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4

        49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향신료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 고, 프로피온산 함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 (GC-MS)를 이용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추출 후 원심분리 후 농축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 법을 검증하였다. 향신료 493건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은 각각 165건, 88건, 398건에서 검출되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 위는 각각 불검출-391.99 mg/L, 불검출-57.70 mg/L, 불검출 -188.21 mg/L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 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계피(167.15 mg/ L), 바질잎(22.79 mg/L), 백후추(51.48 mg/L)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향신료를 대상으로 낮은 함량의 천연유래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결과는 향신료의 천연유래 보 존료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마찰시 기초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9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asonal distribution of disease vector species including mosquitoes and ticks plays a key role in establishing risk managementof vector-borne disease. Howeve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vector species are notcurrently well understood. Therefore, we conducted a two-year field sampling to address the population dynamics of mosquitoesand ticks in Gyeonggi-do in 2015 and 2016. In 2015, the population density was highest in May for ticks (e.g. Haemaphysalislongicornis) and June for mosquitoes (e.g. Aedes vexans), whereas both pest groups peaked in August in 2016. Culexpipens (82.3% Species Ratio), Ae. vexans (77.3% SR), and Anopheles sinesis sp. (45.3% SR) were the most dominantspecies in urban area, cow shed and wild bird refuge, respectively. For ticks, H. longicornis (47.7% SR) was the mostdominant throughout four potential habitats.
        49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ea has been importing large quantities of plant materials from countries annually all over the world. Accordingly,various kinds of pests have been also detected during import inspections. In addition, these days the weather in Koreahas been getting warmer and a number of imported subtropical and tropical crops are being cultivated in greenhouses.In these regards, conducting a monitoring survey by using pheromone traps is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introductionand settlement of invasive species to Korea. we provide a list of insects collected from five types of pheromone trapscollected while monitoring exotic pests over the last seven years. Data from the monitoring surveys of pheromone trapsfrom 2010 to 2016 was extracted from database of the Plant Quarantine Integration System (PQIS) developed by the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As a result of our review on the PQIS database, 119 species were identified.The families forming the main groups are Tephritidae, Tortricidae, Camillidae and Cosmopterigidae. We believe that researchersand inspectors in charge of quarantine need to be well aware of the species collected from monitoring traps.
        49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edes albopictus is an important vector for yellow fever, dengue fever, chikungunya fever and Zika virus. This mosquitohas been exposed to organophosphates and pyrethroids in Republic of Korea for a long time. Using the direct contactmortality bioassay, susceptibility strain and two field populations of Ae. albopictus from Busan, and Damyang. Insecticidalproperty were indicated to RR ratio values (Resistant ratio to strain of susceptibility) of LC50 (Midian Lethal concentration)to organophosphats and pyrethroids. Genomic DNA was used for Allele-specific PCR (AS-PCR) genotyping of the acethylcholineesterase to detect Gly119Ser mutations and kdr gene to detect Phe1534Cys mutations. Detoxification enzyme activitiesof Ae. albopictus from Busan and Damyang were assessed using microplate enzyme activity assays. Activities of fourdetoxification enzymes eg., glutathione S-transferase(GST), Non specific esterases (α-naphthyl acetate and β-naphthyl acetate),and cytochrome C oxidase were determined for each Ae. albopictus strain.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Ae. albopictuscontro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for the management of organophosphate and pyrethroid insecticide resistance.
        49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태구배(ecocline)의 극단지역인 한반도 아고산대의 산 림은 기후변화의 지역적 취약성을 띄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하천, 연안습지, 난대 활엽수림 등 한반도와 도서 생태계 전반에 걸친 기후변화 모니터링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아고산대 모니터링은 일부만이 진행되고 있으며, 거기에 따라 제공되는 아고산대 식생의 기초 자료는 범위가 제한적이고 단편적이다. 특히 기후변화 로 인한 산림 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 적인 기초 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리산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목적으로 2년간 장기생태모니 터링구의 식생구조 변화를 구명하였다.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지리산 아고산일대의 기후변 화 취약수종인 구상나무와 가문비나무를 중심으로 전이군 락과 혼합군락을 고려하여 총 37개소의 장기생태모니터링 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Braun-Blanquet의 식물사회학 적 방법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변화 추이를 두 기위해 2년의 간격으로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매목조 사를 재실시하였다. 매목조사자료를 토대로 수종별 개체 변화, 직경급분포 변 화, 수간건강상태 변화, 연평균고사율과 중요치를 분석하 고, 치수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수종별 치수 이출입에 대해 판별하였다. 수종별 개체 변화는 2015년과 2017년 각각 구상나무 607 본/ha, 587본/ha이었고, 가문비나무 337본/ha, 320본/ha, 사 스래나무 179본/ha, 172본/ha, 신갈나무 148본/ha, 146본 /ha 등 이었다. 고사 개체 변화는 각각 구상나무 210본/ha, 230본/ha이었고, 가문비나무 33본/ha, 50본/ha, 사스래나무 6본/ha, 13본/ha, 신갈나무 8본/ha, 10본/ha 등으로 나타났 다. 고사율은 가문비나무가 2.6%로 가장 높았으며, 사스래 나무 2.0%, 구상나무 1.7% 등으로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 에서 고사목의 발생이 가장 많은 수종으로는 구상나무와 사스래나무가 직경급 10cm 이하에서 각각 41%와 92% 발 생하였으며, 가문비나무와 신갈나무는 직경급 10-20cm에 서 각각 60%와 63% 발생하였다. 수종별 수간건강상태 증감율은 Alive Standing(AS)은 13.1%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Alive Leaning(AL), Alive Broken(AB)과 Alive Deadtop(AD)은 각각 54%, 41%와 28.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간고사상태 증감율은 Dead Standing(DS), Dead Leaning(DL)과 Dead Broken (DB)은 각각 12.0%, 95.0%와 20.5%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Dead Fallen(DF)가 100%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간상태의 변화로는 구상나무는 AS 10본/ha, AB 7본/ha 에서 각각 DS 7본/ha, DF 10본/ha로 변화 하였고, 가문비나 무는 AS 20본/ha에서 각각 DS 6본/ha, DL 4본/ha, DB 7본 /ha, DF 3본/ha 변화 하였으며, 사스래나무는 AS 1본/ha, AD 6본/ha에서 각각 DS 6본/ha DB 1본/ha으로, 신갈나무 는 AD 2본/ha에서 DS 2본/ha으로, 잣나무는 AS 2본/ha에 서 DS 2본/ha으로, 기타 수종은 AS 90본/ha, AB 2본/ha, AD 2본/ha, AF 4본/ha에서 각각 DS 76본/ha, DL 2본/ha, DB 4본/ha, DF 16본/ha으로 변화하였다. 수종별 치수에서 가문비나무와 구상나무는 총 개체수는 각각 70%, 24%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잣나무와 주목은 각각 7%, 6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가문비나무 치수는 모든 묘고급에서 대폭 감소하였으며, 구상나무는 10cm이하, 50cm-100cm, 100cm이상의 묘고급에서 대량고 사가 발생되었다. 잣나무와 주목은 대부분의 묘고급에서 치 수가 증가하였다. 군락별 중요치로 구상나무군락은 2015년도와 2017년도 각각 구상나무 31.49, 31.20으로 당단풍나무 11.20, 11.40 등으로 나타났고, 가문비나무군락은 각각 가문비나무 30.55, 29.73으로 구상나무 15.67, 14.91 등으로 우점종의 중요치가 근소하게 낮아졌지만 당분간 구상나무와 가문비 나무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2년간의 장기생태모니터링의 식생변화를 조사한 결과, 상층을 우점하고 있는 구상나무와 가문비나무는 고사목과 치수고사가 대량 발생되었으며 활엽수 또한 개체수가 줄어 들고 있었다. 따라서 수분스트레스, 유입광량, 기후환경과 의 관계성 검토가 필요하며, 향후 아고산대 구상나무와 가 문비나무 군락의 보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갱신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9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ology to manage the growth management of mushroom which was cultivated by long-term knowledge based on the quantified data. In this study, it was developed hardware to monitor and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mushroom cultivation house and an algorithm to automatically grow mushroom.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he growth of mushrooms was made possible by cultivation sites, computers and smart phones. In order to manage the environment of mushroom cultivation house, environmental management data of farmers cultivating the highest quality mushrooms in Korea was collected, and a growth management database was crea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anagement environment for the mushroom cultivation was controlled at ±0.5 °C for temperature, 7 % for upper limit and 3 % for lower limit for relative humidity, and ±10% level f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based on database value. As a result of cultivating mushrooms in such an environment, it was possible to produce mushrooms at almost the same level as those cultivated in farms with the best technology.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mushroom house managed by the technology based on the long experience could be managed based on the sensor data.
        50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 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1, 0∼80%) 및 추출 시간(X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 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 μ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 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 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 노이드 함량은 3,145 μg/100 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 (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 μg/100 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