감소하였다. 2. 피복한 휴(畦) 내의 일종 최고 토양온도(5cm 깊이)는 무피복구에 비해 조사기간중 평균 높았으며 6월 중순에는 까지 이르렀다. 3. 유충의 회수율, 토양내 잠복깊이 및 발육 정도 등에서 P.E. film 피복구와 무피복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4. m/n치와 5가지 변형된 피복방법의 결과에 비추어 P. E. film 자체에 의해 숫검은 밤나방유충의 이동 흑은 먹이탐색활동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숫검은밤나방유충의 사망율은 7월 하순과 8월하순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