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2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4년(2010-2013) 동안의 산업연관표로부터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를 추계한 결과, 총 산출액은 2010년 1조 3,406억원에서 2013년 1조 9,723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출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0.04%에서 0.05%로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액은 2010년 6,185억원에서 2013년 8,415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국내총생산에서 해양환경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에서 0.06%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가 국민경제 전체에 야기하는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8845원에서 2013년 1.8115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0년 0.7680원에서 2013년 0.7063원으로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2010년 10.17명에서 2013년 9.18명으로 감소하였다. 요컨대,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액 및 부가가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의 원단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4,200원
        22.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literature, firms can realize significant cost advantage relative to competitors and improve their competitive position by implementing certain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EMPs) (Hart, 1995; Shrivastava, 1995b; Christmann, 2000). Although EMPs is importance and prevailing presenc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understand the drivers and outcomes of EMP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buyer-supplier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how isomorphism pressur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influence the EMPs, which in turn enhance supplier’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buyer-supplier relationships.
        3,000원
        23.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e over population of wild and feral animals is increasing as an environmental problem in many parts of the world due the pressure on native flora and ecosystems. (BBC, 2013; Hall, 2015; Kaji, Saitoh, Uno, Matsuda, & Yamamura, 2010). Examples include deer in Northern Japan and Northeast USA, the urban fox in England, possums in New Zealand and the crown of thorns starfish in the Great Barrier Reef. This phenomenon is also happening in Australia. Recent news reports of huge kangaroo populations devastating grazing land in western Queensland (Arthur, 2015) and a spike in Koalas eating away their habitat in the Cape Otway area of Victoria (Paul, 2015) have highlighted this problem. While the overpopulation of koalas is causing environmental damage to natural gum trees, to the point that they will not regenerate, it is difficult to enforce population control because these animals hold such as positive place as an Australian symbolic animal. Hence, there is some controversy whether they should be culled by environment advocates as part of an ongoing population/environmental management program. To help facilitate appropriate wildlife management in light of the controversial environmental problems, Non-Government Organisations (NGOs) play an essential role as a conduit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citizens. For example, Australian Koala Foundation contributes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wild Koala through conducting strategic research for Koala management, conserv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in Australia (Australian Koala Foundation, 2015). However, NGOs are currently faced with challenges, such as acquisition of funds to support such work and gathering supporters for volunteer activities. This is because the competitiveness in the not-for-profit-sector has intensified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GOs and oligopoly of donation share by high-profile NGOs (Foster & Fine, 2007; Sunder, 2015). To deal with these challenges NGO’s are resorting to more commercial types of marketing communications such as the use of celebrity endorsement or using celebrities as spokespeople. Although using celebrities as spokespeople for the NGO sector has become a common advertising strategy (De los Salmones, Dominguez, & Herrero, 2013; Wheeler, 2009), research into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of spokesperson would lead effectively to change customer's attitude and behavioural intentions is limited. This celebrity/cause match is especially important for many environmental NGOs who have to deal with controversial environmental problems (e.g. wildlife management for overpopulated animals).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evant expertise and perceived attractiveness of the celebrity spokesperson and its effect on the public’s perception of trustworthiness of the NGO. As the role of the celebrity spokesperson to encourage the public’s intentions to donate increases another issue arises: can the same strategy be used to solicit the donation of time (by volunteers)? This latter dilemma is something that is rarely experienced in the for-profit or commercial sector. This study presents a conceptual model that may help to identify answers to these questions and will extend the current research on celebrity endorsement. It should also bring out new academic insights about the process of building source credibility and a detailed evaluation of the spokesperson’s role in creating a two dimensional approach to behavioural intentions. Literature review Celebrity endorsement is a common advertising technique used by many organisations to build an association between a well-known and well-liked personality and the company’s brand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s awareness and liking for the brand (Spry, Pappu, & Bettina Cornwell, 2011). By utilizing the endorsement of a celebrity spokesperson, the product/service, band and/or company is able to leverage the positive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okesperson to the advantage of that product, band and/or company image (Erdogan, 1999; Ohanian, 1990). Recently, this strategy of utilizing celebrities as credible spokespeople has been adopted by many socially purposed organisations and NGOs (De los Salmones, et al., 2013; Samman, Auliffe, & MacLachlan, 2009; Wheeler, 2009).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pokesperson, source credibility is used as a key measure. The source credibility is defined as ‘a communicator's 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eceiver's acceptance of a message’ (Ohanian, 1990, p. 41). The concept of source credibility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wo important models: source credibility model and source attractiveness model. The source credibility model, proposed by Hovland, Janis, and Kelley (1953),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a message depends on perceived level of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in an endorser (Erdogan, 1999). Hovland, et al. (1953) analyze the factors which lead to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spokesperson and defined that two essential items of source credibility namely,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Moreover, the source attractiveness model, takes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McGuire, 1985) and is defined as another important factor that is likely to affect customers’ perception of the brand. The source attractiveness model explains that the effectiveness of a message depends on source's 'familiarity', 'likability', 'similarity', and 'attractiveness' to the respondent (Erdogan, 1999). This model brings about the idea that attractiveness is also a factor determining source credibility. Ohanian (1990) combines these two models and defines the construct of endorser source credibility as consisting of three sub-dimension items (i.e. expertise,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By adopting the source credibility model,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spokesperson on customer's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in various research settings and conditions (Amos, Holmes, & Strutton, 2008; Erdogan, 1999; Lafferty & Goldsmith, 1999; Ohanian, 1991). Howev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that some gaps still exist in the work that has been undertaken in this field. Firstly, rather than source credibility consisting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expertise,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Busch and Wilson (1976) and Johnson and Grayson (2005) suggest that for trust building within service marketing and sales research, the constructs of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are regarded as antecedent factors of trustworthiness. This approach has not been used in research into celebrity endorsement. Secondly, although most studies have dealt with concept of behavioural intentions as a unidimensional concept, this unidimensional way could make the actual effects of spokesperson unclear because different behavioural intentions may hold different meanings, for different potential sponsors resulting in different forms of donation. In service quality research Zeithaml, Berry, and Parasuraman (1996) confirm that different types of service quality may influence differently any one of five different behavioural intentions (i.e. loyalty, switch, pay more, external response, and internal response). Thus, different types of celebrity endorser (expert or attractive) could also influence different types of behavioural intentions. For example the attributes of celebrity endorser may have an influence on whether someone would be more inclined to donate money, to donate time (volunteer for the organisation), and/or spread positive word of mouth. Conceptual framework & hypotheses development Althoug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various combinations of endorser's characteristics on customer’s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research shows that different endorser’s characteristics do affect different customer attitudes and behaviour (Eisend & Langner, 2010; Lord & Putrevu, 2009). Lord and Putrevu (2009) find that attractiveness drives customer's behavioural intentions when customer's motivation is transformational (i.e. affective), whereas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are influential when their motivation is informational (i.e. cognitive). Eisend and Langner (2010) reveal that attractiveness is a determinant of positive customer attitudes in the immediate condition (i.e. ad effects after just 60 seconds), whereas expertise is effective in the delayed condition (i.e. ad effects after one or three days). They also found that a high-expertise and high-attractiveness endorser is particularly effective towards customer attitudes in both conditions. Thus, considering the different effects on customer’s attitudes by different endorser’s characteristics our research objective is to examine which type of spokesperson is more effective in influencing a customer's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for NGOs dealing with controversial environmental problems. In addition to solving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will also fill the research gaps indica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ur model (See Figure 1) shows that both the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of a celebrity spokesperson will lead to consumers’ perception of the trustworthiness of that spokesperson. Considering the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rust building processes in the services marketing and sales literature, the celebrity’s expertise and/or attractiveness as antecedent factors of trustworthiness should also have an effect on organisation credibility through trustworthiness as a mediator. Moreover, we propose that the effects of a spokesperson’s expertise and/or attractiveness will influence differently the organisational credibi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issue controversy they deal with. For example, Wheeler (2009) found that a celebrity endorser that showed a logical connection with the organisation increased organisational credibility and behavioural inten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r an environmental NGO that has to deal with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reducing numbers of animals in habitats under stress from overgrazing) an expert spokesperson may well be a better fit and gain more trust and therefore more credibility for the organisation than an attractive one. However, where the issue the spokesperson is dealing with is not controversial this pattern may well reverse with an attractive celebrity being the more effective spokespers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evel of issue controversy that the NGO deals with is hypothesized as a moderator between both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The customer’s perception of both the trustworthiness/credibility of the celebrity chosen as spokesperson and the credibility of the organisation will influence their (the customer’s) attitudes toward the organisation. In the model we follow Amos, et al. (2008) and Erdogan (1999) in asserting that positive organisational credibility will positively influence attitudes toward the firm. From the view that a unidimensional behavioural intention could make actual outcomes unclear, three behavioural intentions (i.e. donation of time, donation of money, word of mouth) options are proposed. This distinction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at many NGOs unlike for-profit organisations have a need to both increase financ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The NGO/celebrity endorser conceptual model is presented in figure 1. Conclusion & future research direction The conceptu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research has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s and managers. Firstly, as an academic contribution, the idea that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contributes to trustworthiness, which is reported in trust building in service marketing, should raise new considerations about source credibility building process in celebrity endorsement research. Moreover, the moderating influence of the degree of controversy will play an important part in that relationship, especially for NGOs having to deal with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culling wildlife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 approach that multiple types of behavioural intentions are important outcomes may also enable a more detailed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elebrity spokespeople. The interactions between spokesperson characteristics (e.g. expertise, attractiveness) and the three behavioural intention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within the celebrity endorser field of research. Secondly, since the literature which evaluates the effect of celebrity endorsement for NGOs in the context of controversial social issues has been still under-researched,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will be valuable for most NGO managers struggling with same issues. Moreover, by applying multiple behavioural intentions, more detailed insights how to increase each behavioural intention (i.e. donation of money, donation of time, positive word of mouth) through assigning different spokespers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e.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may enable NGOs to more flexible in assigning a suitable spokespers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sperson may ne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resource acquisition requirements the NGO has at that time. Hence, this research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s from the both academic and managerial perspectives.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order to validate this conceptual model it is suggested that a between subjects experiment be conducted. The experiment could consist of a scenario whereby a spokesperson is trying to gain public support for the activities of an environmental NGO. Here one could manipulate the expertise (high vs low) and the attractiveness (high vs low) of the spokesperson and the message (controversial vs non-controversial) to establish if differences in the spokesperson characteristic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different behavioural intentions of the respondents.
        4,000원
        2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for a nearby (0.01 < z < 0.05) volume limited (Mr < —19) sample of galaxies via visual inspection and the definition of galaxy pair systems based on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Data Release 7 in order to con rm the effects of galaxy interaction on AGN activities. We found that local environmental effects such as galaxy interaction have an in uence on the enhancement of the frequency and the strength of the AGN activity. This article is the summary of the paper which will be submitted soon.
        2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kinete germination may be a starting point of some akinete-producing cyanobacterial blooms in eutrophic freshwater systems. This study examined germinability of akinete of a cyanobacterium Anabaena circinalis isolated from the sediment of the North Han River (Cheongpyung Dam), Korea, under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5∼25℃), light (0∼100μmol photons m-2 s-1), nutrients (nitrogen and phosphorus) and pH (5~12). The high germination rate appeared at high temperature: >55% at 25℃, followed by 15% at 15℃, 10℃ and 10% at 5℃. Low light intensity was favorable for akinete germination. Over 45% of germination occurred at low light intensities (5, 15 and 30μmol photons m-2 s-1), while less than 10% of germination occurred at both 50 and 100μmol photons m-2 s-1. No germination occurred in the dark condition. Akinete germination rate increased with nutrient (phosphorus and nitrogen) enrichment, and nitrogen addition showed greater effect on the germination compared to phosphorus addition. Akinetes germinated well at neutral or slightly alkaline pH condition (pH 7 and pH 8: >55%), but no germination was observed at pH 11~12.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some favorable ambient conditions of Anabaena circinalis germination, which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tudy the germination conditions of other Anabaena species or akinete-forming algae and predict its bloom in eutrophic freshwaters.
        4,000원
        28.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많은 새들이 새벽에 울기 시작한다. 야생조류가 노래하는 기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새벽 코러스”는 번식기 동안 일출 직전에 행해진다. 태양빛은 새벽 Song의 시작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날씨는 조류에 의해 인식되는 태 양광의 양을 제한하는 요인으로서 새벽 Song 시작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야생조류의 새벽 Song 시작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 경적 요인은 일출 시간, 달의 밝기, 구름, 강수량, 주위 온도 등이라고 하였으나 이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 다. 또한 새들이 새벽 코러스를 하는 가운데서도 먼저 우는 종과 나중에 우는 종들이 있는가와 왜 그러한가에 대한 국 내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환경요인이 새들의 새벽 울음 시작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종별로 울음 시작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농가주택이었다. 야 생조류 울음소리 녹음은 Idam PRO U11 Digital voice reco rder를 이용하였고, 외부전원과 대용량 SD메모리카드를 장 착하여 일출 전후 2시간 동안 매일 녹음을 실시하였다. 녹음 기는 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건물 처마 하부에서 산림을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녹음 파일 포맷은 MP3 320kbps로 세팅하였다. 마이크는 녹음기에 내장된 10mm 지향성 마이 크 2대를 사용하였고 윈드스크린을 장착하였다. 녹음기간 은 2014년 4월 11일에서 7월 4일까지 85일간 실시하였다. 야생조류 울음 분석 프로그램은 Adobe Audition CC(versio n 6.0)을 이용하였다. 녹음된 파일의 sonogram을 확인하여 조류가 울기 시작한 시간을 확인한 후 새소리 청취와 sonog ram 패턴을 확인하여 종을 동정하고 시간을 기록하였다. 야생조류 울음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 항목은 율리우스일, 일출시간, 일몰시간, 월출시간, 시민박명, 항해 박명, 천문박명, 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일강수량으 로 설정하고 해당기간의 기상청 자료 및 천문자료를 수집하 였다. 야생조류 종별 울음시간 차이분석은 새소리 청취 및 sonogram 패턴 확인을 통해 식별이 가능한 종을 대상으로 평균 울음 시작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 다. 녹음파일 분석을 통해 식별한 종은 꿩, 노랑턱멧새, 박 새, 딱새, 까마귀, 까치, 직박구리, 쇠딱다구리, 청딱다구리 9종이었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version 21) 프 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야생조류 울음 시작시간과 환경요인과 상관관계 분석 결 과 야생조류 울음 시작시간은 일강수량, 월출시간을 제외한 율리우스일, 일출시간, 일몰시간,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 박명, 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와 상관관계가 인정(p < 0.01)되었다. 본 결과에 의하면 일출시간이 빨라질수록 야생조류도 이에 맞추어 일찍 song을 시작하였다. 온도와 새벽 song 시작시간과의 상관관계는 평균, 최고, 최저온도 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는 주변 온도가 조 류의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며, 이를 통해 새벽 Song 시작시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월출시간과는 상관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야생조류 9종을 대상으로 한 울음 시작시간 분산분석 결 과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아 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종별 울음 시작시간의 서열을 파악하기 위해 Tukey방법을 이용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 결과 크게 3개 집 단으로 구분되었다. 새벽에 가장 먼저 우는 집단은 꿩과 노 랑턱멧새이었고 다음 집단은 박새, 딱새, 까마귀, 까치, 직박 구리이었으며 가장 늦게 우는 집단은 쇠딱다구리, 청딱다구 리이었다.
        2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빛공해 및 환경요인이 박새의 새벽 울음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빛공해지역은 원주시 상지대학교 캠퍼스를 자연지역은 치악산국립공원 서측 산림으로 선정하였다. 녹음기간은 2014년 3월 26일에서 5월 30일이었다. 빛공해에 따른 새벽 울음 시작 시간을 분석한 결과 빛공해지역이 자연지역보다 먼저 울음을 시작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p<0.05). 박새는 주로 일출 전에 첫 울음을 시작하였는데, 대부분의 조사일에서 상지대학교의 박새가 먼저 울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암컷이 미성숙한 수컷과 교미할 확률이 높아지고, 적정 번식기보다 일찍 새끼가 부화함으로 해서 먹이자원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은 일출시간,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박명, 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월출시간, 운량과 박새의 새벽 울음소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야생조류 울음 시작시간은 월출시간과 운량을 제외한 모든 환경요인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박새는 일출시작 이전에 날이 밝아지기 시작하는 시민박명 전후에 첫 울음을 시작하였고, 일출시간과 대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새벽 울음 시작시간도 앞당겨졌다. 월출시간과 운량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3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림환경인자에 의한 산사태 발생 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고, 각 인자의 기여 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사태 발생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횡단사면(볼록), 사면위치(산정), 표고(501m 이상), 임상(침엽수), 모암(퇴적암), 흉고직경(17 cm이상)과는 1% 유의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 (31~40°), 모암(화성암), 흉고직경(6~16 cm)에서 1% 유의수준 내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별 회귀분석에 의한 각 인자별 산사태 발생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횡단사면(복합), 임상(침엽수), 산사태유형(선상), 산사태유형(수지상), 경사(41°이상)순으로 도입되었다. 각종 산림환경인자에 의한 산사태 발생지의 면적에 대한 추정식은 Y = -735.023 + 1279.313(모암 변성암) + 1516.034(횡단복합사면) + 1197.353(침엽수림) + 1256.279(산사태유형 선상) + 1123.392(산사태 유형 수지상) + 1514.565 (경사 41°이상)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모델에 의해 계산된 산사태 발생 예측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보다 안정적인 모델로 평가되어 지역적인 산사태 발생면적의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참나무 중 수분과 유기물이 많은 입지에 분 포하는 상수리나무와 수분이나 양분이 적은 척박한 건조 지에 분포하는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대기 중의 CO2 농도 와 기온이 상승하고 환경요소인 광, 토양수분, 영양소가 변화할 때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2 농도를 그대 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2 농도는 약 1.6배와 온도 는 2.2􀆆C 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유식물에 주요 환 경요인 중 광, 토양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 여 두 종의 생태 지위폭과 생태 지위 중복역을 계산하였 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의 생태 지위폭은 대조구와 온난 화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영양소 처리구 에서 감소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 지위 중 복역은 대조구에 비해 온난화처리구의 토양수분과 영양 소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식물을 대상 으로 실험한 결과로 성측목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 으나,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 무는 토양수분과 영양소 환경에 의한 경쟁이 약해질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Cluster 분석과 PCA 분석 결과, 두 종은 CO2 농도 및 온도 증가에 의한 반응보다 광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3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기업들은 환경의 동태성이 증가되면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영혁신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영환경, 경쟁전략, 조직문화에 의한 인과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식품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식품업계에서는 식품의 안전과 위생에 대한 관심은 생활수
        4,900원
        34.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A GP 농장에서 1999년부터 2011년까지 출생되어 분만기록을 가지고 있는 Landrace종 총 5,447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종돈의 번식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비유전적 환경요인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해 종돈의 번식능력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종돈의 번식 형질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분만계절에서 사고두수와 실산자수, 모산차와 실산자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분만년도와 산차의 모든 형질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형질들 간의 표현형상관에서는 -0.064에서 0.925의 범위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실산자수와 총산자수에서 0.925, 생시 복당 자돈 총 체중과 실산자수에서 0.760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이유시 복당 자돈 총 체중과 사고두수에서 -0.064, 생시 복당 자돈 총 체중과 사고두수에서 -0.053으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종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형질을 가진 개체의 입식과 관리, 적절한 산차 유지와 환경요인을 고려한 개량 목표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돈의 산육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비유전적 환경요인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AGP 농장에서 1999년부터 2011년까지 출생되어 검정기록을 가지고 있는 Landrace종 총 6,917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차와 모산차 및 환경요인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형질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종돈의 산육능력을 강화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종돈의 산육혈질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산차의 모든 형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형질에서 높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1) 형질들 간의 표현형상관에서는 -0.871에서 0.398의 범위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육형질에 대한 산차의 효과는 산차가 증가할수록 일당증체량은 감소하고 90 kg 도달일령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모산차의 효과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종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형질을 가진 개체의 입식과 관리를 바탕으로 산차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환경요인의 효과를 고려한 육종 개량으로 산육능력을 극대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0~2010년까지 11년간 경남 소재 K 종돈장 Yorkshire 종빈돈 9,086두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돼지의 주요 경제 형질인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및 90 kg 도달일령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Harvey et al. (1979)의 최소제곱 평균법으로 SAS @9.2 Package/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SAS Institute, 2006), 상이한 검정개시 체중과 검정 종료 체중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검정종료 일령을 공변이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된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의 평균치와 표준 편차는 90kg 도달일령의 경우 147.537 ± 12.401 일, 일당증체량의 경우 614.614 ± 56.900 g, 보정 등지방 두께가 15.771 ± 3.071 mm, 등심단면적의 경우 28.644 ± 3.634 cm2, 정육율의 경우 55.363 ± 3.901%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를 보면 조사된 모든 형질에 대해 출생 계절과 검정 계절의 효과에서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표현형 상관에서 90 kg 도달일령과 일당증체량은 강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90kg 도달일령과 등지방 두께는 정의 상관을, 일당증체량과 등지방 두께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지방두께와 등심단 면적은 -0.294의 부의 상관을 등지방두께와 정육율은 -0.723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심단면적과 정육율은 0.586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공변이 분석으로 포함한 종료체중의 효과에 대해 추정된 회귀계수는 검정종료일령에 대해 검정 종료 일령이 1일씩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90 kg 도달일령은 각각 -0.04 mm, -0.02 ㎠, 0.03%, -1.26 g, 0.61 일씩 변화하였으며, 특히 일당증체량과 90 kg 도달일령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농장 검정돈의 표현형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Yorkshire 종빈돈의 능력을 평가할 때 유전적 능력과 환경요인에 의한 부분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능력검정을 통한 우수한 종빈돈의 선발과 개량이 곧 현 국내의 축산업의 발전을 위한 노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3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effect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testing results in pig population of domestic pig breeding farms. Performance test data collected from 2,000 to 2,010 were a total of 265,901 heads. By breeds, data consisted of Duroc, Landrace and Yorkshire.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in models were breed, sex, farm, year of test, season of test, and parity. Broad range of age at testing day averaged at 155 days of age were grouped as A (up to 140 days) B (141~150 days), C (151~160 days), D (161~170 days), and E (greater than 170 days). Traits analyzed were ADG, days to 90 ㎏, end weight (body weight at the test day), rib eye area, back fat thickness. Age group effects were all significant for all the traits studied (p<0.05). As ages at test day get greater, ADG, days to 90 ㎏ and end weight tended to be greater while ultrasound measures of rib ey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tended to be less. This would be the results of linear age adjustments on ultrasound measures, that caused overestimation in younger age groups and underestimation in older age groups than in average age group (C). This was evidenced by looking at ultrasound measures before linear age adjustments were applied. We conclude that, for more accurate performance testing, testing within guided age interval should be abided. And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made on biologically justifiable methods of age adjustments especially for ultrasound measur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