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s for vegan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modified planned behavior model. Survey data from 434 university students were subjected to an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lmost half of the consumers surveyed recognized vegan fashion products and a little more than a half of consumers surveyed had purchase experience for vegan fashion products. Clothing, bags, and shoes are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vegan fashion product categories. From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 purchase intentions on vegan fashion products were determined by attitude, subjective norms, ethic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identity of the consumers. When consumers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have higher subjective norms, stronger ethical responsibility, and stronger ethical identity regarding the purchase of vegan fashion products, they are likely to have a greater intention to purchase vegan fashion product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adding test results for vegan fashion products among the ethical product categori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ideration of product category, which can give somewhat different results when exploring ethical consumption. Based on these findings, marketers need to use special tags or signage highlighting the ethical values and meanings of vegan fashion products to better communicate with target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to help increase consumers’ control over purchase behaviors through reducing barriers generated by insufficient product information.
        4,800원
        2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innovative behavior and intention to leav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Korea Politechnics’ teachers and professors.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206 employees of Korea Politechnics campus.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courtesy,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intention to leave. Third, self-efficacy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m and intention to leave. Fourth, self-efficacy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manship and intention to leave.
        4,200원
        2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 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4,300원
        24.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메르스’에 대한 재난 뉴스 이용매체와 뉴스 이용정도 및 뉴스의 신뢰여부가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 효능감 및 대처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을 매개로 하여 최종적으로 개인과 공중의 건강 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SNS와 인터넷뉴스가 TV보다 메르스의 심각성을 지각하게 했지만 메르스에 대한 대처역량을 키우거나 하지는 않았다.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메르스에 대한 뉴스 이용정도는 메르스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뿐 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대처비용의 대처평가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메르스 뉴스 이용정도가 메르스 사태의 본질을 인지하게 하였다. 그리고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개인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고 지각된 심각성, 자기효능감, 대처비용에 의해 공중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다. 뉴스신뢰도는 자기효능감에만 영향을 미쳐 실제로 메르스 사태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진 못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개인보호행위의도를 증진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6,400원
        25.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합창공연 서비스 품질을 다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품질차원이 관람 후 행동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각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합창공연 서비스 품질이 관람 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과 품질, 물리적 환경 품질은 관람 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작용 품질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결과 품질의 경우 물리적 환경 품질 보다 관람 후 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 품질의 경우 세부품질인 공연장 중앙무대의 매력성, 공연장 안내표지 시설 용이성, 공연장 관람좌석 편안함, 공연장 실내온도 및 습도 적당함의 순서로 관람 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품질의 경우 세부품질인 공연장 직원의 정중함, 공연장 직원의 친절함, 공연장 직원의 약속처리, 공연장 직원의 완벽한 업무처리 순으로 관람 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품질의 경우 세부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합창공연의 흥미성, 합창공연 지휘자의 인기, 합창공연의 쉬운 이해, 합창단 예술적 수준의 순으로 관람 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합창공연을 준비하는 조직과 합창단은 관객의 관람 후 긍정적인 행동의도 및 행동을 위해 무엇보다도 합창자체에 대한 관객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가미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합창공연 지휘자가 관객의 인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합창공연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6,400원
        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ating of breakfast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SBP),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Out of 34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334 were returned (98.2% response rate) and 323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Subjects were classified as participating and non participating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reakfast intake frequency, 'hardly eat' showed the highest with 18.5% i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10.3% in non participating group, while 'eat every day' showed 38.2% in the participating group, and the highest with 65.5% in non participating group (p<0.001). For the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no time' showed the highest with 30.0% in the participating group, 'over sleep' and 'no appetite' showed the highest with 24.8% in non participating group. For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SBP, 'breakfast should be eaten at home' showed the highest with 47.2% in non participating group and 'may get up early in the morning' showed the highest with 46.2% in participating group (p<0.01).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ther's education leve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Odds Ratios (OR) 2.3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5.52].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on weekdays (OR 1.36, 95% CI 1.01~1.81), Level of need for school breakfast (OR 0.52, 95% CI 0.35~0.76) and whether to approve school breakfast (OR 0.27, 95% CI 0.18~0.4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BP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proper educational efforts for importance of school breakfast could be useful plan to develop school breakfast program.
        4,300원
        2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awareness, switching intentions,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Brand awareness consisted of three factors: brand image, physical environment, and affiliation of coffee brand. Good brand image was associated with reduced switching intentions, whereas negative imag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witching intention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most affected by interior decoration, including furniture, decorations, etc. Switching intention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visiting intentions. Finally,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limitations, the only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representative of all consumers at coffee shops. Moreover, this study did not divide coffee shops into franchises and individually owned.
        4,000원
        2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healthy food awarenes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ealthy foods, and actual behavior of Generation Y consumer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Generation Y consumers are aware of healthy foods and more likely to eat healthy foods while avoiding junk foods.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l hypothesized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three constructs in the model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Results showed that this group of college students is generally aware of healthy foods and have positive intentions toward healthy food choices. Therefore,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ment needs to continue to improve their menus in order to attract this new generation of college student consumers.
        4,000원
        2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novative behavior, turnover intention, and job security. An additional purpose was to examin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e baseline of analyzing thos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is that the role of psychological ownership will be a mediator between job 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innovative behavior in the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model was built among job security as predictor variable,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s mediating variable and turnover inten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s criteria variables ba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various areas. The 248 questionnaires surveyed from the area of DaeGu and Kyungbuk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detail statistical techniques are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job securit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only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level thinking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job security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job 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level thinking be a key factor to alleviate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and to encourage the innovative behavior during their works for the small-medium size companies showing the unstable job security.
        4,900원
        3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 관람의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구조적 환경 변인으로서 지역정체성 , 프로야구 중계방송 시청빈도 , 그리고 팀(롯데 자이언츠) 동일시 , 스폰서 그룹에 대한 태도 변인, 인간의 사회문화적 행위예측에 유용성을 보이는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통해 프로야구 관람의도 결정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 정체성 변인을 구성하는 인지적 통합도와 적극적 관여도는 모 두 프로야구 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야구 중계방송 시청정도 역 시 프로야구 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롯데 자이언츠 팀 동일시의 경 우 행동적 동일시만 프로야구 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넷째, 롯데 자이언츠 스폰서 그룹에 대한 태도는 프로야구 관람의도에 기여하지 못했다. 다섯째, 계획행동 이론 변인 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프로야구 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 인 지된 행위통제의 설명력은 도출되지 않았다.
        6,300원
        3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수목장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대와 수목장 확산을 위한 정부 관계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목장 선택 비율은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수목장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jzen의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여 태도(Attitude: ATT),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SN), 지각된 행동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및 관습(Custom: CUST)과 수목장 선택 의도(Intention: INT)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2011년 9월중 광주광역시 시민을 대상으로 행정구역별로(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비례층화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으며 총 412명의 응답이 본 연구를 위해 이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결과, 4개 변수(ATT, SN, PBC, CUST) 모두 수목장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영향력은 SN(β=0.459), ATT(β=0.247), PBC(β=0.152), CUST(β=0.102) 순으로 크게 조사되었으며 이들 4개 변수는 수목장 선택의도의 53.0%를 설명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와 수목장 참여의도 및 행동 증진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4,800원
        3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t food customer's perceived risks on risk reduction behavio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total of 268 usable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Descriptive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using SPSS 12.0, and a Cronbach's α was generated to estimat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urvey item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st food safety and monetary risks had a negative effect on customer feelings and satisfaction with fast foo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buying purpose and recommendation purpose. Conversely, obesity and monetary risks only had a negative effect on buying purpose. An improved menu more effectively reduced the risk perceived by the fast-food customers than an improved image.
        4,000원
        34.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behavior and customers' intention to engage in voice of dissatisfaction response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nclusion of past behavior improved the predictability of the voice of dissatisfaction response intentions. Furthermore, the mediat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past behavior was mediated by mediator. In the contests of voice behavior, the effect of past behavior on intention was not mediated by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eanwhile, subjective nor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behavior and the intention to engage in voice behavior.
        4,000원
        3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외근무자들의 이문화 적응, 역할외 행동 및 조기귀환의도와 관계가 있는 개인적 특성들을 살펴 보았다. 특정 기업집단에서 파견한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Global Leadership Institute에서 개발한 해외근무자들의 개인적 특성 개념 및 측정항목들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해외근무자들의 이문화 적응은 그 구성요소에 따라 관련 개인적 특성들이 차이가 나타났다. 예컨데 일반적 적응의 경우, 문화적 유연성이 가장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적응의 경우는 사교성과 학습지향성이 한계적이나마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적응의 경우에는 다면적 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한편 해외근무자의 역할외 행동은 영향력 주체에 대한 신념이 가장 유의한 개인적 특성으로 나타났고, 조기귀환의도는 협동적 갈등해소 스타일, 영향력 주체에 대한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면적 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은 한계적이나마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고 있는 한계, 시사점 및 향후 연구과제들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8,000원
        36.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프로축구선수의 자율성지지 및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 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프로축구선수(K리그 1부, 2부) 로 하였으며, 결과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매개회귀분석과 조 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와 통제 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 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 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및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만,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수행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37.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건강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에 대한 부분적인 검증으로, 운동 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의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의도와 의도-행동 불일치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단계적 변화모형의 운동 행동 변화 단계(Prochaska & Marcus, 1994)를 기준으로 계획, 준비, 행동, 유지 단계에 해당하는 20대 여성을 단계별로 25명씩 모집하여 총 100명을 대상으로 3가지 인지테스트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행동 단계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운동에 대한 비용을 이득 보다 먼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단계보다 유지단계에서 운동에 대한 이득을 인지하는 시점이 빨랐고,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간적 격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도가 높아질수록 의도-행동 불일치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Stroop test의 불일치 조건 반응시간, Tower of London의 total move score 및 initial time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자제력과 집중력은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의 바탕이 되는 시간적 특성을 운동 단계에 따라 살펴보고, 자기 조절능력을 자기 통제의 개념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시간적 자기 조절이론이 건강 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 다양한 연 구 분야에서 유용성을 확장해 나가기 위해선 추후 이론을 구성하는 변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8.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ietnamese farmers’ intention to accept organic farming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agricultural researchers and five farmers, the authors have identified a formal research model and built a complet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18 farmers in Hanoi, Vietnam, by surveying directly at their homes or farm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the help of SPSS 22.0 and AMOS 24.0. The results show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armers’ intention to accept organic farming in Vietnam. Based on the degree of impact of these factors, the authors give a few suggestions to state management agencies to promote the intention to accept organic farming in Vietnam: (i) increasing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organic farming and conventional farming, the role of organic farming in health and the environment; (ii)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guiding the organic farming practices and facilitating the farmers to access these guides through many channels; and (iii) holding sessions to share practices in organic farming practices.
        39.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examines an empirical case that explores the key constructs of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Venkatesh, Morris, Davis & Davis, 2003)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and privacy of the Theory of Perceived Risk (TPR) (Bauer, 1960). This study employs survey data of 200 young Internet users aged 18 to 25.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steps: preliminary research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form the official research scale then formal research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CFA and SEM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significantly predict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wallets in payment. In contrast, the factors, namely, security and privacy, and effort expectancy,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n behavioral intention. Nevertheless, the facilitating conditions factor still affects the behavior of using e-wallets. The study proposes a model to generalize the online payment environment through the integration of UTAUT and TPR models that are important for online payment management and researchers in the technology enviro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influence significantly affects the intention of young people to use e-wallets instead of security and privacy.
        40.
        202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examines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outcome expectations. The proposed model incorporates outcome expectations from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The study also introduces a scale for outcome expectations in social entrepreneurship, including solving social problems, innovation, family tradition of social involvement, meaning in life, prestige and social recognition, competitive and favorite job and wealth. A survey of 279 students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structured interviews. The confirm factor analysis and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latent construc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outcomes impact only through three determinan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to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uggests that outcome expectations may be a flexible factor. Individual outcome expectations can shift to motivations when facing favorable conditions such as family support, government support, etc.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bility to predict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attitude toward behavior,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contributes importantly to the emerging literatur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particularly to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also the first quantitative study to measure the impact of outcome expectations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