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에서 줄기괴저바이러스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꽃노랑총채벌레 약충과 성충이 잎, 꽃, 과실의 흡즙을 통해 확산시킨다. 최근 무분별한 농약 사용으로 약제저항성 계통 출현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총채벌레류는 식물바이러스 매개하는 시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은 약제로는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시판되는 국화 총채벌레류 등록 살충제 10종을 꽃노랑총채벌레 발육단계별(약충, 번데기, 성충)로 살포한 결과, 유효성분 피롤계 클로르페나피르, 카바메이트계 벤퓨라카브와 스피노신계 스피네토람이 함유된 약제가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다. 총채벌레류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위 성분이 함유된 살충제를 교호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여진다.
        2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ankliniella occidentalis is a major pest in agriculture. Following overuse of insecticides, high resistance has developed due to its high reproduction rate and short generation time. To control the resistant strains of the thrips, the ingestion RNAi- based control was established. A total of 67 genes were selected, and their double-stranded RNAs (dsRNA) were delivered to thrips via the leaf disc-feeding method. Among the genes screened, the dsRNA of Toll-like receptor 6 (TLR6) and coatomer protein subunit epsilon (COPE) resulted in the highest mortality (3.8- and 2.8-fold faster LT50 compared to control, respectively) when ingested by thrips. The dsRNA-fed thrips showed 53% and 83% reduced transcription levels of TLR6 and COPE, respectively.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observed mortality of thrips following dsRNA ingestion was due to RNAi, and this lethal genes can be employed as a practical tool to control thrips in the field.
        2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시설 오이재배지에서 총채벌레류 방제를 위해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밀도 조사 및 생물검정을 통해 효율적 약제를 선발하였다. 총채벌레류 밀도 조사는 천안시 병천면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2018년 4월 01일부터 8월 14일까지 약 3개월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오이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대만총채벌레 (F. intonsa), 오이총채벌레 (Thrips palmi), 파총채벌레 (T. tabaci), 볼록총채벌레 (Scirtothrips dorsalis), 좀머리총채벌레 (Microcephalothrips abdominalis), 미나리총채벌레 (T. nigropilosus) 등 총 7종이었고,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인 종은 꽃노랑총채벌레로 나타났다. 꽃노랑총채벌레의 약제저항성 발달을 알아보기 위해 10종 약제에 대하여 판별농도 (discriminating concentration; DC), 추천농도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배량농도 (2×recommended concentration; 2×RC)를 설정하고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지역계통별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생물검정 결과 emamectin benzoate EC (RC, 10.8 μL L-1), chlorfenapyr EC (RC, 50.0 μL L-1), spinetoram SC (RC, 25.0 mg L-1), spinosad SC (RC, 50.0 mg L-1)는 추천농도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나, cyantraniliprole EC (RC, 50.0 μL L-1)과 neonicotinoid계통 4종 약제는 추천농도에서 모든 지역계통의 살충활성이 80% 미만이었고, cyantraniliprole EC는 배량농도에서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neonicotinoid계통은 배량농도에서 다양한 살충활성을 보였다.
        4,000원
        3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오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총채벌레류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 국내 5지역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10종 약제에 대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은 추천농도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Cyantraniliprole EC의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장성(79.0%)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95%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WP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에서 살충활성이 최대 40%(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최대 81.7%(상주)였다. Dinotefuran WG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80%(평택)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장성계통만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지역계통에서는 85% 이하의 값을 보였다. Thiacloprid SC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최대 59.3%(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상주와 창녕계통에서 만 90%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평택, 안성,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5.0%, 81.7%, 24.2%의 값을 보였다. Thiamethoxam SC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75.6%(상주)였고, 배량농도에서는 안성, 상주, 창녕계통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고, 평택,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8.3%, 26.5%의 값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인반면 Cyantraniliprole EC과 Neonicotinoid계 5종 약제에 대하여는 저항성이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노랑총채벌레는 저항성 해충군이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고 산란수가 많으며 세대기간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령기가 혼재하고 있으며, 꽃과 잎 등 식물체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생활환을 완성하는 복잡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총채벌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설 내 방제는 어려운 실정이며, 동일계통의 작용기작을 갖는 약제들의 단조로운 패턴의 약제사용으로 인하여 그 방제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처리별 효과 검증을 통하여 방제체계를 제안하였다. 우선 실내에서 약제별 약충과 성충에 대한 처리방법별 효과 검토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가 높지 않은 초기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와 총채벌레 밀도가 높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약제를 선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포장에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조합별 효과 검토를 하였다. 또한 본 시험결과들을 기초로 ㈜경농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밀도가 높을 경우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연속살포하는 3!3!3! 총채벌레 관리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
        3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되고 있는 51종(단제 21종과 합제 30종)의 살충제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 15종을 선발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합제에서 많은 유효성분들이 오남용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2종의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약제에 대하여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에 비해 높은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꽃노랑총채벌 레에 효과 있는 약제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선발된 15종의 약제를 이용하여 약효발현속도(LT50과 LT95), 침투이행성, 잔효성을 비교하였다. 약효 발현속도를 LT95 (hour)값으로 비교했을 때, chlorpyrifos WP,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가 2시간 이내로 가장 빨랐고, spinetoram WG은 62.3시간으로 가장 느렸다. Chlorfenapyr SC에서 뿌리와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가 나타났고, spinetoram WG에서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만이 나타났다. 약제 잔효성 실험에서 chlorfenapyr SC는 14일, benfuracarb WG 와 chlorpyrifos WP는 3일까지 효과가 지속되었다. 꽃노랑총채벌레 야외집단(화훼재배지와 과채류재배지)간의 감수성 비교에서는 화훼재배지에서 채집된 집단이 더 낮은 약제 감수성을 보였다.
        4,200원
        3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sceptibility of the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rankliniella intonsa was evaluated using 46 commercial insecticides. There were 10 kinds of insecticides as benfuracarb, chlorfenapyr, spinetoram, spinosad, abamectin + chlorfenapyr, abamectin +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 clothianidin, chlorfenapyr + imidacloprid, clothianidin + spinetoram and dinotefuran + spinetoram, which showed more than 90% mortality against both thrips, F. occidentalis and F. intonsa. Since the F. intonsa is more susceptible than F. occidentalis, it is considered that both thrips can be controlled by insecticides that show insecticidal activity on the F. occidentalis. The effect by the elapsed time after treatment of 10 kinds of insecticides was analyzed as LT50 and LT95 values. Benfuracarb was the fastest in 4.3 h (LT50) and 14 h (LT95), and spinetoram showed the most late time at 13.5 h (LT50) and 62.3 h (LT95), respectively.
        3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auveria bassiana (Bb) is a potential biopesticide against western flower thrips. To underst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wo Bb isolates (ERL836 and JEF-007), whole genome sequencing and RNA-seq were performed. The whole genome of Bb ERL836 was sequenced (3,934,801,443 bp) using Pacbio sequencing and 15 contig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pathogenicity in two Bb genome (before infection and after infecti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was analyzed to compare transcriptomes. A result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DEG) showed that 2,689 contigs were up-regulated and 2,619 contigs were down-regulated. Randomly selected five genes were validated to be highly up-regulated. This work can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Bb and westetn flower thrips.
        3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ing the insecticidal susceptibility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damaging the horticultural crops in Gyeonggi area. Neonicotinoid insecticides, especially acetamiprid SP, clothianidin SC,imidacloprid WP and thiacloprid WG were not toxic to F. occidentalis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Excepting theinsecticide of spinosin or pyrrole class, there was a little class of insecticide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in horticultural crop areas. Considering all the results in this study, spinosin insecticides including over 4 and 10% ofspinetoram and spinosad, and pyrrole insecticide including over 5% of chlorfenapyr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control of F. occidentalis, damaging the horticultural crops in Gyeonggi area.
        3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icidal susceptibility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greenhouse conditions using commercial insecticides at their recommended concentrations. Neonicotinoid insecticides, especially acetamiprid SP, clothianidin SC, imidacloprid WP and thiacloprid WG were not toxic to F. occidentalis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Excepting the insecticide of spinosin or pyrrole class, there was a little class of insecticide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in horticultural crop areas. Considering all the results in this study, spinosin insecticides including over 4 and 10% of spinetoram and spinosad, and pyrrole insecticide including over 5% of chlorfenapyr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3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stern flower thrips (WFT), Franklinella occidentalis, is a major pest of ornamentals. Mycotized millet grains with entomopathogenic fungi applied to soil of potted marigold plants was tested to target pupating thrips. Two experimental fungal isolates, (Beauveria bassiana [ARS7060] and Metarhizium anisopliae [ERL1171]), were compared with the registered B.bassiana strain GHA and untreated controls in greenhouse caged trials. Mycotized millet grains were mix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tting soil in pots of flowering ‘Hero Yellow’ marigolds (4 g/pot). One week after application five mated WFT females were released onto each plant (four plants per cage). At 8 wks post-infestation, the mean total number of thrips per plant was 81 and 90% less in the ERL1171 and ARS 7060 treatments, respectively, than in the controls. The mean numbers of thrips per plant for the control and GHA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lant damage was 60% less on plants treated with the experimental fungi than the control and GHA treatments. At 10 wks post-application, 75-90% of WFT collected from the treatments were infected with the experimental isola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oil applications of entomopathogenic fungi can reduce WFT populations significantly and prevent damage.
        3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udies have reported differential attractiveness of yellow, white or blue sticky cards to greenhouse pests, especially to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and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omoptera: Alyerodidae).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yellow or blue sticky card offers a better option in monitoring or mass trapping these sympatric greenhouse pests. Laboratory study that included a multiple choice and no-choice tests to observe the attractiveness of blue, yellow, white or green sticky card to F. occidentalis and T. vaporariorum was conducted. Also, a glasshous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better composite attractiveness of yellow or blue sticky card. F. occidentalis showed higher preference to blue and yellow sticky cards in laboratory study and blue captured the highest number of F. occidentalis in glasshouse followed by the yellow. However, while the blue sticky card captured few T. vaporariorum, the yellow sticky card captured the highest number of T. vaporariorum in both laboratory and glasshouse tests. Since yellow sticky card received composite affinity of both F. occidentalis and T. vaporariorum, placement of yellow sticky card for the greenhouse pests, rather than blue or yellow targeted to individual species, is recommended for economical and optimal monitoring and/or mass trapping success of the tested greenhouse pests.
        3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노랑총채벌레는 꽃을 선호하며 국화의 주요해충이다.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국화가 꽃노랑총채벌레를 유인하는 트랩식물로서 효용가치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유리온실에 심겨져 있던 스텐다드국화의 화색별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를 타락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개화시기의 경우에는 핑크색, 흰색, 노랑색의 꽃에서 각각 18.4, 56.6, 52.6 마리였고, 잎에서는 7.8, 16.6, 15.4 마리가 채집되었다. 꽃봉오리 형성시기의 경우에는 꽃봉오리에서 15.2, 45.8, 41.6 마리, 잎에서는2, 8.8, 3.4 마리였다. Y-tube olfactometer 시험에서 선호하는 쪽으로 향하는 꽃노랑 총채벌레의 수는 노랑색에 대하여 빨강색, 보라색, 흰색 꽃의 후각반응을 조사한 결과, 분명한 차이가 없었다. 4-way olfactometer 시험의 경우, 냄새와 동일한 시각자극이 주어졌을 때 꽃노랑총채벌레의 빈도수는 빨강색(1.3), 보라색(3.7)흰색(2.0) 보다 노랑색(10.7)을 선호하였고, 후각적 자극이 교란된 시각적 반응에서도 빨강색 (3.3), 보라색 (1.3), 흰색 (3.0) 보다 노랑색 (10.0)을 선호하였다. 노랑색의 시각적 자극만 제외하고 다른 꽃의 시각적인 자극과 동일한 후각적 자극을 주었을 경우에는 빨강색 (4.7), 보라색 (4.7), 노랑색 (2.0) 보다 흰색(8.3)을 선호하였다. 꽃노랑총 채벌레는 꽃이 개화하기 전에는 꽃의 후각적인 자극에 먼저 반응하여 꽃봉우리로 이동하고 개화되었을 때에는 꽃의 색깔에 더 잘 반응하여 노랑색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후각적인 자극보다는 시각적인 자극에 더 잘 반응하였다.
        4,000원
        4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case of one standard-mum polyvinyl house,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reached its peak in early June and decreased after the chemical control, which was carried out periodically. In the case of another standard-mum polyvinyl house,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increased continuously in spite of the periodical chemical control after planting. In both polyvinyl houses,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began to increase mid-May. The numbers of F. occidentalis collected on a tray with wet paper by heating the flowers of pink,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standard mums were 18.4, 56.6, and 52.6 after flowering, but in the case of the leaves, the numbers were 7.8, 16.6, and 15.4. Also, the numbers of F. occidentalis collected on a tray with wet paper by heating the buds of pink,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standard mums were 15.2, 45.8, and 41.6, but in the case of the leaves, the numbers were 2, 8.8 and 3.4. In the Y-tube olfactometer test, the frequency of F. occidentalis’ visits to one side arm of the Y-tube olfactometer was higher in the odor cue of the white flower than of the yellow, red, and violet flowers, but in the other combinations without white flowers, th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odor cue of the violet and red flowers than of the yellow flowers. In the case of the four-choice olfactometer test, in the same visual cues as the odor cues of the pot mum flowers, the frequency of F. occidentalis was higher in the yellow flower than in the other flowers (white, red, and violet) in all the observation times (10, 15, and 20 minutes). In the case of the visual cues with disturbed odor cues, F. occidentalis preferred the yellow color to the other colors in all the observation times (10, 20, and 40 minutes). F. occidentalis preferred the white color to the other colors when the same odor cues as the flower color were provided, but the odor cue of the yellow flower was provided only without the color cu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