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2.
        2017.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microstructure of low-carbon steels fabricated by controlled rolling and accelerated cooling processes was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based on various microstructure analysis methods including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EBSD). Although low-carbon steels are usually composed of α-ferrite and cementite(Fe3C) phases, they can have complex microstructures consisting of ferrites with different size, morphology, and dislocation density, and secondary phases dependent on rolling and accelerated cooling conditions. The microstructure of lowcarbon stee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basically classified into polygonal ferrite, acicular ferrite, granular bainite, and bainitic ferrite based on the inverse pole figure, image quality, grain boundary, kernel average misorientation(KAM), and grain orientation spread(GOS) maps, obtained from EBSD analysi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EBSD analysis provides a valuable tool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complex microstructure of low-carbon steels fabricated by controlled rolling and accelerated cooling processes.
        4,000원
        2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척지 온실의 환경설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첨단 시설원예단지 설치 계획이 있는 국내 7개 대규모 간척지 주변의 기후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새만금 간척지 내에 설치된 3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하절기에 시설 내외의 열적 환경계측 실험을 통하여 자연환기 및 온도 상승 특성을 분석하고, 간척지 온실의 환경 설계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작물의 유무에 따른 온실의 환기율을 비교한 결과, 작물이 있으면 온실의 환기율은 낮아지지만 작물의 증발산에 의해 실내기온 상승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이 있는 경우 온실의 환기회수는 대체로 0.3~0.9회/min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 0.7 회/min으로 나타났다. 실외기온 대비 실내기온 상승은 1~5oC정도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 2.5oC로 나타났다. 간척지에 설치된 실험온실의 자연환기 성능은 여름철 권장 환기율을 거의 만족시키고, 실외기온 대비 실내기온 상승도 작물재배 환경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새만금 간척지에서는 냉방설비 없이 자연환기 만으로 온실의 작물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는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내륙지역에 비하여 바람이 강하고, 안개가 자주 끼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강한 풍속은 온실의 환기율을 증가시키므로 냉방부하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개지속시간이 내륙지역에 비하여 현저하게 길기 때문에 기간냉방부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냉방 설비의 운전경비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척지 온실의 환기 및 냉방시스템 설계 시에는 주변의 기상관측소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지 말고, 온실 설치 지역에서 실측한 기상자료 또는 현장 여건을 반영하여 보정된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설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 처리구를 두어 실험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재배기간 중 온도편차가 발생하였고, 처리구 모두 1, 2, 8월에 가장 높았으며,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온도편차가 작은 경향이었다. 재배기간 중 냉방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090.3시간, T2(열교환기)는 661.1시간, T3(기밀실)은 865.0시간이었고,평균 냉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1%, T3(기밀실)은 11%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난방기의 년중 가동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506.9시간, T2(열교환기)는 875.6시간,T3(기밀실)은 1,054.2시간으로 T2의 가동시간이 가장 작았고, 년중 평균 난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2%, T3(기밀실)은16%이었다.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냉방정도(CD-H)는 T1(외부공기 직접유입)>T3(기밀실)>T2(열교환기)의 순이었고, 난방정도(HD-H)도 냉방정도(CD-H)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수량은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4,9, 10월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높았다.이와 같은 결과로 시설재배사에서 느타리버섯 병재배시 열교환기 또는 기밀실을 설치하여 재배할 경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수량 및 고품질의 느타리버섯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oling system that applies impinging jet is studied. To create a jet, a square edge type nozzle is used as its shape. The impinging jet that composes a cooling system which applies impinging jet is created in the nozzle plate that correspond to each LED where the cooling area exists. The distance(d) between the nozzle plate and LED plate with heat sink is where the LED light is established. The main variation and the standard is examined for four different cases through the way out diameter of nozzle plate exit(D). The examined velocity distribu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bout the impinging jet cooling system consisted of nozzle plate.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 LED consisting of nozzle plate was efficient.
        4,000원
        2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Ds are increasingly used for many applications including automotive, display and special lighting applications. The performance and ligh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D depend on cooling condition because the power LED generates lots of hea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enerated heat from power LED module on cool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is measured and evaluated. For experiments, the transient temperature of a power LED module with cooling condition is measured.
        4,000원
        27.
        2013.0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al study was investigated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staggered cooling tube arrays.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was employed to obtain detailed measurements at inlet-velocity-based three Reynolds numbers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wake were analyzed by using spectral analysis of the measured wake velocity signals. As a results, the flow exhibits strong Reynolds number dependence in the developing region but no significant Reynolds number effects are observed in the spatially periodic region.
        2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esel engine uses the intercooler for cooling of charging air by the turbo-charger. Bu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intercooler which is influenced by the vehicle speed is decreased in low vehicle speed. If the vortex tubes are substituted for the intercooler due to their many intrinsic benefits in many industrial fields as parts for refrigerating machines, the cooling efficiency could be advanced in the low speed range. In this study, a counter-flow type of vortex tube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separation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geometric configurations for optimization of charging air cooling.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vortex tube with various geometric structures and operating inlet pressures. The results show that variation of the cold exit orifice hole diameter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energy separation between two exits.
        4,000원
        2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eat pipe heat sink which is possible to frozen start up at the lower than -20℃ by using a VCHP was designed, manufactured and tested. The VCHP uses water and nitrogen gas as the working fluid and non-condensable ga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VCHP heat sink started up successfully at the range of -20 to -30℃ of the ambient temperature and 1000 to 2600W of the heat flow rat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VCHP heat sink decreased as increased the heat flow rat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since the active zone of VCHP increased.
        4,000원
        3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선박용 팬일유니트의 엇갈림 냉각관 주위 유동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입구유속기준 레이놀즈수 Re = 1.5×103에서 Re = 2.5×103까지 계측결과를 얻었다. 그 곁과 유동은 흐름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발달하여 비교적 짧은 거리 후방에 공간적인 주기성을 나타내었다. 유동이 발달하는 영역에서는 레이놀즈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공간적 주기성에 미치는 레이놀즈수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4,000원
        3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온실냉방용 포그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경상대학교내 실험온실에 설치한 3종류의 노즐을 중심으로 분무특성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위 노즐당 분무량은 분무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나, 각 노즐에서 공히 분무압력의 증가에 따른 분무량의 증가율이 일정하지 않았다. 노즐의 유형 I, II, III형별로 전체 실험분무압력에서 최소입경은 각각 약 1.7~2.5μm, 1.7~2.2μm 및 1.7~2.2μm이었고, 최대입경은 각각 약 44~60μm, 52~71μm 및 45~61μm이었으며, 평균입경은 각각 약 23~38μm, 19~24μm 및 17~25μm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노즐 I, II, III 별로 분무입경이 가장 양호하다고 판단된 분무압력은 각각 70kg/ cm2, 30kg/ cm2 및 30kg/ cm2이었으며, 그 때의 분무량은 각각 124mL/min, 103mL/min 및 84mL/min정도였고, 평균입경은 각각 약 22.6μm, 21.8μm 및 20.6μm정도였다. 또한 전체 입경분포에서 30μm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노즐(I, II 및 III)별로 각각 95.4%, 85.7%, 79.0%정도였으며, 비교적 입자가 큰 40μm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0.2%, 1.28% 및 1.67%정도였다. 그러나 이들 노즐들의 분무입자 크기는 대부분 포그의 한계입경인 50μm이하에 속하였다.
        4,500원
        35.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열전소자와 플라즈마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된 컨테이너와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EPS)박스에 소고기를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변화 측정 결과 저장기간 동안 TCS-1 컨테이너가 2℃ 이하로 온도유지가 잘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EPS박스는 저장 3일 이후 소고기가 부패되어 더 이상 실험이 불가능 하였다. 소고기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휘발성염기질소(VBN)과 지방산패도(TBA)값의 측정 결과, 저장 7일째 TCS-1의 VBN은 7.72 mg%, TBA는 0.52 mgMA/kg, TCS-2의 VBN 값은 9.20 mg%, TBA는 0.91 mgMA/kg로 측정되어 TCS-1이 TCS-2 보다 유의적으로 적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소고기의 신선도를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변화는 저장 7일 TCS-1은 4.62 log CFU/g, TCS-2는 7.09 log CFU/g으로 측정되어 TCS-1이 유의적으로 미생물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 또한 저장 7일째 TEU-1은 모든 항목에서 6.5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TCS-2는 4.1 이하의 평가를 받아 소고기의 상품성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분석항목에서 TCS-1이 TCS-2보다 소고기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7.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열전반도체를 사용한 강제송풍식과 기계식냉동시스템을 사용한 정지공기식 냉각저장고를 이용하여 냉각방식에 따른 백미의 냉각특성과, 저장중 백미의 품질특성을 구명하였다. 강제송풍식과 정지공기식에서 냉각속도는 각각 으로 강제송풍식이 빨랐으나, 냉각공기의 편차와 저장고 각 위치별로 백미의 온도편차가 정지공기식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다. 14주간의 백미저장실험 결과, 강제풍통식에 저장한 백미의 함수율은 저하하였지만 백미
        38.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merous variables affect product cooling rate of pressure cooling system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se include carton vent area, initial and desired final product temperat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product size, shape and thermal properties and product configuration(whether in bulk or packed in shipping cart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ach of these variables as they affect cooling time. The opening ratio and number of the vent hole were recomended as 4∼10% and 2∼4ea., respectively, for a minimum alt flow resistance and for a uniform air flow pattern. In the cooling experiment for tomatoes and mandarins, optimum air flow rate was 0.04 m3/min.kg in terms of energy saving. The cooling air temperature should be about 2 less than the desired final product temperature for reducing cooling tim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