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41.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저장 중 참외(Cucumis melo var. makuwa)의 품질 개선 효과를 보기 위하여 일반 골판지 박스로 포장한 무처리 대조구, 아이스 팩을 첨가하여 포장한 시험구, 및 아이스 팩과 알루미늄 코팅 보드로 처리된 박스로 포장한 시험구를 각각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외의 품질 변화는 30oC의 저장 조건에서 21일 동안 저장 기간에 따른 참외의 호흡률, 중량감소율, 색도, 경도, 당도, 외관 품질 및 부패과 발생율로 관찰하였다. 저장 21일째 아이스 팩을 첨가한 포장 그리고 아이스 팩 및 알루미늄 코팅 보드를 적용한 포장으로 저장한 참외는 호흡률, 중량감소율, 및 색도, 및 경도 값의 지연으로 뛰어난 선도 유지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외관품질, 부패과 발생율을 감소시켜 상품성이 유지 효과를 보았다. 반면 참외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값은 각각 다른 형태로 적용한 포장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아이스 팩과 알루미늄 코팅 보드를 적용한 박스로 포장한 참외는 아이스 팩으로 만 포장한 참외 보다 상대적으로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골판지 박스 내부에 아이스 팩의 적용은 참외 과실이 품고 있는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코팅 보드는 외부 고온 환경으로 부터 온도 차단 효과로 포장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빠른 품질 변화를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4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d reasonable operating factor for treatment of carcass burial leachate in High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HTTD)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fuel used in each device using heat and mass balance under condition of 4 scenarios.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rotary kiln for dryness and thermal desorption shoud be separated dual type and mixing ratio of sawdust and soil should be restricted no more than 1 : 14. Also, operating temperature should be kept 260, 550, 850 or higher in dryer kiln, thermal desorption kiln and secondary chamber respectively and residence time should be kept 30min in each kiln. The total amount of fuel used in each device was compared under 4 scenarios on the mixing ratio. According to a study, it showed the highest value under the scenario of 1 : 1, which showed 2.5 times higher than the scenario of 1 : 14 in terms of treatment of leachate per unit of LNG.
        4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in treatment of leachate from carcass burial areas by using high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HTTD).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emitted from HTTD treatment of leachate contaminated soil of carcass burial sites satisfied the emission standards for 11 pollutants from domestic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Dioxin concentration was 0.0060 ng I-TEQ/Sm3 and 0.0061 (0.0055-0.0070) ng ITEQ/ Sm3 in the normal operation condition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 respectively, which are much lower than the MSWI Standard of 0.1ng I-TEQ/Sm3.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leachate from carcass burial areas could be treated by high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HTTD).
        4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could be increased by a steaming proc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whitening activities of C. lanceolata by high pressure and stepwise steaming complex process. The complex processed C. lanceolata showed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itivity as 45.21%, and for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mplex processed C. lanceolata contained higher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or steaming process alone. The Cytotoxicity of all C. lanceolata extracts also showed low cytotoxicity against human fibroblast cell (CCD-986sk) as 4.49 ~ 10.40%. In whitening activity, high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as estimated as 25.08% by adding the extracts from complex process. We found that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plex processed C. lancolata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btained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and a steaming process because various kinds of antioxidant compounds could be easily released by combined process, compared to one of each process.
        5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벼 등숙기간의 고온에 따른 쌀의 품질을 알아보고자 주남벼를 이용하여 등숙기 고온처리를 출수기~출수후10일, 출수기~출수후30일, 출수후10일~출수후20일, 출수후20일~출수후30일에 각각 온실에서 처리하였다.등숙초기의 고온처리에서는 천립중,등숙율, 이삭무게에 대해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현미립의 두께와 품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등숙중기의 고온은 천립중,등숙율, 이삭무게, 현미립의 두께,품위 모든 부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등숙후기의 고온은 현미품위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등숙 전기간의 고온에서 쌀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쳤고, 세부적으로는 등숙초기나 후기보다는 등숙중기의 고온에서 쌀 품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쳤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