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directly imported apparel brands are actively entering the domestic market, studies of the marketing aspects of these imported apparel products and their overall consumption trend have been done. However, studies of whether are not the directly imported apparel products provide Korean consumers with an appropriate fit are not as comm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tisfaction with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fit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directly imported US apparel brands. 100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urchased directly imported US apparel brands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ed that their recognition of, preference for, possession rate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directly imported US apparel brands tend to be high. The major purchasing motivations were the excellent ‘design’ and ‘color’ of the products.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materials’ and ‘sewing condition’.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mfort’ or the ‘si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it of these produ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specific item.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it of T-shirts and knits was high, whereas the level for pants was relatively low. They complained mostly about the sleeve length and garment length of upper-body garments and coat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how the pants fit. The areas of dissatisfaction regarding the pants were the waist girth, the crotch length and the pants length.
Now days, the marketing environment is rapidly changed. Therefore, a lot of companies try to reduce production cost. Especially, Design is a important activities in new product development. While the concepts of design for manufacturable and concurrent engineering have made significant advances in integrating the design function with other areas in the firm. There are still major gaps in timely and accurate costing information available to designers. Inappropriate design could result in high redesign cost and delay in product relation. The generation of design and improvement is a time-consuming and mentally exhaustion process. It involves combining design features to generate as many potential design as possible. As not all features combinations are feasible, decision-makers have to narrow down the potential solutions and subsequently select appropriate design for further development. This new study is composed of 3 steps aiming at the Low Cost Design of the product. The three steps are consisted that setting up the target Cost, estimating the current functional cost, the design of a unit's review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ost and the functional cost.
목이버섯으로부터 항혈전물질을 추출하여 제품화하기 위한 대량생산공정을 다음과 같이 확립하였다. 즉, 건조된 목이버섯을 분쇄하여 75% ethanol로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침전물에 증류수에 첨가한 후 76oC에서 2시간 추출한 후 압착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다. 이를 감압농축한 후 여기에 최종 농도가 80%가 되도록 ethanol을 첨가하여 추출한 침전물을 동결건조한다. 제품의 소비지 기호도 조사를 통해 부재료의 종류와 첨가량을 결정하여 배합비를 목이버섯 추출물 90.5%, 고과당 2.0%, β-cyclodextrin 1.5%, 올리고당 2.0%, 배 농축액 4.0%로 결정하였다. 제품을 포장하여 25, 37, 45o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 8주에서도 수분활성도, 수분함량, pH, 산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생균수는 25oC와 37o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증가한 반면, 45o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에는 저장 2개월 후에는 대부분 사멸하였다. 제품을 쥐에 정맥투여하였을 경우 1,000 mg/kg 투여 시 APTT 활성, TT 활성, PT 활성, FIB 활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500 mg/kg을 경구투여하였을 경우 항혈소판활성이 아스피린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about the quality information is gradually enlarged as to vehicle related company. Accordingly, related companies require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tched with the quality administration task level. And through the storage and share of the efficient quality information, they try to solve the customer claim about the quality and prevent the quality problem recurrence of product. This research suggests the standard business process of the auto part supplier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quality information and the quick correspondence of the quality problem. In addition, by building and managing the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ll be able to expect the more efficient quality management and the product reliability insurance.
The research which sees the disability firm led and public procurement market penetration the base will be able to grow prepared and with the petal of the disability firm for a support disability firm manufactured product public purchase activation plan of the government offices groped. disability firm manufactured products purchase promotion plan and policy of the government offices presents the fact that with the aim.
Regarding project management, many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and distributed general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systems, and application fields use the knowledge systems to apply the process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a project. This study sug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value of fashion product description and consumer replies used in online shopping mall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reliability(objectivity, expertise, trustworthines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the product as determined by the appeal type (evaluation-sentimental vs. factual-information) of the product description, the direction(negative vs. positive) and type(factual vs. evaluative) of consumer replies for the product in online shopping malls. Data was collected from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ashion products purchase experience at online shopping malls by questionnaire survey (N=424)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respondents tended to read product description and other consumer replies before purchasing, when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through an on-line shopping mall. They thought that sellers' product description and the consumers' replies were helpful in making their decision; but, they were also skeptical about product description. Respondents showed higher perceived reliability,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o the factual-information type product description than the evaluation-sentimental type. Positive consumer replies were more effective in yielding higher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Factual replies tend to yield higher reliability than evaluative replies.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가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도 이에 관련된 사업들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또한 일찍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여러 국가들도 실버산업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실버제품이 가지는 여러 특성들 중 거부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거부감은 경험에 의해 장기적으로 형성되어온 감정적 태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거부감이 실버 그룹과 일반인 그룹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거부감은 의미적 거부감과 형태적 거부감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버 그룹에서는 형태적 거부감보다는 의미적 거부감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일반인 그룹에서는 의미적 거부감과 형태적 거부감에 모두 반응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위한 단계로 노인용 전동 휠체어를 통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oretical cost of quality and real world cost. Examined are the theoretical cost structure of quality, it’s measurement styles, a process based improvement strategy of quality cost, and possible adaptation of d
Nowadays, customers have increasing needs, so more and more enterprises are selling their products with additional services and or contents. The emergence of service added to the product leads to the emergence of the Product-Service Systems(PSS). Many res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하 며 균사 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생장을 방해 하거나 기생하여 사멸시키며, 버섯 수확기에 병 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 기계 화합물이 첨가된 수목추출물과 시판 항균제품에 위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T. aggressivum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에서 125 ppm과 비교하였을 때 5배 높은 53%의 항균력이 나타났고 시판 항균 제품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atro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 합제제는 250 ppm 농도에서 30%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1000 ppm에서 6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 항균제품은 63 ppm에서 80%, 125 ppm에서 83%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harzianum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 농도에서 56%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63 ppm 과 125 ppm 농도에서 19%로 최소저해농도는 63 ppm이라고 판단되었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125 ppm에서는 항균활성이 81%으로 나타났다. T. koningii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500 ppm 농도에서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43%의 항균활 성을 나타냈으며 1000 ppm에서 68%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T. harzianum과 마 찬가지로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63 ppm에서 항균활성이 90% 로 나타 났다. T. 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63 ppm 농도에서 13.0%, 1000 ppm농도에서 82%의 항균활성이 나타났 고 250 ppm에서부터 항균활성이 30%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하여 시판 항균 제품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유기계혼합제 제의 항균활성은 1000 ppm에서 53% - 82%로 가장 효과가 좋다고 판단되며 항균제제로서 산업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인간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체를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어패류 등의 동물성식품, 곡류나 야채, 과일 등의 식물성 식품,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생물 식품을 들 수 있다. 미생물 식품이라고 하면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유산균과 효모 그리고 버섯을 들 수 있다.일반적으로 유산균이나 효모는 미생물 식품이라고 생각 하지만 버섯의 경우에는 미생물 식품으로 인식하기보다 식물성 식품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어서 버섯의 식품학적 가치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진핵세포를 가진 고등균류(菌類)로 대부분의 담자균류(Basidiomycota)와 일부 자낭균류(Ascomycota)에 속하며 세계도처에 만 여종 이상의 버섯이 서식하고 있고 이중 1천여 종의 버섯이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버섯을 '신의 식품'이라 하였고, 중국에서는 불로장수의 영약으로 귀하게 다루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사기에 신라 성덕왕 시대에 이미 목균(木菌 : 金芝)을 이용한 기록이 있고,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세종대왕시대에 식용 버섯으로 송이, 표고, 약용버섯으로 복령, 복신의 주산지까지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 부터 버섯이 중하게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에 의하면 상약에 속하는 것이 표고와 영지로 “독은 없고 많이 오래도록 복용하여도 사람에게 해하지 않으며 몸을 가볍게 하고 마음을 젊게 다스리게 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버섯은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와 독특한 향기, 물성, 맛, 무기질 및 비타민을 가지고 있으며 추출 분획물이나 단리한 성분 중에는 혈당조절, 면역기능강화, 항 종양 또는 항암 활성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고혈압, 간 보호 등 순환계작용과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등 다양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어 향후 산업적으로 고부가 가치를 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최근에 흰목이버섯의 경우 신경성장인자(NGF)로서 신경성장과 관련한 뇌 질환(기억력, 인지능력 포함) 예방 및 치료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된다. 특히 올해부터 건강기능식품 공전이 개정됨에 따라 다양한 버섯들이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되어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원료와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oretical cost of quality and real world cost. Examined are the theoretical cost structure of quality, it's measurement styles, a process based improvement strategy of quality cost, and possible adaptation of decision making concepts in enhancing the cost structu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delineating an improvement process of quality cost by adjusting service policy.
Regarding project management, many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and distributed general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systems, and application fields use the knowledge systems to apply the process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a project. This study suggests project management process models to apply to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and introduces the application cases. This product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process model is composed of five top processes of initiation and preparation,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control, and termination and transfer. The five processes are re-divided into 18 bottom processes. These processes are expressed as input, control, output, and mechanism by using the IDEF0 model. This model is applied to the new car development project of a Korean automobile company and introduces the cases, which shows a project charter, a work breakdown structure, a project schedule, a progress s-curve, a risk register, and a performance report.
신규 제품 및 설비 투자에 앞서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제성 분석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경제성 분석은 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용들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NPV, IRR, ERR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 방법은 간접적인 외부 요인 및 미래의 불확실성 이 고려되지 않아, 짧은 제품의 수명주기와 고객의 needs가 다양하고 복잡성을 띄고 있는 현 시장의 상 황에서는 전통적인 경제성 분석만으로는 그 한계성이 있다. 즉 외부의 요인이 고려되지 않은 경제성 평 가는 정적인 미래상황에 대한 투자 타당성의 자료로는 활용은 할 수 있으나, 동적인 미래상황에 대한 투자 타당성의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전통적인 지표뿐만 아니라 외부의 간접적인 요인에 대한 지표까지 평가할 수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같은 기법들이 점차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RFID 칩을 적용한 회수용 다단상자의 개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전통적인 경제성 분석기법과 AHP기법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투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t-purchasing behavior focusing 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There were some studies concerning dissatisfaction in on-line shopping related to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buying, but did not focus the relationship with complaint behavior, or identified the factors specifically related to consumer's dissatisfaction.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o minimize the consumer's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detailed factors relating dissatisfactions and complaint behaviors after shopping apparel goods on the internet. Two hundred fifty five customer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s the result, first, product, delivery, returning and price factor were extracted as factors of dissatisfaction, and as factors of complaint behavior, legal action, private action, remedial action were investigated. Second, dis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complaint behavior. Specially, returning factor and price factor had effect on legal action, product, delivery factor had on private action and returning factor had affected remedial action. Third, more purchasing frequency, less dissatisfaction. Also, female had more dissatisfaction than male. Finally, more dissatisfaction and compliant behavior, less re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ternet shopping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