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21.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retailer dominance on the product line design in a distribution channel. We revisit the elegant framework proposed by Villas-Boas (1998) in which a manufacturer sells his products through an independent retailer to heterogeneous consumers. We show that retailer dominance may completely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product line offering, irrespective of whether retailer dominance takes the form of price leadership or quality leadership. In addition, when consumers are sufficiently heterogeneous, product line offering may benefit the manufacturer without sacrificing the retailer’s profit, thereby creating Pareto improvement along the distribution channel. Given this Pareto improvement, retailer dominance may lead to an upward-distorted quality and the possibility of product line extension compared with either the integrated channel or the case with a weak retailer. Retailer competition does not necessarily restore the incen-tive to offer the product line, but may generate either quality degradation or quality enhancement. Our analysis establishes a threshold policy on the consumer composition for the retailer to pursue the price or quality leadership.
        5,400원
        2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림 우점식생 변화가 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대표적 혹서지역인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별 온도변화는 1990년과 2007년의 Landsat TM 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토지피복유형은 산림지역, 시가화지역, 경작지 및 기타지역, 수역으로 구분하였고, 산림지역의 경우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하였다. 산림 우점식생 변화 유형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온도는 높아지며, 유형별로 살펴보면 활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6℃, 침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2℃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17년간 유형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로 현재까지 유형이 유지된 경우와 변화된 경우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온도는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활엽수림의 경우 활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 될 경우 온도는 2.3℃ 증가하였으며, 침엽수림의 경우 침엽수림이 유지될 때 보다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1.9℃ 온도가 증가하였다. 산림의 경우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때 온도가 상승하며 산림식생유형 중 침엽수가 파괴되었을 경우보다 활엽수가 파괴되었을 때 0.4℃ 온도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기온 완화를 위해서는 도시림 내에서 활엽수림의 보호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결정 요인들을 조사하고, 성인 남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방 법 : 성인 92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 method로 우세안을 결정하였고, 안압, 등가구면굴절 력, 난시도, 카파각을 측정하여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차이를 성별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성별에 따른 안압(p=0.570), 등가구면굴절력(p=0.465)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우세안 에서 남자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양안 난시도에서도 남자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 났다(p=0.012). 카파각은 우세안과 비우세안에서 여자의 카파각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양안 카파각도 여 자의 카파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2). 결 론 :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요인을 성인 남녀의 성별로 비교하였을 때, 남자의 난시도와 여자의 카파각 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4,000원
        2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정맥은 남북방향으로 길쭉하게 이어져 있어 다른 정맥에 비해 기후대 변화가 뚜렷하다. 이곳의 마루금에 대표적 으로 출현하는 소나무우점군락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낙동정맥을 대표하는 5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에서 소나무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군집분석(TWINSPAN)에 의해 교목층에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하층식생에 출현하는 식별종의 생육환경 특성에 따라 4개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소나무우점군락Ⅰ은 쇠물푸레나무와 철쭉이 하층에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정맥 마루금과 능선부에 전형적으로 출현하는 식생이었다. 소나무 우점군락Ⅱ는 사면상부에 위치했고 교란으로 인해 숲 내부로 광량 유입이 많아 개옻나무 등 낙엽활엽수종이 출현한 이차림이었다. 소나무우점군락Ⅲ은 다른 군락에 비해 생육환경 범위가 넓고 신갈나무, 비목나무 등 다양한 낙엽활엽수 종의 출현이 많아 향후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마지막, 소나무우점군락Ⅳ에서 떡버들과 물박달나무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토양이 습하고 해발고가 높은 곳에 분포하는 군락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운주산 및 고헌산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대도시 포항시와 울산시에 가까워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식생 발달단 계로 종다양성이 높았고, 소나무 수령이 비교적 적었다. 반면, 나머지 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종다양성이 낮아 안정된 식생구조를 보였고, 소나무 수령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4,200원
        28.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early 2015, L’Oréal’s luxury cosmetics brand LANCÔME launched a product called Miracle Cushion™, a sponge soaked in liquid foundation. By integrating a cosmetic formula with a sponge in a compact case, it distinguished itself from other conventional makeup products, e.g., liquid foundation in a glass bottle or pressed powder in a portable compact. On Lancôme’s website, Miracle Cushion™ is described as follows: “a foundation revolution has arrived – liquid makeup in a cushion.” LANCÔME’s “revolution” actually originated from AMOREPACIFIC, Korea’s number one beauty group which had a sales revenue of KRW 4.7 trillion (USD 3.9 billion) in 2014. By launching Air Cushion® in March 2008, AMOREPACIFIC created a new makeup product category called “cushion.” By July 2015, the total cumulative number of AMOREPACIFIC’s cushion products sold in 13 countries was 63 million units. In 2014 alone, more than 26 million units were sold – one every 1.2 seconds. The sales revenue was KRW 641 billion (USD 542 million),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13% of AMOREPACIFIC’s total revenue. AMOREPACIFIC launched Air Cushion® under IOPE, one of its premium brands. The company initially positioned Air Cushion® as sunscreen. Equipped with mass production facilities, AMOREPACIFIC sold 517,000 units of cushions in 2010, which accounted for KRW 14.5 billion (USD 12.2 million). Furthermore, the company started to automate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for cushions. With this automation, the sales revenue of Air Cushion® in 2011 reached KRW 33.6 billion (USD 28.4 million) -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2010. Obviously, it was a huge success for sunscreens under a single brand. From 2012, AMOREPACIFIC began to expand cushions for other in-house brands besides IOPE. Simultaneously, AMOREPACIFIC started to reposition cushion as makeup “foundation,” not “sunscreen.” HERA, AMOREPACIFIC’s luxury brand with a strong heritage in color makeup, took the initiative in repositioning cushion. This was also a strategic decision to diversify distribution channels: the main distribution channels of premium brands such as IOPE were Sephora-like specialty stores and discount stores whereas the primary distribution channels of luxury brands such as HERA were department stores and door-to-door networks. With HERA focused on domestic market expansion, LANEIGE, the most globalized brand of all in AMOREPACIFIC, pioneered the global market for cushions. Starting from its entry into Hong Kong and China in 2002, LANEIGE had already expanded its presence in more than 10 countries including Singapore, Malaysia, and Vietnam. Specifically, LANEIGE was perceived in most Asian countries as a cosmetics brand spearheading “K-Beauty” trends, part of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us, LANEIGE capitalized on its brand reputation accumulated over the years in the Asian market to expand cushions. LANEIGE designed a brand concept for its cushion as BB Cushion to make the most of the popularity of BB creams across Asia. In 2012, LANEIGE BB cushion was first launched in Singapore in January, followed by Malaysia, Thailand, and Vietnam in March, and finally Taiwan in April, all prior to its release in Korea in May. Initially, it emphasized the brightening function to fulfill the demand for whitening products already popular throughout Asia. From 2013, LANEIGE started to offer a variety of product lines customized to different consumer needs from each country. For example, LANEIGE launched BB Cushion Pore Control for consumers in hot, humid areas of Southeast Asia and BB Cushion Anti-aging for consumers in extremely cold and dry areas of China. Starting with HERA and LANEIGE in 2012, AMOREPACIFIC continue to release cushions under other brands by stages - SULWHASOO, ETUDE HOUSE in 2013, and INNISFREE, MAMONDE in 2014, etc. Every cushion product launched under different brands was named “cushion.” For example, HERA UV Mist Cushion, LANEIGE BB Cushion, SULWHASOO Perfecting Cushion, ETUDE HOUSE Precious Mineral Any Cushion, INNISFREE Water Glow Cushion, MOMONDE Cover Powder Cushion, etc. With the consistent labeling, AMOREPACIFIC succeeded in categorical differentiation. Stimulated by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AMOREPACIFIC’s cushion foundations, competitors followed. Among local companies, LG Household and Healthcare was the first to enter into the cushion market in August 2012. Among the foreign brands, it was Lancôme. This paper is trying to understand how to achieve breakthrough innovation and create a new product category in the mature market such as cosmetics by analyzing the case of AMOREPACIFIC’s cushion.
        2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용존 무기 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가 제한된 환경에서 우점 규조류 Chaetoceros debilis와 Leptocylindrus danicus의 용존 유기 질소(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의 이용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질소원으로 DIN은 질산염과 암모늄, DON은 동해에서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는 글리신(glycine)과 요소(urea)에 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Monod 식으로부터 유도한 C. debilis의 최대생장속도(μmax)와 반포화상수(Ks)는 질산염에서 1.50 day-1와 1.62 μM, 암모늄에서 1.13 day-1와 6.97 μM, 글리신 1.46 day-1와 3.36 μM, 요소 0.93 day-1와 0.55 μM으로 나타났다. 또한 L. danicus는 질산염에서 1.55 day-1와 5.21 μM, 암모늄에서 1.57 day-1와 4.57 μM, 글리신 1.47 day-1와 3.80 μM, 요소 1.42 day-1와 1.94 μM이었다. 두 종 모두 요소에서 용존 무기 질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친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높은 친화성은 DIN 제한된 상태에서 C. debilis와 L. danicus이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 요소를 이용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DIN이 제한된 해역의 경우, DON의 효율적인 이용이 식물플랑크톤의 우점화 전략에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
        4,000원
        3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의 판 구조론에서 지각 판은 연약권 위에 떠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 고, 자연히 해령에서 발산되는 힘이나 암석권 하부의 맨틀 견인력(drag force)이 판을 움직이는 주된 원동력으로 묘사되 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은 판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맨틀의 대류보다는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이 만드는 섭입판 인력(slab pull)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학계는 무거운 해양판과 주변 연약권의 밀도 차이가 섭입판 인력의 핵심 이라고 설명한다. 해양판의 높은 밀도는 중력에 의해 판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가라앉는 원인이 되며, 이것이 판이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최근 수십 년 간의 서술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차 교육과정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대 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맨틀 대류를 판 이동의 주 원동력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교 교 재가 개정판을 통해 새로운 학설을 꾸준히 제시해온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정 확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새로운 판 구조론 내용이 해당 교과서 관련 단원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4,900원
        3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 9월 동해 남서해역의 용존 영양염 분포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우점종의 질소 화합물에 대한 이용성을 파악하였다. 용존 무기 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와 용존 무기 인(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은 표층에서 낮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반면에 용존 유기 질소(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와 용존 유기 인의 경우 무기태 영양염과 상반되는 분포를 보였다. DIN:DIP 비는 전체 수괴에서 약 20으로 Redfield ratio (16)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혼합층의 경우 2로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대해 무기질소가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무기 질소가 제한된 혼합층에서 DON은 용존 총 질소(dissolved total nitrogen; DTN) 중 88 %를 차지하였다. 우점종 Chaetoceros debilis와 Prorocentrum minimum은 DIN 이외에 요소와 아미노산과 같은 다양한 DON을 이용하여 생장하였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DON 이용능력은 DIN이 제한된 동해에서 중요한 생존전략으로 작용할 것이다.
        4,000원
        3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체크기는 다양한 동물그룹에서 짝짓기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유미양서류의 짝짓기 경쟁에 있어 수컷도롱뇽들의 신체크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는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짝짓기 행동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을 이용하여, 큰 고리도롱 뇽 수컷이 작은 수컷에 비하여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큰 수컷, 작은 수컷, 암컷 각 한 마리를 그룹으로 수행된 짝짓기 행동을 암컷에 대한 구애행동, 수컷간 경쟁행동, 알의 수정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큰 수컷과 작은 수컷 사이의 구애, 경쟁, 수정행동 어느 것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고리도롱뇽 수컷들 간 크기 변이 정도가 작으며, 암컷이 알을 산란할 장소가 서식처 내에 풍부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고리도롱뇽의 짝짓기 행동에 관한 첫 번째 보고이다.
        4,000원
        3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TV산업에서 지배적 디지털 TV에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 디 자인 결정요인과 제품핵심요소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자 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배적 디자인의 결정요 인은 디스플레이, 디자인, 특성에 영향을 주고 디스플레이와 디자인이 지배적 디지털 TV를 만드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TV기업이 지속적으로 지배적 디자인을 선도하여 선도자로서의 역할을 유지토록 사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6,600원
        3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10³ -246.6×10³ cells/L(평균 24.8×10³ 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4,000원
        3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using ERPs which are neural signals that reflect neural activity. Methods : Twenty three normal controls adults with right dominant eye and twenty normal controls adults with left dominant ey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initial screening, we had neuropsychological test with BAI and BDI-2. All participants had normal or corrected visual acuity 20/20. Edinburgh Handedness Inventory was carried out to select right-handed. To identify dominant eye, the hole-in- card test was executed repeatedly three times. To assess whether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ere recorded with electroencephalography. Performance measure was the reaction time (RT). The ERPs in response to dominant eye in respect of visual field were investigated in three regions: the temporal-occipital, the occipital and the parietal regions. Especially, the P100 amplitude in occipital region, N170 amplitude in temporal-occipital region and the P300 amplitude in parietal region were explored. Results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T was observed between the RVF and LVF, which the RVF exhibited shorter RT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left dominant eye (t=-5.47, p<0.001). P100 latency showed that the RVF had shorter latency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N170 amplitude revealed that the RVF had larger amplitude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N170 latency revealed that the RVF had shorter latency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P300 amplitude and latency were no main effect for dominant eye. Conslusions : This present study h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that visual stimuli incoming from the RVF or LVF are differently recognized depends upon each dominant eye. That is, while the participants with right dominant eye responded more actively on stimuli coming from LVF than RVF when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their left hand, the participants with left dominant eye responded more actively on stimuli coming from RVF than LVF when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their right hand.
        37.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and visual function. Methods: 200 adults without ophthalmophathy and general disease was examined. Used the hertel's exophthalmometer, measure the exophthalmetry dominant eye. Examination with three repetition for visual function element using the accommodaion target, PD meter and Phoropter. Results: For examination value, the exophthalmetry is 13.62±1.07 mm, myopia is – 2.48±1.91, distance exophoria is 3.51±1.78, near exophoria is 5.73±2.44, near point of convergence 9.63±2.82 cm,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21.73±10.28 cm. while increased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the unaided visual acuity, myopia and astigmatism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distance exophoria, distance esophoria, near exophoria,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lso increased, while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is increased.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unction and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are found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could be the clinical criteria for prescription binocular inspection.
        3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aneae species are predators in natural ecosystem interact with various prey species. These linkage can be affected under climate change because species react not just individually but systematically. We focused on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in Araneae fauna in national scale. In this study, potential species richness of Araneae in South Korea was predicted with MaxEnt (Maximum Entropy) mode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national scale research of wandering arthropods. They monitored in uniformly set 366 points, and the data contain exact GPS points of study sites. Occurrence data were extracted from Prediction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orest Spiders According to Climate Scenari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With the report, dominant 21 Araneae species that appeared more than 10% study sites were selected to estimate species richness. Training climate data were prepared from observation sourc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CP 8.5 scenario data which represent future (2050, 2070) climate condition were downloaded from WORLDCLIM web site. In MaxEnt simulation, occurrence data for 21 species and 19 bioclimatic variables were used. Because the model outputs are expressed in index, the minimum training presence threshold rule was applied to distinguish presence/absence of each 21 species distribution model. We overlaid whole 21 thresholded output to get species richness map. The fluctuation between current and future species richness was calculated to observe changing trend in national scale. The results of Araneae fauna tends to move higher altitude and latitude. Species richness of lowlands is predicted to be diminished, but higher mountains are expected to be more suitable for many spider species. In some South Western coastal areas showed reduced richness in 2050 but will recover in 2070.
        3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sh in the daytime and nighttime using an acoustic survey in Yondam reservoir of Jeollabuk-do, and an acoustical backscattering strength of dominant species, bass (Micropterus salmoides) and a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which are classified as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sh school was distributed in the shallow areas of less than 10 m depth during the period of Aug. and Oct. where it had a strong thermocline, otherwise, it was distributed over 10-times density under stable water temperatures as 13°C in Nov. There was no vertical patchiness difference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unlike the typical marine ecosystem. The dominant species were crucian carp, bluegill, bass. The hydroacoustic method can provid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ffective removal ways of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in inland fisheries.
        4,200원
        4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상주보에서부터 합천창녕보까지의 8개에 보에 대해 2011년부터 2013년 까지의 수온, 적산일사량, 영양염 농도, 식물플랑크톤 군집분포, 기타 수질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특성과 수온과의 상관성, 우점종 상호 간의 영향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8개 보 단위의 별 우점종 평가에 있어 총 25개 종이 우점하고 있었다. 봄철에 대발생하는 Stephanodiscus sp.는 우점빈도가 39.4%로서 가장 높았으며 현존량 우점율은 58.6%였다. 여름철에 대발생하는 Microcystis sp.의 우점빈도는 8.5%였고 현존량 우점율은 36.6%였다. 8개 조사지점의 수온차이는 평균 1.83℃로서 지점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분석 대상 우점종 중 수온과 음의 상관성을 보인 것은 Stephanodiscus sp. 1개 종(r=-0.26, p<0.01)이었으며 나머지 7개 종은 양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냈다(r=0.08~0.28). Stephanodiscus sp.는 2∼18℃의 수온범위에서 높은 개체밀도를 보였고 2℃ 이하에서는 2,000cells ml-1 이하의 적은 개체밀도를 보였다. Stephanodiscus sp.의 봄철 수화현상 다음에 우점하는 종은 Aulacoseira granulata, Fragilaria crotonensis, Cyclotella sp. 등이었으며, Microcystis sp.는 Stephanodiscus sp.의 개체밀도가 감소되는 18℃ 정도에서 개체수 증가속도가 높아졌으며, 수온이 25℃ 이상이 되면 10,000cells mL-1를 초과하기 시작하고 28℃ 이상에서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여 수화현상이 나타났다. 낙동강에서 광범위한 수온 영역에 적응하고 있는 종은 Cyclotella sp., Aulacoseira granulata, Fragilaria crotonensis 등이었다. 적산일사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것은 Aulacoseira granulata 1개 종이었다. Stephanodiscus sp.는 분석대상 우점종 중에 Aulacoseira granulata 및 Aphanizomenon flos-aquae 종과의 상관계수가 각각 -0.12 및 -0.09로서(p<0.05) 음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Stephanodiscus sp.는 동물성플랑크톤의 요각류 (r=-0.11, p<0.01), 지각류 (r=-0.09, p<0.05) 등과 음이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Stephanodiscus sp.는 낙동강에서 동물성플랑크톤의 중요한 섭식원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름철 최대 우점종인 Microcystis sp.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낸 다른 우점종은 없었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