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2

        2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 다. 이를 위해 무인기와 비대칭위협, 북한의 무인기 위협 현황 및 평가, 한국의 북한 무인기 위협 대응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최 근 북한은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는 등 무인기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대 남도발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의 무인기 침투의 경우 운용상의 비대칭성 과 대남 테러 가능성으로 인해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북한의 무인기 개 발은 기존의 정보·감시·정찰의 목적에서 공격용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북한의 무인기 개발배경은 북한의 안보적·상징적·대남위협적 동기 및 효 과에서 나온 것이다. 향후 북한의 무인기 대응을 위해 ①민·관·군 협력 제고, ②합동 드론사령부 창설, ③한미동맹 차원의 협력 제고 등의 과 제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8,400원
        2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 김정은 체제의 관광산업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이를 통해 관광산업을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과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남북교류의 경우, 관광은 상호 정치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정치적 관계는 관광을 제한하 거나 심지어 단절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1960-1970년대 한국과 필 리핀을 포함한 국가들은 외화획득을 목적으로 관광 진흥정책을 추진하였 으며, 동시에 국내 체제의 안정과 국제사회로부터 독재 권력에 대한 묵 인(默認) 유도하는 등 정치적 방편으로 관광을 이용하였다. 북한 김정은 체제가 관광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도시건설을 통한 관광 상품화 추진이다. 둘째, 현지 지도를 통한 최고지도자로서의 이미지 형성이다. 셋째, 폐쇄적인 북한 이미지 개 선 추진을 위해서이다. 넷째,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한 다변화 하는 북한 관광을 추진하면서 관광을 정치적으로 악용(惡用)하고 있다.
        5,800원
        2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의 군사전략에 대해 기존대로 한반도 전 지역을 석권한다는 군사전 략이 지속되고 있다는 주장과 변화하고 있다는 주장이 아직도 맞서 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 목적은 최근 안보환경의 변화와 김일성-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집권자의 변화 기간 동안 북한 군사전략의 변화 를 분석하고, 핵무력 완성 이후 경제건설에 집중하겠다는 북한의 군사전 략의 변화를 제한전 하 군사전략으로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 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질적연구를 주로 실시하였고, 김일성 집권 이후부 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망라하여 군사전략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 김정은은 체제안정을 최우선으로 기존의 전면전 보다는 핵무기 사용을 위협하며 제한전을 추구하는 군사전략을 채택할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군사전략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전망해 보았다. 이에 대비하여 한국군은 기존의 전면전 중심에서 북한의 제한전 하 군사전략 에 대응하는 군사전략을 병행하여 발전시킴이 요구되고 있다.
        6,700원
        25.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통해 남북통일에 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을 분석 하고 그를 통한 함의를 도출하여 미래 한반도 통일에 관한 시사점을 얻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역대 4개 정부를 분석대상 기간으로 구분 설정하고 포털 및 언론보도 빅데이터 총 115,975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수행 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 시기별 통일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특성을 확인 하였으며 외교, 정치, 군사, 경제, 사회·문화 측면의 공통 키워드를 도출 하여 그에 따른 한반도 통일에 관한 발전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6,700원
        2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냉전기 1959년부터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후의 인권 문제와 관련하여 비정부 행위자에 초점을 맞추어 NGO ‘모두 모이자’의 설립자인 가와사키 대표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모이자’ 설립 후 2015년부터 현재까지의 가와사키 대표의 활동을 신문 기사 등의 1차 자 료를 통해 냉전기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이후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구체적 인 분석을 하여 기존연구의 공백을 보완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 지 점을 제시한다. 첫째, 1959년에 시작되었던 재일조선인 북송문제는 끝난 것이 아니며, 여전히 우리가 계속 풀어야만 하는 역사적 문제이다. 둘째, 재일조선인 북송사업 이후 관련자들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 ‘모두 모이자’는 국가 행위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큰 활약을 했으며 계속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모두 모이자’의 가와사키 대표 의 재일조선인 북한송환 피해자들의 인권 증진을 위한 여러 활동은 한국 과 일본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재일조선인 북한송환의 피해를 알리는 계 기가 되었다.
        4,900원
        29.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1970 to 1990, North Korea’s trade mainly carried out maritime trade through ports f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trend is due to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after the third nuclear test in 2016, North Korea gradually became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as it expanded to include maritime sanctions in the form of comprehensive sanctions targeting an unspecified majority of North Korea. The logistics structure of North Korea is due to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lef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50s and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country, with railroads being the main source of logistics and passenger transportation, and roads being secondary. North Korea faced rapid deterioration and lack of facilities after 1990 due to the lack of investment in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system despite the advanced logistics infrastructure and operating system compared to the South. In particular, the power shortage in North Korea hindered the operation of the railroad and accelerated the aging of the railroad facilities, which has continued to this day. In the 2010s, 96% of cargo transportation in North Korea’s logistics infrastructure depended on railroads and roads, and ports that were developed until the 1980s have deteriorated with little investment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Although some ports have been developed since 2010, North Korea’s east and west coasts are separated and there is no function of shipping to connect ports, so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hancing the nation’s port capacity. As North Korea’s trade dependence on China has increased, North Korea has largely relied on land transport, except for some cargoes that are advantageous for marine transport, such as coal. This structure again leads to a decrease in investment in ports, and the current vicious cycle of causing problems with North Korean port facilities is repeated. In this study, North Korea’s land and marine trade logistics system such as railway, road, and shipping and the trend of foreign trade due to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lann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the routes and scenarios through which major nuclear items can be transferred in the event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n the future.
        30.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the 1992 ‘Joint Decla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greed, various negotiations and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There were policies such as CVID, Strategic Patience, Top-Down Approach, Calibrated Practical Approach, Audacious Initiative and the Geneva Agreement, and 9.19 Joint statement by the six-party talks were signed to denuclearize Korean Peninsula. However, starting with the first nuclear test in 2006, North Korea conducted six nuclear tests to develop atomic bombs, boosted fission bombs, ICBMs, and SLBMs to enhance its weapon capabilities. In addition, nuclear security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rising day by day as signs of restarting the North Korea’s Yongbyon 5MWe Graphite-moderated reactor were observed and the possibility of a seventh nuclear test have been increased. Since North Korea’s nuclear issue has a lot of influence on international security, especially o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a realistic denuclearization policy that reflects North Korea’s current domestic situation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s needed. It’s been six months since Russia invaded Ukraine on February 24, 2022. The war between Russia, which has nuclear weapons, and Ukraine, which gave up it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due to the Cooperative Threat Reduction (CTR) program known as the Nunn-Lugar program,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orth Korea, which is considering denuclearization due to UN sanctions on North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war patterns of Russia-Ukraine war, perspective on how it could affect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s analyzed. Also,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vious nuclear negotiations, the North Korea’s political regime, the ‘five-year strategy for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five-year plan for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were analyzed to suggest practical DPRK’s denuclearization policy.
        3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some superior soybean varieties adaptable to growth in the nor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dentify the suitable growing regions of soybean in North Korea. Soybean varieties from South Korea were evaluated with the Chinese locally cultivated varieties as check varieties at two locations, Donggang City of Lianing Province, and at Longjing City of Jilin Province, 2017-2019. A total of 100 soybean varieties from South Korea and three Chinese check varieties were evaluated based on ecological adaptability, and a total of 18 varieties including ‘Suwon 212’ from the Longjing test site as well as a total of 59 genotypes the Donggang test site, were selected for further evaluation in the first experiment year. A total of 12 promising soybean varieties at Longjing and 15 varieties at Donggang that were selected from the previous year, were evaluated at the same sites for ecological adaptability as well as productivity in the second experiment year. A total of nine promising soybean varieties were selected at the test sites, respectively. The nine varieties at each site that were selected from the previous year for the production capacity including flowering date, degree of lodging, yield potential, and disease resistance, were reviewed to evaluate at both sites in the last experiment year. Finally, a total of eight superior varieties, including four at the Longjing site (‘Seonnogkong’, ‘Dajinputkong’, ‘Danweonkong’ and ‘Sinpaldalkong 2’) and the other four at the Donggang site (‘Iksan 13’, ‘Seonnogkong’, ‘Gangil’ and ‘Yeonpung’) were selected. The yield potential of four outstanding soybean varieties selected at the Longjin site was 1.5-2.6t/ha, and that of the other four at the Donggang site was 2.1-2.7t/ha.
        4,000원
        3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protecting its lives and property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North Korea needs to develop into an informationized industrial society by securing renewable energy power in the era of energy transition. In addition, existing research has considered that a policy of continuous and consistent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based on the safety of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could be the solution. South Korea needs to recognize that the supply of energy for a minimum of living is more important to the North Korean people than the economic benefits of securing North Korea's renewable energy market. Therefore, in this paper, from that point of view, we have calculated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North Korea lacks necessary for the lives of its inhabitants that can be replaced by renewable energy, and considered ways to estimate the market value.
        4,000원
        34.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정은 시대 북한 재해관리는 최고지도자의 관심과 법률 보완을 통해 체계적 관리로 발전하였다. 김정은 시대 재해관리 체계 확립에 있어 가장 우선시 되었던 조치는 2014년 「재해방지 및 구조, 복구법」 제정이다. 김 정은은 재해 관련 신속한 예방과 대응, 복구를 위해 ‘재해방지 및 구조, 복구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재해의 범위를 자연·사회·보건으로 규정하여 관련 법률 적용을 일원화하였다. 다음 조치로 김정은의 관심과 현지지도이 다. 2014년 평천구역 아파트 붕괴 사고 이후 김정은은 6개월 동안 9차례 건설현장 현지지도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건설감독법(2014)」을 제정하여 건설현장의 엄격한 관리를 규정하였다. 2020년 대규모 수해 발생 이후 김 정은은 2개월 동안 8차례 수해 현장 현지지도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2021 년 「환경보호법」·「건설법」·「산림법」 수정보충 및 「시군발전법(2021)」을 제 정하여 지역 개발과 발전을 도모하였다. 2020년 코로나19팬데믹 현상 이 후 김정은은 총 22차례 정치국 회의를 개최하고 13차례 코로나19 관련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전염병예방법」 수정보충, 「비상방역법(2020)」· 「의료감정법(2022)」을 제정하여 코로나19 확산을 통제하고 코로나19 확진 자 관리를 위한 체계를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체계적 재해관리를 위한 조직 구조를 구축하였다. 체계적이며 신속한 재해관리를 위해 국가비상설 재해방지대책위원회와 국가비상재해위원회, 부문별, 지방재해방지대책위원 회, 시도군인민위원회, 국토환경보호성, 중앙인민보건지도위원회, 중앙비상 방역지휘부 등 각 재해 유형별 관리체계를 세분화하여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 구조를 구축하였다. 특히, 2020년 비상방역상황에서 사회안 전군을 전면에 내세워 신속한 비상방역활동을 실시하였다.
        6,300원
        35.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의 지위를 두고 충 돌하는 사이에 일본은 재래식 군사력을 꾸준히 증강시키고 있으며, 러시아 는 영토확장 욕심을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국제사회 의 다양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핵무장을 추구해온 북한은 이제 한국을 향한 핵무기 사용까지 노골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 고 있는 동북아 지역의 안보환경은 세계 10대 경제대국이자 재래식 군사 력 6위권에 있는 한국으로 하여금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생존전략을 모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이 벌이고 있는 패권경쟁의 틈바구니에 놓인 한국이 독자적으로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번 영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국민들의 호국정신부터 고양시킨 다음 한 국군을 정예화시켜야 한다.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에 진행되고 있는 전쟁상황을 보더라도 외부 위협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의지를 고양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전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중국의 동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인도- 태평양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한-미-일 동맹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현실화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한국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 을 미치므로 미국의 확장억제 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독자적인 핵 무장을 추진해서 자위권을 확보해야 한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美·中 충돌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가고 있다. 20세기 초 국제안보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생존능력을 갖춰야 한다.
        7,700원
        3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orth Korea water supply system. For this purpose,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North Korea water ut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water supply system of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ystems lies in the national water supplier: South Korea has the national water supplier as well as the municipal suppliers, while there is no national water supplier in North Korea. It is noted that the North Korean water utilities depend on outside suppliers for resources necessary for water production such as electricity, chemicals, spare parts, etc. This could damage the North Korean water utilities. If required resources were not delivered properly (deficient quantity and/or at delayed timing), the water suppliers would encounter difficulties in water production.
        4,000원
        37.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evious study, the types of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foreign trading partners, and export items were investigated. From North Korea’s typical trade path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aths through which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are illegally exported upon denuclearization. Trading partners of North Korea are the potential importing countries or end-users of strategic items, which can be disguised or concealed as if it is general export items during typical export procedures. So, in this study, transfer paths of North Korea’s export items are examined by utilizing KOTRA statistics, including item type HS code and its total price. Also, AnyLogic, a comprehensive simulation modeling tool, the simulation will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hs for illegal transfer and calculate the time required.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s trading partners and items is used for establishing export scenarios in which strategic items are transferred to other countries through North Korea’s ports, airports, railroads, and roads. To be specific, China, Russia, and South Korea, countries that share a border with North Korea, export items transported only by land; the items will arrive first in the referred three countries. Since the types of items, North Korea transacts with each country are different, the total amount and frequency of transactions are different; the probability of strategic items being included in general export items and transferred during customs clearance also varies. Even if it does not border North Korea, North Korea can export items through ports to countries adjacent to the coastline, and North Korea can even export items to any country by airspace even if it is not adjacent to the coastline. So, all publicly open ports, airports, railways, and roads are surveyed. Their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EPSG 4326 and EPSG 3857 coordinate system, are applied to confirm and visualize valid export paths starting from North Korea. In conclusion, effective export paths in North Korea are identified based on North Korea’s each major transportation hub by using AnyLogic simula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aths through which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will be transferred by combining information on major export items and countries that North Korea mainly transacts with.
        38.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vestigating major trading partners and items with North Korea is informative in terms that it can predict the path through which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will transfer to non-nuclear-weapon states when North Korea denuclearizes. By analyzing North Korea’s trading partners and the item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levant countries through which items arrive from the first importing country to the end-user in the process of exporting items and to predict the way how North Korea disguise or conceal their strategic items among general items during normal export procedures. As of 2020, North Korea’s major trading partners are China, Russia, Vietnam, India, Nigeria, and Switzerland. Compared to 2019, Mozambique, Tanzania, Ghana, and Thailand entered the top 10, while Brazil, Bangladesh, Pakistan, and South Africa pushed out of the top 10. North Korea’s trade dependence on China accounts for 88.2%, making it the largest trading partner for years, and it shows that North Korea is mainly conducting trade with Asian and African countries. North Korea’s most important export items are mineral products (HS 25-27) and steel & metal products (HS 72-83) and the most significant import items are mineral products (HS 25-27) and oils & fats & prepared foods (HS 15-24). In 2017, due to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for North Korea’s international ballistic missile (ICBM) test-fire, North Korea’s exports from 3 billion dollars fell by 90% to less than 300 million dollars. This is the result of most of North Korea’s major export items included in the export ban, and changes have occurred in its export items. In 2020, export fell to less than 100 million dollars due to border lockdown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which also affected the change of North Korea’s major export items. Although North Korea does not officially publish its foreign trade statistics, in order to review North Korea’s trade information, KOTRA statistics are utilized. KOTRA statistics provide only two digits of HS code number, so it is challenging to identify detailed item classification. Moreover, these statistics are based on the export amount,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quantity of export items. It is expected that information on North Korean trading partners and items will be used to predict potential transferable export methods of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when North Korea denuclearizes.
        39.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은 6.25 전쟁 이후 핵무기 개발을 시도하여 여섯 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네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2018년 핵 무력 국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핵무기 투발 수단인 미사일 성능은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 하였 으며, 2022년에도 현재까지 11차례의 미사일 도발을 자행하였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의 억제 및 대응전략은 지나치 게 수세적이며 희망적 사고에 젖어 있다. 따라서 북핵 위협에 거부적 억제 를 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Soft-kill 개념’과 명백한 핵 도발 징후 임박 시에는 자위권 차원의 선제타격을 할 수 있는 ‘Hard-kill 개념’을 동시에 적용하여 상호 보완하는 대응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북한의 핵무 기 사용 억제를 위해 한반도에 전술핵무기 재배치를 신중히 검토해야한다. 그럼에도 북한이 핵미사일을 발사한다면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 종말단 계에서 상층-중층-하층 방어가 가능한 다중요격체계의 한국형 미사일 방 어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5,700원
        4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 핵에 대한 IAEA의 사찰이 2002년 종료된 이후 북한은 2017년에 여섯 번째의 핵실험과 ICBM급인 화성-15형을 시험 발사하고 핵무력을 완성하였다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북한은 2021년 초 조선노동당 8차 대 회에서는 핵고도화 선언을 하기도 하였으며 2022년 들어 극초음속미사 일, IRBM, ICMB 등을 시험발사하며 한반도 정세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 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북한의 핵능력은 더욱 확장되고 고도화할 가능성 이 많다. 한국과 미국을 포함하는 국제사회는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을 적극 추진하고 실질적 검증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비통제 검증 분야의 역사적 성공 사례인 INF 조약 이행과정 분석을 통하여 북한 핵에 대한 핵심적 검증과정인 현장사찰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서 가장 고비가 될 수 있는 검증의 현장사찰에 관한 실행가능하고 발전 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을 NPT에 복귀시키고 IAEA의 안전 조치협정에 가입하도록 하여 ‘IAEA 주도의 현장사찰’을 실시하여야 한 다. 둘째, 북한 핵시설 중 미신고·미공개된 핵시설에 대한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현장사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북한의 폐쇄적인 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상호협력적 현장사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다 양한 국내 및 국제기술수단을 이용하여 원격 감시, 위성 및 항공 감시, 핵관련 인원의 인터뷰, 문헌조사, 시료 채취 및 정밀분석 등을 시행하는 ‘과학기술 집약적 통합 현장사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