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3

        48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상처리는 정확한 오이의 형상 및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형상인식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오이형상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신경회로망의 연상 메모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이의 특정형상을 인식하였다. 형상인식은 실제영상에서 오이의 형상과 위치를 판정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알고리즘에서는 일정한 학습패턴의 수를 2개, 3개, 4개를 각각 기억시켜 샘플패턴 20개를 실험하여 연상시킨 결과, 학습패턴으로 복원된 출력패턴의 비율은 각각 65.0%, 45.0%, 12.5%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패턴의 수가 많을수록 수렴할 때, 다른 출력패턴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오이의 특정형상 검출은 30×30간격으로 자동검출 되도록 처리하였다. 실제영상에서 자동 검출로 처리한 결과, 오이인식의 처리시간은 약 0.5~1초/1개(패턴) 빠르게 검출되었다. 또한, 다섯 개의 실제 영상에서 실험한 결과, 학습패턴에 대한 다른 출력패턴은 96~99%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오이로 인식된 출력패턴 중에서, 오검출된 출력패턴의 비율은 0.1~4.2%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오이의 형상 및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오이의 위치측정은 실제영상에서 학습패턴과 유사한 출력패턴의 좌표를 가지고, 오이의 위치좌표를 추정할 수 있었다.
        4,000원
        48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견직물의 색채 특성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무채색과 유채색 견직물 모두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이 기본적으로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끄럽다', '하늘하늘하다', '독특하다', '두껍다', '뻣뻣하다', '전원적이다', '캐주얼하다', '내추럴하다', '모던하다'는 무채색과 유채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두껍다'와 '뻣뻣하다'는 견직물이 Red 또는 Green 색상일 때, 그리고 pale 또는 vivid 색조일 때 무채색일 때보다 더 강하게 인지되었고, '전원적이다'와 '캐주얼하다'는 Green 색상의 견직물과 pale 또는 vivid 색조의 견직물에서 무채색 견직물에서보다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어서, 견직물의 색채가 주관적 촉감각/감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함께 설명변수로 이용한 예측모델을 수립하여 제안하였다.
        4,000원
        48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를 호텔 예식 연회, 일반 예식장, 종교 결혼식장 간에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20~39세 4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3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7.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는 경쾌함, 고상함, 은은함의 3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깨끗한'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화한' 3.50, '은은한' 3.3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결혼식장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색 이미지 중 '경쾌함' 요인은 일반 예식장이 3.00, '고상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 3.64, '은은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에서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결혼 유무, 한달 총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결혼식장 색채 마케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8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타일리시 호텔에 대한 공간이미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며, 아울러 선행연구인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스타일리시의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에 관해 조사 결과 중 미니멀스타일배색에 대한 검증연구이다. 연구결과 성별 및 연령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와 언어이미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대표 언어를 추출한 결과, 개성적인, 감각적인, 심플한, 도시적인 등으로 인식하여 공간이미지에 대해 스타일리시하게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공간이미지와 선호도에서는 로비공간의 B호텔, 식음공간의 C호텔, 객실공간의 A호텔로 나타났으며, 색채이미지와 선호도에서는 각각 고명도 저채도, 저명도 저채도로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연구의 가장 스타일리시 한 것으로 인식한 미니멀스타일배색과 동일한 결과로 응답자들은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에 대해 언어적으로는 세련되고 감각적이며 개성적인 것으로 인식하면서 시각적으로는 고명도 저채도, 저명도 저채도의 공간을 스타일리시 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향후 스타일리시한 공간 연출 및 디자인 마케팅을 위해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4,000원
        48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 콘크리트포장의 동결융해 파손에 대한 사례들이 주기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으며, 이에 공기량 기준과 더불어 간격계수에 대한 기준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간격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방법은 국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ASTM C 457기준을 따라야 하며, 특히 이 실험결과 분석 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철저한 보정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화상분석프로그램은 색상의 구분을 통해 공극을 인식하는데, 분석 시 사용되어지는 pixel intensity values에 따라 분석결과는 크게 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범위를 산정하기 위해서, pixel intensity values 변화에 따라 측정된 공극수와 연구자들이 측정한 공극수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결정된 pixel intensity values를 이용하여,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콘크리트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이 공극수를 직접 측정한 round robin test 결과, 사람에 따른 공극 인식정도가 약 10% 정도로 변동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가 약 80~90 정도로 나타났다.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화상분석결과, 전반적으로 AE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공기량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일부 혼합물에서 공기량은 크게 변동하지 않은 가운데 간격계수가 AE제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추가된 AE제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크기의 연행공극이 전체 공기량에 미치는 영향보다 간격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시편에서 절단면 위치에 따른 간격계수의 편차는 약 30~100μm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2차원 분석의 한계로 인해 발생된 편차인 것으로 사료되며, 시편절단면 위치에 따른 변동성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48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4,200원
        48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70s, Artists have disfigured and destructed human being’sbody. They were trying to display the properties of matter of body itself asa vessel of spirit or soul. In the 1980s, bodily images are main concern formany artist due to spreaded threat of AIDS. This could be the trial toexplore the body’s identity in the process from the individual range tosocial range. At 1990s, Artists who have dealt dismembered bodies,including Robert Gober, Chapman Brothers, Kiki Smith, and DamienHirst, have exhibited fragmented body parts and organs such as blood,skin, and hair, etc. The dismembered body have functioned as the site forthe investigation of our urgent concern for sexual identity, homophobia,and social discrimination as well as disease and death.Modern artists have progressed themes for dismembered body with theirown motif and strategy and expanded the region of art, enlarging andcutting out the parts of body, or showing the inner organs. The range ofthe dismembered body is expanded into the inner parts of body due to thevisibility of surface. The blood is inevitably accompanied from the surfaceof skin by these outcomes. Though the bodily fluids, including the blood,pus and sperm etc., is not lowly, nor abject, the body fluidity had beentreated as excrement. The matters like blood evoke complex feelings offreight, cruelty. death, dirty, and contamination etc. In the 1990s, artists like Kiki smith, and Marc Quinn presented real blood, semen, and milkwith their images.The works of Gober, the Chapmans, Kiki Smith, and Hirst are based onthe resistance against the social contradiction while those of Giacomettiand Bourgeois are originated from their autobiographical experience.Consequently the fragmented bodily images turn out to be dynamiccategories instead of representing the ideal body image. Completeness,perfection, and wholeness, which had been the criteria since ancient Greekart, are not universal value any more.: Dismembered bodily images are theproper means for suggesting pain, violation, and suppression.
        6,300원
        49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에 들어와 국내에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현재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전 세계에서 최 상위권에 진입해 있는 상황에서, 과거 전화 접속 네트워크로 인터넷을 사용하던 때 보다 웹 사이트 및 웹 서비스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들이 지원되고 있다. 과거 PC에서 구동되던 응용 프로그램 군들의 설치가 따로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다양한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영상처리를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4,000원
        49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21st century is the age when a sensational image has more explanatory power and can deliver a more powerful message than a message consisting of logical thinking. Powerful visual images create a big impact on many people throughout the world, overcoming linguistic barriers and even replacing languag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field, the concept and power of visual images within the new multimedia of the 21st centur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ecent years, other than the above methods, videos, movies and animation features have been produced directly to enhance visual effects and attempts are increasing to use these new tools as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animation cont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o overcome prejudice of luxury international brands that feature images that emphasize value, quality and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fashion animation in order to overview the concept of 21st video fashion communication and to show how the collection concept that includes color and detail places an emphasis on visual image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y on Prada fashion animat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common features of two different Prada fashion animation show that both animation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n common : realism, dramatic impact and convergence for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ness, hybrid and a happy ending for contents. Beginning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various angles of interest and concern about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world, which is a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at changes rapidly, can be will be looked at and learned from.
        4,500원
        49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of multi-media came to have significance more than what we imagine. In accordance with high resolution of HDTV in digital media era, the cautious awareness is required for skin color by the immediate color such as replica of TV color, lighting and clothing. As for the broadcasting makeup expression technique caused by a change in broadcast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media era, the first, There is necessity for natural makeup technique, and for expressing the whole makeup evenly and very delicately. The makeup work gets much more delicate. For the delicate expression, more time is being required than the existing makeup time. Second, Lots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for elaborate real-object processing on all the production fields such as background set, stage properties, and makeup. Third, Realistic expression is available on the screen. Importance of basic makeup is highlighted. Thus, even the skin care shop came to be prevalent. Development in only HD cosmetics is needed for foundation with fine particle in new material and with diverse colors hereafter. The video-media field is a method that is ignored a sense of distance through vehicles such as camera, picture tube, and several kinds of broadcasting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hat is delivered vividly to viewers through screen, unlike the stage makeup, thereby being needed the makeup technology proper for HDTV according to the changing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media. The video machinery and equipment are proceeding with being gradually high-tech and precise. Thus, an expert in makeup needs to know common sense on the video machinery and equipment before makeup, and needs to make an effort according to it. And, a follow-up research can be said to be necessary on the advance in makeup method and on more diverse dedicated cosmetics along with a research on color tone proper for HDTV.
        5,100원
        49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ordination images seen in comprehensive fashion items and their features. This will be done from the viewpoint of both the creativity as well a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images. For the method of study, I explored the idea of "snood" style, analyzing its features of 42 pictures appearing from the 2006 S/S to 2010 F/W collec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nood" sty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muffler and turtleneck. With looping design connected at both ends, it can be placed around the neck or head, creating the image of wearing a hood. After having examined the selected data and pictures, one can largely divide the exclusive high-fashion image categories into three types: feminine, avant-garde, and finally, active & functional sportive image. First, the orthodox image is widely accepted by most as it has forever evolved within the original tradition of the practically functional muffler(scarf). Second, since the metamorphic image tends to lend itself to free ideas, you can wear a snood around the shoulders like a collar. Worn together with the same type of clothing, the snood can be seen as an effective suit. Third, the aim of image emphasis is to highlight certain points, or make some features more noticeable, as a means of possibly attracting more interest and attention. The image of snood arises out of the use of shapes, colors, and other accessory parts. As mentioned earlier, snood stands out as an independent item instead of just being an accessory to clothing. Its primary function as a style coordinator is emphasized in order to create more distinctive fashion images. Through this study, I thereby intend to provide fashion style data on the latest trends, and high-fashion codes of snood coordination.
        4,300원
        49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ublic preferences for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s of passage rites in Korea and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public preferences for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s of passage rites in terms of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family type, and preference for the image and color styles of the dining space. As a result, this study determined the following: According to a public preference survey of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 of passage rites,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7.1%) at a party for a 100-day-old baby. Additionally,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7.4%) when celebrating a baby's first birthday bu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romantic images (35.8%) when celebrating a baby girl's first birthday.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1.4%) for graduation ceremonies.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21.7%) at coming-of-age ceremonies for new adult men, but also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elegant images (26.2%) at coming-of-age ceremonies for new adult women. Moreover, the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41.0%) at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but elegant images (24.1%) at modern wedding ceremonies. In contrast, the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1.3%) for a 60th birthday party. The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28.9%) was found for a diamond wedding ceremony.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0.4%) for a funeral ceremony Finally, our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2.5%) at memorial services (religious ceremonies).
        4,000원
        49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오래 되었지만 전문적인 교육과 표준화 작업은 미흡한 실정이며,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웨딩부케도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출품작 중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 분석을 통해 화훼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채를 선호하였고, 난색과 한색의 고른 분 포가 나타났다. 반면 파란색(Blue)의 사용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화색(花色) 중 파란색(Blue)을 띠는 식물의 희소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색채 배색의 분석 결과 대륙별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유럽의 웨딩부케는 한가지 색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색채 배색이 나타난 반면, 아시아의 웨딩부케는 빨간색 (Red)계열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웨딩 부케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은 12개의 대표이미지 중 8개의 이미지에 분포하였고, ‘맑은,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의 4개의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49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selective role model for the public and the creators of fashion style, the characters of homme fatale image presented in the Korean ‘trendy’ teleplay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udienc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homme fatale, is defined, and the inherent meaning of this recent coinage(homme fata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re discussed. And then, the fashion styles classified into homme fatale image are exhaustively analyzed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men's fashion which represent the new masculine image and its m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e fashion styles of homme fatale image, which expresses the new image reflecting the traits of contemporary men, can be subdivided into traditional classic style, modern dandy style, easy casual style, and glam sexy style. Traditional classic style represents perfect masculine image with its dignity and formality, while modern dandy style expresses the modern, urban, elegant, and refined images. Easy casual style emphasizes the active and liberal image of men, and the glam sexy style tries to stress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men. These fashion styles are important elements which express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the social status, the jobs but als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and they present the various fashion styles expressing the masculine sexuality.
        4,800원
        498.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ientalism in fashion is believed to develop from the eclectic notion of oriental and occidental fashion. By studying on Gabrielle Chanel’s clothing that is usually used by neutral colors and on Yohji Yamamoto’s clothing that characterizes clothes in neutral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for re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nto a new modern one to gain a world reputation in terms of clothes. Therefore the study is fo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n the factors of fashion design such as color, line and textile materials with works of Gabrielle Chanel, a famous designer in Western world who has made a black color a popular one for people and works of Yohji Yamamoto, an well-known fashion designer of the East using neutral colors. This study analyzed, from the 2004 S/S to the 2006 F/W, the collection of works published in style.com through the works of Gabrielle Chanel, Yohji Yamamoto,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isual target. A total of 527 images are used in this paper. Elements of fashion design analysis are lines, colors, and materials.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n clothing with neutral colors of Gabrielle Chanel and Yohji Yamamoto. In case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n the design of Gabrielle Channel, it has expression of feminist, sensual, modern and luxury. It is considered that Gabrielle Channel has a luxury image using a neutral color. Also using simple sleeveless in black and tweed structure, the garments have mixed with neutral colors.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on the design of Yohji Yamamoto classified into sensual, modern, ascetic expression. Therefore the design has a simple expression of using a black color. Yohji Yamamoto is a designer who pursues unstructured design by using various neutral colors such as black, gray and white based on the oriental sentiment.
        5,500원
        49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제품의 아이덴티티나 브랜드 이미지 또한 이러한 차별화 전략 중의 하나로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 중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형성된 감성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감성 이미지라고 정의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여섯 가지 대표감성을 평가하여 국내 대표 휴대폰 브랜드 세 개(A브랜드, C브랜드, S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휴대폰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이미지, 특히 감성적인 측면에서의 이미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성급하게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규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연령대, 직업, 성비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브랜드 감성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