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은뿌리파리는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지며 시설하우스에서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제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재현성 있는 사육방법을 개발보급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대량사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작은뿌리파리의 온도별 발육을 조사한 결과, 20℃에서 부화율, 용화율, 우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성충을 제외한 발육기간이 20.8일로 가장 짧았다. 성충수명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졌으며, 20℃에서 평균 144개로 가장 많이 산란하였다. 작은뿌리파리 유충 사육배지 조성이 유충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물한천배지와 감자디스크배지가 부화율 84.7, 84.4%로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감자디스크배지가 14.7 일로 가장 짧았다. 용화율, 우화율은 감자디스크배지가 85.2, 82.6%로 가장 높았고 산란수도 125.6개로 가장 높았다. 우화케이지에서 생육배지를 선발한 결과, 우화율은 원예용 상토 50% + 톱밥 25% + 잘게 간 감자 25% 배지가 접종 14일차의 우화율이 88.4%로 가장 높았다. 우화케이지의 생육배지 적정 접종밀도는 유충 1,000개 접종 시 84.7%로 가장 높았고, 유충 3,000, 5,000, 7,000개 접종시 81.4, 58.8, 38.7%로 유충 접종량이 많을수록 우화율이 낮았다. 위 실험 결과에 따라 작은뿌리파리의 대량사육시스템의 사육단계별 자세한 사항을 정리하였다.
        4,000원
        2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is an important player in the ecosystem as a prey for animals. Moreover, they are a valuable candidate food source for rearing animal. Tenebrio molitor (Coeloptera: Tenebrionidae) larvae are known as a good food source with high protein, unsaturated fatty acid, minerals. Therefore, it has strong potential to substitute the conventional meat consumption. To utilize T. molitor as a feed, the standard mass-rearing protocol is required. To make standard mass-rearing protocol, we tested different temperature(17.5, 20, 22.5, 25, 27.5 and 30°C) conditions for egg, larvae, pupae and adult T. molitor to identify the optimal rearing condition. Hatching was occurred within 15~32.5°C range. However, 17.5~27.5°C was required to get more than 70 % hatching rete. When the eggs were treated in 22.5~27.5°C, all eggs were hatched within 10 days. As larval development, shorter developmental period, higher pupation and eclosion rates were observed within 25~27.5°C temperature rang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number of egg, oviposition duration and time required to start egg-laying. The minimum egg-laying(258.40±10.86) was observed at 17.5°C, but the maximum(749.10±7.45) was at 27.5°C. The maximum oviposition duration (137.00±12.73 day (mean±S.D.)) was achieved at 27.5°C, but the minimum (87.50±3.54 day (mean±S.D.)) was at 30°C. The time required to start egg-laying was less than 10 days at 17.5, 27.5, and 30°C. To consider all the factors, we concluded that the optimal temperature is 27.5 °C.
        2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ulum elongatum has a long, thin shape that resembles a twig, propagates by parthenogenesis, changes body color, and drops eggs, all of which suggests its potential in the commercial market, especially as an educational pet ins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est hatching environment and an alternative or artificial diet for rearing B. elongatum to be developed as a commercial and educational pet insect. Oviposition was performed by females without fertilization by the sperm of males. The oviposition period was 42.2 ± 22.7 days and the number of eggs per female was 109.5 ± 70.5 eggs. The hatch rate was 73.3% at 25°C and 66.7% after low temperature treatment (8°C for 60 days). In nature, B. elongatum overwinters as an egg, but it can be assumed from the results that cold temperatures were not required for hatching. The hatch rate was 98.2% in the treatment using floral foam, fermented sawdust, and leaves. Clover(Trifolium repens) was an excellent diet as it was similar to the host plant and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diet. The rate of reaching adulthood for the insects was 66.7% on an artificial diet containing 25% acacia leaves. For sustainable mass rearing of nymphs or adults of B. elongatum, a natural diet could be used such as acacia (Robinia pseudoacacia), white oak (Quercus aliena), chestnut (Castanea crenata var. dulcis), and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or an alternative diet such as clover or artificial diet. To rear nymphs and adults of B. elongatum, natural diet such as acacia, white oak, chestnut, or bush clover leaves, or an alternative diet such as clover or an artificial diet can be used.
        2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reared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with artificial diet and identified sex pheromone. Insect F-II and leaf of box tree were used to make artificial diet.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is the most serious pest of box tree in Korea, and was recently introduced into Europe. The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moth have been identified as (Z)-11-hexadecenal (Z11-16:Ald), (E)-11-hexa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 16:OH) in Jap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species by using GC and GC-MS. Three same components, such as (Z)-11- hexadecenal (Z11-16:Ald), (E)-11-hex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16:OH) were also indentified in Korean population,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ratios. The ratios of these three compounds of Japanese population and Korean population were 5:1.25:1, and 5:0.96:0.2, respectively. The ratios of Z and E-11-hexadecenal were similar, but the ratio of (Z)-11-hexadecenol was lower compared to Japanese population. In field bioassay, (Z)-11-hexadecenal or (E)-11-hexadecenal alon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but the mixture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attractive to males. The most effective ratios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5:1. Other ratios such as 1:1 and 1:5 (Z: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The attractiveness of Z:11-16:OH will be tested in near future.
        2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왕사슴벌레의 국내 분포지가 재검토되고 이들의 대량사육기술 개발을 위한 생태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산란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우화 후6개월이 지난 암, 수 성충에게 2주 이상의 교미기간이 허용되어야 하며 성비는 암:수 = 2:1이 이상적이었다. 산란수는 암컷 한 마리 당 최대 27.3개이고 알은 한 개씩 산란된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147.3일, 산란기간은 최소 120일 이었으며 난기간은 평균 15.6일이었다. 산란상은 직경 15cm길이 15cm인 산란목이 3-4개 들어 있는 554035cm크기의 산란상이 이상적이었다. 산란목으로는 상수리나무가 선호되었다. 사육실조건(, 75% R.H., 16L:8D)에서 1령기간은 24.1일,2령은 29.8일, 3령에는 131.2일이 소요되었으며 용기간은 28.9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수명은 35개월 이상이었다. 산란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3-4개월의 휴면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3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꽃노린재류(Orius spp.)나 알기생봉류(Trichogramma spp.)와 같은 천적곤충의 대량사육을 위한 대체먹이로서, 국내에서 채집이 가능한 저장곡물해충인 줄알락명나방(Cadra cauteila)의 생물적 특성을 조사하고 대량사육 방법을 개발하였다. 에서 줄알락명나방의 발육기간은 알, 유충, 번데기가 각각 4.2일, 29.8일, 8.3일이었으며,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5.8일, 수컷이 4.8일이었다. 총산란수는 20, 25, 3에서 각각 128.9개, 207.9개, 139.9개였다. 실험에 사용된 줄알락명나방의 사육사료 모두 발육기간, 우화율, 성충무게 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쌀겨 50%와 병아리사료 50%를 혼합한 사육사료가 비용 면에서 보다 경제적이었다. 줄알락명나방알의 저장조건으로 9에서 7일간 저장이 부화율 82.0%로 4보다 우수하였다. 유충사육케이지 (16249cm)에서 알의 초기접종밀도를 1,000개, 3,000개, 5.000개로 할 때, 우화율은 각각 62.1, 42.4, 29.4%, 성충무게는 각각 9.1, 77, 6.8 mg이었다. 줄알락명나방의 대량사육체계를 \circled1 사료 배합 \circled2알접종 및 유충사육 \circled3번데기 이동 \circled4성충 우화 \circled5알 수확 단계로 구성하고 각각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4,000원
        3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채벌레류의 토착천적인 Orius strigicollis Poppius의 사육에 영향을 주는 부화율, 산란수 및 산란시기,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을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10%, 온도 의 사육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부화율과 알기간은 각각 88.5%, 5.7일이었다. 사육용기 당 산란수는 50-100개일 때에 우화율이 50.8%로 가장 좋았고, 새로 얻은 성충의 회수시기는 산란 후 17일이 적당하였다.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새로 얻은 성충의 수와의 관계는 Y= -10.7971n(X)+44.659(=0.7619)와 같았다. 사육실에서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일세대 평균기간(T), 순번식율( )과 내적자연증가율( )은 각각 26.5일, 6.18과 0.0687이었다.
        4,000원
        35.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멧누에는 실내에서의 대량사육이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부화에서부터 100%가까운 다습상태와 전후의 고온사육조건에서 간단히 사육할 수 있었다. 실내사육결과 전령경과일수는 15~25일의 범위이며 대부분의 유충은 17일 전후이었다. 용화비율은 약40%이며 용기간은 암수모두 13~25일 사이였다. 또한 암수모두 2개의 우화최고점을 가지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2~3일정도 빨리 우화하였다.
        3,000원
        36.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깨잎말명나방의 실내누대사육을 위해 누에 인공사료를 기본으로 하여 들깻잎분말을 30, 40, 50% 함유한 3종의 평판형사과(구, 구, 구)를 공시, 기주식물인 들깻잎으로 사육한 PL구를 대조로 비교사육시험한 결과, 인공사료육구가 생엽육구에 비해 번데기 및 성충수율이 높았으며 또한 번데기무게도 무거웠다. 특히 들깻잎분말 40%를 함유한 사료구의 사육성적이 비교적 우수하여 이에 의한 실내누대사육체계를 확립하였다.
        3,000원
        37.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사료에 의한 실내사육에서 부활율은 97.9%, 3령까지의 생존율은 83.3%였다. 3령유충에서의 용활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82.5%, 개체사육에서 48.5%, 집단사육에서 37.5%로서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가장 높았다. 유화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90.9%, 개체사육에서 85.2%, 집단사육에서 86.7%로 거의 비슷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집단 사육법은 개체사육법에 비하여 사육방법이 용이하고 인공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000원
        38.
        197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침파리의 동계사육 결과 평균온도 에서 유충기간 7일, 용기간 9.2일, 전산란기간 14.2일, 성충수명 23.3일이었다. 2. 5월부터 7월까지 사육온도 로 고정시켰을 때의 생육기간은 유충기간 8.0일, 용기간 5.3일, 전산란기간 11.7일, 성충수명 30.1일 이었다. 3. 용 개체중량은 5월-7월의 에서 13.3mg으로서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4. 전산란 기간중의 성충사망율은 습도 조절(R. H.)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누대사육을위해서는 의 R.H.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5. 성충의 산란율은 산란 시작후 제8-10일에 제일 높다.
        3,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