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VOCs originating from vehicles were measured at 8 underground parking lots(two apartments, four department stores, and two large-scale marts) in Daejeon. The indoor air quality at underground parking lots of the department stores and marts was affected by the availability of the ventilation facility and their operation frequency.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ith a ventilation facility, the maximum VOCs concentration was 727㎍/㎥, and the minimum was 73.5㎍/㎥. The average concentration ratio of BTEX to TVOCs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as almost constant, which was approximately 44.8%. TVOCs and BTEX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0.88. The relative ratio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was 1 : 9.51 : 0.71 : 2.53, directl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vehicles sources.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거더 구조계 주차장 구조물에 대한 차량하중영향 연구를 토대로, 플랫 슬래브 구조계에서 차량하중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최대부재력을 일으키는 차량하중의 적용을 위해 플랫 슬래브의 주요 설계지점에 대한 영향면을 구성하였으며, 플랫 슬래브의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인공 신경망기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두께, 지판 두께, 지판 크기, 슬래브의 단변, 장변 길이 등 주요구조변수로 제시하였다. 사용된 신경망의 훈련은 많은 패턴수를 갖는 비선형 회귀분석에 적합한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해석결과와 인공 신경망의 출력의 비교를 통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플랫 슬래브 구조계의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살펴보면, 보-거더 구조계의 경우와 유사하게 주열대와 중간대의 정모멘트 부재력에서 차량하중에 매우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많은 관광지에서는 극심한 교통혼잡과 주차난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대포항 교차로와 대포항 주차장의 기하구조 및 이용실태를 조사한 후, 현재 교차로와 주차장 진ㆍ출입로의 기하구조와 주차장 운영현황 및 그 이용실태의 문제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제 조사한 교차로의 도로조건과 주차장의 진ㆍ출입로는 조사된 그림(1. 대포항 교차로, 2. 대포항 주차장 구획도)으로 분석하고 주차자의 운영현황 및 이용실태는 현장조사를 토대로 누적주차대수, 주차회전율, 차량당 평균주차지속시간, 주변도로 혼잡영향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분석할 것이다. 분석결과, 주차장 인접 교차로에서는 버스정류장과 우회전 차로의 합류, 우회전 차로와 주차장 진ㆍ출입로의 합류 등의 기하구조상의 문제로 직진ㆍ우회전 차량, 주차장 진ㆍ출입 차량의 혼잡을 예상할 수 있었고, 주중에는 13시 51분에, 주말에는 10시55분에 이미 주차장은 포화상태를 보여 최초 대기차량이 발생하였으므로 주차공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지라는 특성상 기후나 시기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감안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관광지 주차장의 조사는 여러 가지 측면에 더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무에서 이동 집중하중에 대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지 않고도 등분포하중에 대한 부재력으로부터 손쉽게 차량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거더와 보 부재의 설계 부재력을 구할 수 있도록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제안하였다. 먼저 국내에서 생산되는 중,소형 차량의 조사와 외국의 주차장 관련 설계규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주차장 구조물의 한계 활하중인 총중량 2.4ton의 설계기준차량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계 활하중인 등분포하중(500kg/m2)과 집중하중(P=2.4ton)에 대한 구조부재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호 관계식을 부재 길이의 함수로 구성하였다. 나아가 제안된 등가차량하중계수를 대표적인 보와 거더 부재에 적용시켜 그 효율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반 녹화에 적합한 수종의 선정과 식재기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험식재와 사례조사이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식재를 토한 자연토양과 인공토양의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두 지역의 생육이 비슷하거나 인공토양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공토양 식새지에서 생육상태가 더 좋게 나타난 수종은 옥상실험구에서는 서약측백, 살구나무, 단풍나무, 불두화, 회양목, 지하주차장 상부 실험구에서는 수수꽃다리, 무궁화, 자산홍이었다. 인공토양의 토층별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관목은 토층에 따른 새육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토층 30cm에 관목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교목식재지는 45~60cm 토층의 인공토양으로 조성하여도 수목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있었다. 인공지반 조경녹화지역 사례분석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감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목련, 신나무, 희말채나무, 남부지역에서는 남천, 주목, 꽝꽝나무, 아왜나무, 식나무, 사철나무가 인공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적합수종으로 분석되었고 그 밖에 향나무,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등은 지역에 관계없이 적정수종을 판단되었다. 인공지반 녹화공간의 관리는 건조가 장기화 될 경우 관수를 해야 하며 또한 연 1회 이상의 시비가 수목 생육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반 녹화와 관련한 토심규정 세분화와 조경면적으로의 인정기준 등 관련법규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차장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는 A사 에폭시 코팅제와 B사 바닥코팅제(A, B type)에 대하여 GC/MS(Gas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제품별로 함유하고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종류와 함량을 측정해보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중 작업자나 입주자들에게 유해한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을 외부 환경에 따른 오차를 줄이고자 가장 안 좋은 (밀폐) 환경을 가정하고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여 가스배출량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A사 에폭시코팅제가 제품 자체에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가장 많은 양 함유하고 있고, A사 에폭시코팅제에 비하여 B사 바닥코팅제 A type은 약 79%, B type은 약 96% 이상의 적은 양을 나타냈다. 또한, 밀폐된 환경 조건에서 1시간과 8시간 경과 후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여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에 대한 가스배출량을 측정하고 TWA값으로 환산한 결과에서도 A사 에폭시코팅제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A사 에폭시코팅제보다 B사 바닥코팅제 A type은 약 42.3%이상의 적은 측정값을 나타냈으며, B type의 경우 밀폐된 환경 조건에서도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을 모두 만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an waterborne silicon acrylic top finishing material of car parks. The gas toxicity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the material by implemen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The outcomes were satisfied by the quality standard regarding elapsed mean stop times of mice which is prescribed in KS F 2271. A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finishing material could be an optimum material capable of applying for car parks’ deck.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an water soluble silicone acrylic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car parks. The heavy metal contents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supply a guideline for developing a top finishing material. As a results, the sample was satisfied with the quality standard regarding heavy metal contents which is prescribed in KS F 3888-2 of En 71-3. A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top finishing material could be an optimized material usable for car parks’ deck.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waterborne silicon acrylic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s. Pollutant emission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give a guide datum for developing the material by implemen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As a result, specimens satisfied with the quality standard regarding TVOc, HCHO, Toluene which is prescribed in KS F4937. A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finishing material could be an optimized surface finishing material usable for parking lot floo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waterborne silicon acrylic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s. Resistance-Wheel moving load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supply basic datum for developing the material by implemen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As a result, all the specimens were satisfied by the quality standard regarding dynamic wheel load resistance which is prescribed in KS F 4937. A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developed finishing material could be an optimum surface finishing material capable of applying for parking lots’ floor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waterborne silicon acrylic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s. Adhesion strength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enhance performance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adop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The results qualified the standard regarding bond strength which is prescribed in KS F 4937. They are confirmed that the strength ten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polyamide increased and could be an optimum surface finishing material applicable for parking lot floor.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건설된 노후 공동주택 단지의 주차장 부족 현상은 심각하다. 노후 공동주택의 주차장 확대 사례 를 살펴보면 수직으로 지하 주차장을 확장하는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 건축물을 증축할 경우 기초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지하 수직방향 공사의 경우 작업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안전성, 환경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공법을 적용해야 한다. 도심지 공사는 소음과 진동이 작은 공법과 장비의 사용도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지하주차장 확대 공사에 필요한 기초보강 공법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기초보강공법의 적용성을 분석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보강 공법의 적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도출하였고, AHP기법을 통하여 영향요인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초보강 공법의 적 용성을 평가 하였다. 2건의 지하주차장 확대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기초보강공법의 적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tent of damage on the waterproofing layer in the first floor underground parking lot affected by fire through various waterproofing quality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although the first floo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was damaged due to high temperature of the fire, the waterproofing layer applied in the substrate was not damaged to the point that its waterproofing performance would be affected.
In this paper, Considered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existing building for extending underground parking lot. Pile installing methods at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pile cap connection between pile head and existing foundation and static pile load test is accomplished.
최근 쾌적한 주거환경이 중요시되는 트렌드에 따라 공동주택에서 녹지공간 확보를 위하여 대부분의 주차장이 지하로 옮겨가고 있는 현상을 고려할 때,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건설에 있어 균열에 의한 문제점 발생시 유지보수 관점이 아닌 예방이라는 관점의 새로운 차원에서 연구가 필요했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취지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먼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균열에 있어 설계 단계와 시공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전문가 집단에 의한 가중치(중요도) 산정을 통해 실질적인 예방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예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으로 지하주차장의 균열을 살펴보고 각 균열 위험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어느 위험이 가장 위험한지를 파악하고, 그것에 중요도를 두어 설계 및 시공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균열 요인의 중요성과 균열의 위험도를 도출해 냈으며, 사례를 통해 문제점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도출된 문제점을 전문가를 통한 AHP 기법을 통해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개발이전에 비해 더 많은 강우 유출 및 수질악화를 초래하여 적절한 관리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대두되어진 최적화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은 이러한 비점오염물질과 강우유출수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MP 적용을 통한 목표 저감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BMP별 성능을 비교분석하고 대상유역에 적합한 BMP를 선정하여 설계해야 한다. 현재 이와 관련한 모니터링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유역별로 기후와 지형조건이 상이하고, 미계측 유역의 경우 BMP 성능 예측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연구와 더불어 대상유역의 기상조건과 지형 조건을 고려한 BMP 모형화 기법을 이용한 BMP 별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강우유출수의 모의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대천항 주차장을 대상으로 BMP 성능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국제 우수 BMP Database에 수록되어 있는 사례의 결과와 식생저류지(bioretention) 및 투수성 포장(porous pavement)의 가상설치 시 예측되는 수문 및 수질 저감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유출 및 수질 항목별 평균저감율 편차 범위가 -5.8∼+9.6%로 높은 적용성을 보였다. 향후 BMP 설계 및 저감효과 산정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BMP 모의 방법론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차량보유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차를 위해 필요한 면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에서는 건축물에 대해 주차장의 의무 설치를 권장하고 있지만 주차장 포장설계에 관해서는 도로포장과 달리 시방서나 규정 없이 경험적으로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주차장 포장의 설계기준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주차장 설계에 관하여 뚜렷한 기준이 없이 교통량이 적은 단지 내 도로로 판단하여 설계하거나 아스팔트 포장의 최소 설계두께를 적용하고 있다. 설계 시 국내에서는 TA설계법을 많이 사용하며 국외의 경우 AASHTO 설계법을 활용하여 적용하나 하부 지반과 차량수를 고려한 약식 포장 설계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의 문헌조사를 통해 주차장의 기준과 도로포장의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주차장의 적절한 설계를 하기위해 고려해야할 사항 등을 검토 하였다.
The vegetated porous pavement can be installed as an alternative way to replace the traditional pavement, which contributes less to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urban area. This study aims to an investigation based on the shadow and pressure of the vehicle system, where the turfgrass get grown and the green block get constructed on the grassy parking lot. This study might achieve these conclusions, in the case of use ‘green block’ makes grass parking lot, plant a kind of ‘zenith’ and takes sod thickness 40 mm are more efficient for turfgrass growth in the early times. In the case of parking over 8 hours in a day, after 5 weeks turfgrass growth would come into reduce. So over 4 hours parking and after 9 weeks, we need consider to setting up green block in grassy parking lot. The grassy ground would get pressured by the vehicles’ load and it would bring into some damage due to the load after 3 weeks. So we should put the grass’s growth root point under the designed a top of ‘green block’ level. When the vehicle amounts and parking density is in a low level, it could b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