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1.
        200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cility location in designing a supply chain network is an important decision problem that gives form, structure, and shape to the entire supply chain system. Location problems involve determining the location, number, and size of the facilities to be used. The optimization of these location decisions requires careful attention to the inherent trade-offs among service time, inventory costs, facility cost, transportation costs. This paper presents a strategy that provides the best locations of distribution centers using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ssuming the limitation of delivery time. To get the best strategy of the location of distribution centers, we use the new loss functions as a penalty when the delivery time is violated.
        4,000원
        2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지진으로 인한 라이프라인과 공공설비에 대한 위험 지역 묘사 및 물리적 손실추정에 중점을 두었으며,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진영향의 공간적 특성 평가에 사용된 송수관망을 통한 GIS 적용이 강조되었다. 1994년도의 Northridge 지진에서 얻어진 물 공급 능력이 기록된 GIS 자료를 통하여 매장된 라이프라인 피해와 다양한 지진 매개변수들의 상호 관계가 검증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가장 뚜렷한 상호 관계를 갖는 지진 매개변수들이 발견되었다. Northridge지진으로부터 얻어진 GIS 자료를 이용하여 송수관의 손상률, 종류, 직경, 그리고 다양한 지진 매개변수들이 평가되었다.
        4,000원
        26.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재해를 비롯한 인적재난 등 방재정보에 대한 관리기관이 상이하고, 일부 보안이 요구되는 재난 정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적시적소의 자료 공유와 활용, 자료의 정확도 및 표준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만의 고유주제도 개발을 위하여 기구축된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및 방재 관련 유관기관 자료에 대하여 자료 정확성 검토 및 수정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시범지역에 대한 방재기본도 및 방재주제도 작성을 위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구축된 방재기본도 및 방재주제도 자료들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소방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27.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방방재청은 지역안전평가, 재해취약성 검토, 풍수해 및 인적재난에 관련한 위험도 등 재난관리 고유 업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재주제도 발굴과 제작이 미흡하다. 이에 국립방재연구원에서는 자연재해·인적재난·사회적 재난 등으로 분류, 통계자료 위주로 구축되어 있는 재해·재난 관련 정보를 현황도, 분석도, 위험도 등으로 GIS화하기 위한 소방방재 지리정보 종합관리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에서 발굴하고 추진하여야 할 소방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본계획 수립 및 향후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업무지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방재주제도 개발과 그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cale, location, resourc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offshore wind farm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national wind map and GIS. For long-term wind power development, this study pursues siting strategy building, selection of target area and deciding development priority as well as the presenting a basis for assessment that are necessary for policy decision making by making theme layers under GI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after organiz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stages, even if only the most suitable sites are developed among the area of offshore wind farm candidates that can be developed under the current technological standard, it has been evaluated as being able to develop about 3 times of the wind power dissemination target until 2012. It is expected that about 5% of territorial water area can be developed in a short-term future while the southern offshore area possessing relatively favorable wind resource than the western offshore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feasible site. While about 23% of territorial water area has been classified as potential area for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in a long-term future, even Jeju Island and offshore of Ulsan possessing excellent wind resource have been analyzed as feasible sites. The feasibility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establish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national strategy building for accomplishing the wind power dissemination target.
        31.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atially distributed characteristic of longevity regions analysed using GIS tools. Fundamental factors for long life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conditions and artificial conditions. Degree of longevity is defined and used as a key parameter in analyzing longevity region. It is visually shown that aging areas are moving with time and variances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longevity is increased with improving living quality because of improvement of economic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longevity regions of recent times have slightly reversed tendency against urban areas in the manner of moving toward areas where social and economical activities are relatively weaker.
        32.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유역의 수자원 개발 및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정확한 입력정보의 생성방안을 개발하였고, 급속한 도시화의 영향에 따른 수자원 및 환경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전문가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ARC/INFO를 사용한 지리정보체계의 적용과 인공위성 관측자료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 시간적 변화가 큰 안양천 유역의 자료들을 합리적으로 획득하였으며, CLIPS 6.0을 적용하여 전문가시스템 ESPE를 개발하였다. 재현결과가 측정자
        36.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수문지형정보는 기존 주제도의 선정, 사용된 알고리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에 따른 유출수문곡선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계측 유역의 강우유출모의에 효과적인 GI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효강우량 산정에 필요한 GIS 공간자료(개략토양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계획도,위성영상)를 구축하였다. 미국 토양보존국(SCS)의 유출곡선번호(ru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