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서 토성(사질토양, 밭토양, 사질토와 개펄을 혼합한 토양)과 퇴비 및 석회질 비료시비 등 토양환경에 따른 튤립 구근의 생육을 조사하여 구근생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Ballerina', ‘Golden Apeldoorn', ’Kees Nelis', ‘Merry Christmas', 'Up Star' 품종 모두 밭토양에서 구근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사질토+개펄토양에서 주구의 직경, 구고, 구둘레, 구중 등 구근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퇴비 처리에 있어서 'Dreaming Maid', ‘Dynasty', ‘Leen van de Mark' 품종은 무처리에 비해 퇴비를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1/2배 처리시 주구의 구고, 구둘레, 구중 등에서 양호한 생육 결과를 보여 주었다. ’Hollandia'와 ’Negrita' 품종은 전반적으로 퇴비 처리에 따라 구근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석회질 비료처리에서 ‘Strong Gold' 품종은 무처리구에 비해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2배 처리한 것에서 구고, 구둘레 및 구중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White Dream' 품종은 표준량의 1/2배 처리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팔나리 ‘Gelria' 품종의 구근생산을 위해 소인경의 줄기와 구근 생육에 적합한 저온처리 및 식재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5℃ 또는 10℃에서 30일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구근 둘레, 구근 직경, 구근 높이, 구근 무게 등 구근생육이 양호하였다. 7cm 깊이로 식재시 초장이 가장 길었으나, 맹아율이 약간 낮아졌다. 식재 깊이에 따라 구근 높이와 직경에 차이가 없었으나, 5cm 또는 7cm 깊이로 식재한 처리에서 구근 둘레와 무게가 증가하였다. 소인경 식재시 무시비구에서 줄기 및 구근생육이 가장 저조하였고, 퇴비 표준량, 기비 복합비료 표준량의 1/2배, 그리고 추비 복합비료 표준량을 처리하는 것이 구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peatmoss와 vermiculite를 1:3 또는 peatmoss와 perlite를 3:1로 혼합한 배양토에서 줄기 및 구근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구로부터 단기간 내에 대량의 자구를 생산할 수 있는 분구법의 최적조건으로 분구시기, 온도, 식재용토 등을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구를 twin-scale법으로 20℃에 처리했을 때 최적 분구시기는 휴면각성기로 자구형성 및 생육상황이 수확기, 휴면기에 비해 우수하였다. 특히 품종 중에서도 Nerine bowdenii 'Stepani' 보다는 N. bowdenii 'Favourite' 품종의 자구 형성률이 80.3%로 수확기의 46.7%, 휴면기의 61.4%에 비해 훨씬 높았고, 형성 자구수도 구당 30.6개로 수확기 모구 사용에 비해 20.1개 이상의 자구 생산이 가능하였다. 또한 분구처리 적정 온도는 20℃로 N. bowdenii 'Favorite'에서 80.3%의 자구형성률과 30.6개의 자구수로 15℃의 64.5%, 23.1개에 비해 15.8%이상 높았으며, 조직 치밀도 역시 저온보다는 20℃에서 충실한 자구로 발육하였다. 분구시 구근 식재용토는 버미큐라이트가 선발되었다. 버미큐라이는 자구생성 및 생육상황이 다른 용토에 비해 우수하였고, 자구가 구당 39.4개 형성되어 관행 피트모스 처리에 비하여 37% 증가하였으며, 자구중을 비롯한 생육상황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28.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rine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기간별 자구 무게 참모율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직배양 자구의 적정 저장온도와 기간은 86.4%의 출현율을 보이는 15℃에서 12주가 적절하였다. 또한 기내 생산 자구의 적정토양순화 시기는 휴면타파온도인 22℃이상 유지가 가능한 6월 상순이 적절하였다. 순화 재배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 광원은 적색과 청색의 혼합파장에서 네리네 생육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29.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내에서 생산된 나팔나리 ‘죠지아’ 소인경의 식재시 배양토와 시비조건이 줄기와 구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단용 처리는 줄기와 구근생육이 불량하였고, 피트모스와 버미큘라이트를 2:1로 혼용한 배양토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왕겨는 혼용비율이 높아질수록 소인경의 생육이 불량하였다. 무시비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소인경의 줄기 및 구근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다른 처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합리적인 시비를 위해서는 1+1+1/2(퇴비+기비+추비)이 추천되었다.
        30.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shade-method suited to on tile artificial propagation of Lycoris radiata HERB. The ligilt intensity in the native habitatwas 30 kux in March and 3.2 Klux from June to sept. The average light intensityin tile open area was 137 Klux in June.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Ieaves wasgood at the 35% to 55% shadeing net. Bloonling time of Lycoris radiata HERB was inthe last of Sept. Yeild of bulb was increased in 35% to 55% of shadeing net
        31.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패모린경의 무게를 15gr, 3gr, 5gr, 7gr, 9gr의 5등급별로 나뉘어 파종하였을 때에 그에 따른 발아상태, 초장, 개화, 자구 및 수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인경의 무게가 1.5gr 및 3gr되는 것은 발아시, 발아기간이 5gr, 7gr, 및 9gr되는 것에 비하여 발아시가 늦고 발아기간이 긴 경향을 나타냈고, 초장도 3∼5분지 1밖에 되지 않었다. 2. 개화는 인경이 무겁고 영양상태가 양호한 7gr∼9gr 상태에서 50%∼75% 였으나, 3gr이하의 것은 1%에 불과했다. 또한 자구는 5gr이상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3.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서는 5gr이상의 패모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