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ly, hair loss,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mere means of middle-aged men due to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rket for hair loss in Korea is about four trillion won and it is growing continuously. It is mainly made by mixing natural extracts such as medicinal 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whole plant and Calendula officinalis L. flower extracts on the growth of fibroblasts, dermal papilla cells and lipid precursors, I want to try to make a materializa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cytotoxicity of each sample extracts treated with 50%, 100%, and 500 μg to fibroblasts, cell-viability were 107.3%, 109.6%, and 128.2%,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each sample to the dermal papilla cells was not observed. And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the lipogenic precursor cells which regulates the hairegeneration by secretion of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The 70% ethanol extracts of H. cordata whole plant and C. officinalis flower were showed promotes the hair growth activity. The lipolysis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concentration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n-vitro hair growth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for hair treatment material development was not shown to be toxic to each cell. And 70% ethanol extract of H. cordata whole plant stimulated lipid precursor cells inducing differentiation. As a result, the 70% ethanol extracts of H. cordata whole plant and C. officinalis flower have potential to developing hair-related product.
        23.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proliferation efficiency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In order to improve the proliferation efficiency, we investigated new factors that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SSCs using in vitro culture method with natural plant extracts. Germ cell populations containing SSCs were collected 6- to 8-days-old from C57BL/6-TG-EGFP (C57GFP) mice and SSCs were isolated from the collected cells via 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 (MACS). Since then, SSCs were cultured for a week with culture medium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s at concentration of 0.1, 1, and 10 μg/mL. After a week of culture, we looked for an increase, especially a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was observed in the Petasides japonicus-treated groups. Furthermore, we carried out repeated experiment that is process consisting of selection and additional segmentation to explore new factors for activating SSCs at the molecular level. As a results, Petasides japonicus butanol f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liferation rate of SSCs in a dose-dependent manner among Petasides japonicus fraction samples. We identified normal expression level of PLZF in SSCs cultured with plant extracts using immunocytochemistry method. Furthermore, we also carried out qRT-PCR and identified normal expression level of Lhx1 and GFRα1.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for SSCs, using culture method with natural plant extracts.
        2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pper mild mosaic virus (PMMo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are important pathogens in various vegetable crops worldwide. We have found that methanol extracts of Quercus dentate (Daimyo Oak) gallnut strongly inhibit PMMoV and CMV infection. Based on this result, the inhibitor named as "KN0912" formulated from the extract of Q. dentate gallnut was tested for its inhibitory effects on PMMoV or CMV infection to each local lesion host plant (Nicotiana glutinosa; PMMoV, Chenopodium amaranticolor; CMV). Pre-treatment effect of KN0912 against infections of each virus to local host plant was measured to be 75. 1:±0. 5-97. 5±1. 5% to PMMoV and 70.6±2.2-99.0±1.0% to CMV in 1-10mg/ml conc. and the absorption effect of the antiviral composition of KN0912 to the inside of tobacco leaves tissue, was inhibited by 55.7% to PMMoV and 63.8% to CMV. The persistence of KN0912 treatment was maintained until after the 3 days high inhibitory effect by 98% to PMMoV and by 95.1% to CMV. Inhibitory effects on systemic host plants of KN0912 were measured to be 80-90% to PMMoV and 60-75% to CMV. From the change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MMoV particles under EM, we are tentatively suggested that one mode of action of KN0912 is inactivation due to the destruction of virus particles.
        2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an alternative for synthetic pesticides, methanol extracts from 69 plant samples were test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wo spotted mite (Tetranchus urticae Koch). Seven plant extracts including Angelica japonica showed over 80% insecticidal activity at 5000 mg/L. Extract of Prunus armeniaca seed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at 3000 mg/L. As a naturally occurring pesticide, P. armeniaca could be useful as a new botanic insecticide.
        2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UV)은 인체 피부 손상의 주된 요인이고 UV에 대한 피부의 초기 반응들은 홍반과 부종을 포함한다. 화장품에 사용할 효과적인 자외선 방어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세포수준의 효능평가법으로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을 검색하였다. 시험된 총 38종의 식물 추출물들 중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접시꽃(Althaea rosea),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에서 유래한 3종의 식물 추출물이 배양된 인체 표피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뿐만 아니라 UVB의 세포독성을 경감시켰다. 이 식물 추출물들의 항염증 작용은 동물 실험에서도 평가하였다. 대조 크림 혹은 식물 추출물을 1 % 함유한 시험 크림을 C57BL/6 쥐의 귀에 혹은 SKH‐1 무모쥐의 등에 UVB 조사 전과 후에 도포하였다. UVB 노출에 의한 영향으로서 부종 생성은 귀의 두께 변화를, 홍반 생성은 등 피부의 붉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추정하였다. 3종류의 시험 크림 모두 두 실험 모두에서 항염증효과를 보였다. 제주조릿대, 접시꽃, 또는 관중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자외선 조사 4일째 부종 반응을 각각 53.8 %, 56.4 %, 31.1 % 경감시켰다. 또한 이 크림들은 자외선 조사 2일째 홍반 생성을 각각 45.7 %, 34.1 %, 20.5 % 억제시켰다. 본 연구는 화장품에 함유된 특정 식물 추출물들이 자외선 과다노출로 야기되는 피부 염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2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 내에서 천연 방부제로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별된 1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에 대한 paper disc법(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측정법(MIC)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자,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E. coli 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우수하였고, 계피 추출물은 효모균인 C. albicans와 곰팡이균인 A.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최종 선별된 3종 외 식물추출물은 효과가 없었다.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한 최적 조합비로 구성된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여 제형 내 방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 혼합 방부제와 유사한 정도의 방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8.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초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중 flavonoid 지표물질인 liquiritin이 들어있는 분획 (GUE6)에 살구 및 복숭아 종자로부터 얻은 조효소액 (PDE, PAE, PPE)을 법제 처리하였다. 각 조효소액에서 β-glucosidase 활성도는 아몬드 (P. dulcis) 259.6 U/g 살구 (P. persica), 복숭아 (P. persica) 조효소액의 β-glucosidase 활성도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PDE, PAE, PPE를 이용한 발효 법제 후 liquiritigenin의 함량 비교 결과, 효소중의 β-glucosidase에 의해 liquiritin이 대사되어 항산화, 향군, 세포 독성 억제, 항치매, 항피부암 등 많은 약리효능을 가진 활성 물질인 liquiritigenin이 생산됨이 확인되었으며, 세효수 모두 liquiritin에 1.2배의 효소 처리 시 가장 대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변환을 위한 최적 농도로 결정되었다 세효소 중 특히 PPE 처리 시 liquiritin이 모두 liquiritigenin으로 변환됨으로써 liquiritin의 변환에 복숭아 종자 유래 효소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29.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꼭두서니에서 추출한 염료를 이용해 몇 가지 조건에서 견직물을 천연염색 해 봄으로써 견직물에 대한 꼭두서니의 염색성과 염료로서의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꼭두서니 추출물로 모시 섬유를 염색 한 결과 표면색은 YR계열로 나타났으나 매염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FeSO4, SnC14, tartaric acid에서 는 Y계열로, 동백, 콩대재에서는 R계열로 나타났다. 염색온도에 따른 모시섬유의 표면색과 염착농도는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a값이 증가한 반면에 b값은 감소되었고, L값은 낮아졌다. 염착농도는 70℃ , 90℃, 60℃순으로 높았다. 염액의 pH에 따른 표면색은 pH 4와 9에서는 순 Y계열을 나타냈으며, 염착농도는 산이 강할수록 K/S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염액의 농도에 따른 표면색은 농도에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YR계 열로 발색 되었으며 , 염착농도는 염액의 농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염 색시간에 따른 표면색과 염착농도는 10-120분간에 큰 차이가 없어 10분간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