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41.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secticidal potency of some essential oil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y may find an application in the control of house dust mites. We compared the repellent effect of four essential oils ; lemon grass (Cymbopogon nardus), lavender(Lavandula vera),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and ylang ylang(Cananga odorata). The oils were exposed at different doses(0.1, 0.05, 0.025, 0.0125, and 0.00652 ㎕/㎠) and different times(1, 2, 3, 4, 5 hours) on house dust mites(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The repellent effects(%) of essential oils that were exposed at 0.1 ㎕/㎠ and for 1 hours against house dust mites were lemon grass(63.3%) and rosemary(61%), lavender(40%), ylang ylang(40%) in the order named.
        4,000원
        4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4,000원
        4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3종 식물정유(caraway oil, hyssop oil, lime oil)의 기피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중 caraway oil이 1,000 ppm의 농도에서 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carvone과 limonene이 주요한 성분이었다. 따라서 caraway oil의 주요한 화합물에 대한 기피활성을 검정결과 limonene의 1,000과 100 ppm에서 각각 와 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3,000원
        45.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34종 terpene의 훈증독성, 접촉독성 및 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훈증독성은 10/1(공기)의 농도에서 isosafrole, safrole이 모두 98.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두 화합물의 LD값은 각각 2.6, 4.3/1이었다. 접촉독은 isosafrole만이 알에 대해서 60.2%의 살란활성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terpene에서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약제감수성 계통에 대한 기피반응을 조사한 결과 hexanoic acid와 limonene이 1,000ppm에서 각각 79.1%와 87.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fenprothion저항성 계통과 pyridaben저항성계통에 대해서 hexanoic acid는 각각 77.8%과 83.3%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저항성계통에 대한 limonene(1,000ppm)의 기피효과는 각각 17.8%와 10.0%로서 감수성계통에 대한 기피효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다.
        4,000원
        4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표고원목재배시 골목을 가해하는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성충에 대해서 25종 monoterpenoid의 훈증독성, 접촉독성 및 산란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훈증독성은 20(equation omitted)/954 ml (공기)의 농도에서 1, 8-cineole, fenchone, pulegone, (equation omitted)-terpinene이, 10(equation omitted)/954 ml (공기)의 농도에서는 pulegone과 (equation omitted)-terpinene이, 그리고 5(equation omitted)/954 m1 (공기)의 농도에서는 pulegone만이 10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접촉독성은 pulegone만이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monoterpenoid에서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후각계를 이용한 기피반응은 1 (equation omitted)에서 bornylacetate, carvacrol, 1, 8-cineole, menthol은 기피반응을 보였고, 반면 citronellol은 유인반응을 보였다. 실내에서 수행한 산란기피효과는 25개의 monoterpenoid중 1,000ppm의 농도에서 carveol, geraniol, perillyl alcohol이 각각 82.1%, 78.3%, 87.5%의 효과를 보였다. 이 3 화합물을 가지고 야외포장 적용시험을 수행한 결과 10,000ppm과 1,000ppm의 농도에서 3일째까지 geraniol이 가장 효과가 좋았으나 잔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8.
        1997.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활화혁발전소 보일러헤다 재질인 1Cr0.5Mo강의 파형에 따른 저주기 피로특성을 규명하고자 상온(298K) 및 고온(177K)의 삼각파와 사인파형 저주기 피로시험을 수행하였고 소성에너지법을 이용하여 파형에 따른 소성변형에너지와 피로수명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저주기 피로시 재료내부의 소성변형에너지를 히스테리시스루프의 면적으로 계산하여 구하였으며 이를통해 저주기 피로수명을 예측하였고 Coffin-Manson법 및 변형률분할법을 이용한 저주기 피로수명 결과와 서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상온 및 고온에서 피로반복수의 증가와 함께 재료가 반봅연화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ania sp. is a pest to many crops in Korea. This pest prefers fruit crops especially, blueberry and apple trees. We tested the possibility of Ricania sp. control using of methylcinnamate. In the laboratory bioassay, the mortality of methylcinnamate against Ricania sp. adult with 100 and 250 time diluted solution was 36.6% and 13.3% respectively. While repellent that the use of methylcinnamate resulted rate of 43.3% with 100 time diluted solution and 40.0% in 250 time diluted solution. Insecticidal and repellent effect in semifield bioassay were higher than those in laboratory bioassay. From this result, methylcinnamate might have synergic effect for Ricania sp.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 possibility of Ricania. sp. control using methylcinnamate.
        50.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four different essential oils on the repellent responses of large black chafer (Holotrichia parallela) Motschulsky (Coleoptera: Scarabaeidae) in organic pear (Pyrus pyrifolia) orchards. Cinnamon, pine, peppermint, and eucalyptus oils were used, and the behavioral responses and repellent effects against H. parallela were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Adult beetle responses to different oils were examined using a Y-tube olfactometer in the laboratory and four absorbent blocks with each oil in the field. The repellent responses rates of H. parallela were 100% for cinnamon oil; however, only 67% of adult beetles avoided peppermint and eucalyptus oil in the Y-tube olfactometer bioassay. In the field tests, the least damage to leaves was observed on trees treated with cinnamon oil, whereas the most damag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non-treated) trees and those treated with peppermint oil, followed by eucalyptus and pine oil. Therefore, cinnamon oil can be used as a repellent to avoid damage form large black chafers in organic pear orchard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