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2.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수를 만들 때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어성초의 적절한 첨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점도 특성, 국수를 만든 다음 조리시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95℃에서의 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최고점도와 95℃에서 15분 후의 점도와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조리면은 대조구에 비하여 중량과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어성초 분말 0.5%, 1.5% 첨가구는 중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0.5% 첨가한 국물의 흡광도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다른 어성초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성초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조리면의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의 색도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 어성초 분말 0.5%, 1.5%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 제조시에 0.5%까지 첨가하는 것은 국수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2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uttuynia cordata is used as a raw material of oriental medicine to acquire antioxidant and anti cancer effect and to cure a heart disease. Mechanochemical technology not only reduces the size of the object but also changes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the Houttuynia cordata after grinding as a pretreatment using the mechanochemical technolog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inding on the yiel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Houttuynia cordata was ground by the planetary ball mill and the morphology was analyzed by SEM. Yields of functional materials were increased from 6.2 g in the sample without grinding to 7.0, 7.8, 8.8 g after grinding of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increased from 57-77% to 69-86% as a result of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Also, DPPH scavenging abilities for the methanol extraction were increased from 10.01-40.29% to 11.01-49.29% as a result of mechanochemical grinding.
        24.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당류 등 별도의 첨가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둥굴레, 어성초 및 구기자로부터 추출한 열수추출액만을 혼합하여 기호도가 높으면서도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가진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관능평가와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이들 재료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하고 최적 비율로 혼합 제조한 음료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료 제조 시 열수추출액들의 최적 혼합비율은 둥굴레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2.15%, 어성초 열
        25.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결과 높은 총 페놀 화합물 함량(17.71 mg/g)을 나타낸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성초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MTT, LDH assay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실험에서는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
        26.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성초가 자연발효에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 및 발효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된 어성초 엑기스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고, 어성초 추출물에서의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당용액에서 알코올 함량은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배양 90시간째에 HCE 12%, HCD 11.2%, HCA 10.5% 순으로 높았다. HCF, HCG, HCB, HCC는 알코올 함량이 사이였다. 당용액에서
        27.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고, 여러 가지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한약재 중의 하나인 어성초를 10 kGy로 조사하여 휘발성 유기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하고 이를 GC/MS로 사용하여 분석.확인하였다. 비 조사 시료와 10 kGy의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한 시료에서 확인된 휘발성 유기성분은 각각 83종과 85종이 확인되었다.
        2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HCT) administration on the biochemical parameters of function in liver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treated rats. Houttuynia Cordata thunb (200mg/kg) was administeres into rats intraperitoneally for four weeks , seven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CDD(1㎍/kg). W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nzymatic activity by measuring the level of AST, ALT , SOD and Catalase in serum and liver tissue of rats. HCT group showed 49% of inhibitive effect in AST activity compared to TANO group. ALT level of HCT group was decreased to the level of NO group. SOD and Catalase in TANO group were lower than in NO group, but SOD and Catalase in HCT group were increased by 46% and by 50% respectively compared to TANO group.
        29.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은 재배환경, 재배방법, 생육 시기 및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이뇨, 진통, 지혈, 조직재생 및 혈관확장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어성초를 생육 시기별, 부위별 및 퇴비 시용량별로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기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생육 초기인 4월 20일에 채취하였을 때 각각 0.72, 2.1%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 전까지 감소하다가 개화기 이후로 증가하였다. 부위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꽃에서 2.06, 5.3%로 가장 높았으며, 잎, 줄기, 뿌리 중에서는 잎에서 각각 0.81 및 2.3%로 높았다. 퇴비 시용량별 어성초의 quercetin 및 tannin함량은 무처리구에서 각각 0.67 및 2.3%로 가장 높았고, 퇴비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지상부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유효성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30.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ximate composition , volatile compounds, free amino acids, fatty acids and inorganic compounds in leaf, stem and root of Houttyunia cordata Thunb cultivated from two different area, Bosung and Sunchon , were analyzed. Each par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from both local area showed moisture contents of 80-84% and crude ash contents of 2.1 ∼2.8%. Crude fat and protein contents were less than 3 % showing slightly higher contents in leaf than in both stem and root . Twenty six volatile compunds were identified from the parts of the plant, the volatile contents were high in the oder of leaf, root and stem.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mostly derivatives of decanoic acid ; decanoic acid, 20 tridecanoie, decanal and dodecanoic acid. Of free amino acids in leaf asparagine was the highest, while in stem hydroxyproline, proline and arginine were the major free amino acids.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in the stem and root, and linolenic acid was highest in leaf. the major minerals of all parts were K, Ca. Mg, P, Fe, Zn and Cu, showing highest with K.
        31.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two herbs-Houttuynia cordata Thunberg and Lycium chinese Miller-irradiated with gamma-rays in respect of genotoxicity. Water extracts from the 10 kGy gamma-irradiated herbs were examined in two short -term in vitro tests ; (1)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mes test) in strain TA 98 and Ta100 and (2) Micronuclues test on clutured Chinese hamster ovary(CHO) cells. No mutagenicity was detected in the two assay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 From these results , the safety of the herbs irradiated with gamma-rays at practical doses could be revealed in further tests of genotoxicity in vivo, chronic and reproductive toxicity.
        3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eeding effects of Herba hottuynia extracts on the lipids profiles and the content of TAB-reactive substances were evaluated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ot water or ethanol extracts of the dried leave were evaporated and lyophiliz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 edevided to four groups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4 weeks : BAsal (cholesterol-free diet), CHOL(cholesterol-enriched diet),CW (cholesterol plus water extract) and CE(cholesterol plus ethanol extract).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of serum GOT and GPT, but the extracts feeding (0.5% of diet) did not influence the activities induced by dietary cholesterol. Although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centrationof serum andliver cholesterol, it tended to decrease the concent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feeding had a lowering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value of serum, but not inliver.Furthermore, the extracts feeding, especially water extract, decreased markedly the liver peroxidation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Houttyunia cordata extracts have an in vivo antioxidant effect, judged from the TBA value in the liver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33.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식물(藥用植物)로써 이용 가능성 큰 어성초(魚腥草)의 이차(二次) 대사산물(代謝産物)의 생산에 기초가 되는 조직배양체계(組織培養體系)를 확립하고자 어성초(魚腥草)의 절간(節間), 절(節) 및 엽(葉)의 절편체(切片體)를 이용(利用)하여 캘러스를 형성(形成)시키고, 형성(形成)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를 시도하였다. 1. Embryogenic 캘러스 형성(形成)은 모든 절편체(切片體)에서 2, 4-D 1 mg/L와 kinetin 0. 5 mg/L을 첨가(添加)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절간(節間)에서의 캘러스 형성(形成)이 엽(葉)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3. 어성초(魚腥草)의 절간(節間)으로부터 embryogenic 캘러스 형성(形成)은 ½ MS 배지(培地)가 효과적이었다. 4. 배지내(培地內)에 1%의 활성탄(活性炭)을 첨가(添加)하였을 경우 캘러스를 형성(形成)시키지 않고 배양(培養)된 절(節)로 부터 직접 식물체(植物體)가 분화(分化)되었다. 5. Embryogenic 캘러스로부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는 0. 2 mg/L NAA와 1 mg/L BA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가 다른 조합(組合)의 배지(培地)보다 분화율(分化率)이 높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