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4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조증가하중을 받는 평면골조의 비탄성해석을 위하여 개발된 기존의 직접해석법을 확장하여 반복하중에 적용하였다. 직접해석법을 위한 골조요소로서 비탄성 트러스와 비탄성 보요소의 두 가지 요소가 개발되었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기존의 Step-by-step 해석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기존의 Step-by-step 해석은 하중증분의 크기에 따른 해의 불안정성, 단계별 오차의 누적, 하중증분의 세분에 따른 과다한 계산 등의 문제를 가지는데 비하여 직접해석법은 하중증분의 크기에 무관하게 해의 신뢰성이 보장되고 증분평형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단계별 오차의 누적이 없고 하중증분을 세분하지 않아도 되므로 해석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4,000원
        42.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gh stress, low cycle fatigue test were carried out on HT80 plates with artificial part-through notch. The LBB conditions by the net section stress approach was examined in detail. Finite element methods for the state of deformation were also appli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experiment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noted that the LBB condition in fatigue test was dependent upon the maximun load change before and after the crack penetration. The LBB criterion By the net section stress approach were slightly dependent on initial crack size. It was shown that the state of deformation can be used to predict whether the component is likely to show LBB condition or they will be broken rapidly.
        4,000원
        43.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브레이싱재를 사용하는 목적은 본 골조체계 즉 기둥과 보에 비해 단면(강성)이 작은 부재로 보강하여 횡력에 대한 강성효과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브레이싱재의 단면이 기둥과 보의 단면에 비해 월등히 작기 때문에 압축력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과 휨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부재 중앙에 발생되는 추가 모멘트(P-.DELTA. Effect)에 의한 불리한 영향 및 해석상의 어려움 때문에 브레이싱의 설계에 있어서 브레이싱재는 압축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구조물 해석에 정확도가 요구되어짐에 따라 브레이싱재의 정확한 거동에 대한 연구가 실험을 통해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특히 탄성한계를 지난 소성상태에서 반복하중에 의한 거동 규명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강재 브레이싱재의 비선형 거동을 해석적 방법에 의해 규명했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4,000원
        44.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내용은 혈간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가 지진 하중을 받을때의 거동에 대하여 관찰한 것 이다. 똑같이 제작된 두개의 시험체에 정적 반복하중과 동적반복하중을 가하여 하중-처집 곡선이나 파괴 성상동에 판하여 차이점을 기록하였다. 동적하중을 받는 시험체의 거동은 내진설계 규준에서일 반적으로 쓰여지는 정적 하중 하에서의 시험체의 거동과는 판이한 양상올 보여주었다. 시험체가 동적 하증을 받을때에는 정적하중올 받을때 보다 @ 극 한하중이 20-25 % 증 가하고 @ 높은 취성을 보이며 @ 균열이 집중되고, @ 휩파괴 보다는 전단파괴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4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ㄷ자형 강재 댐퍼의 거동을 평가 한다. 연구에 사용된 강재 항복형 댐퍼는 에너지소산부와 긴결부로 구성된다. 에너지소산부의 단면 크기는 15×20mm이며 폭은 120mm, 높이는 90mm이다. 제조가 간편한 ㄷ자 형태를 가지는 강재 댐퍼는 지진하중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기기에 장착되어 반복하중을 받도록 하였다. 목표변위까지 총 5회의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강재의 항복 이후 에너지소산능력이 뛰어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반복하중을 수행하는 동안 강도의 저하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보수 및 리모델링시 시공의 유연성과 용이성으로 후설치 앵커를 적용하고 있으나,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며 설계 자료가 없는 세트앵커를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은 ACI 318을 준용하고 있어 동적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는 정적강도의 75%로 규정하며, 균열 및 비균열 콘크리트의 정적 전단강도는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ACI 355.2), 유럽(ETAG 001)의 동적하중에 대한 전단강도는 지진모의 실험을 통하여 산출하고 있다.
        4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내구성, 내식성 및 내화성 등이 우수한 재료인 스테인리스강 강관을 가새구조로 적용시 에너지 흡수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재료시험 결과를 토대로 두 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듀플렉스계 스테인리스강 각형강관의 반복 가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변수는 스테인리스강 각형강관의 크기와 세장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중앙부 전체좌굴과 단부 국부좌굴이 발생하였고 변수에 따른 가새 최대내력을 비교하였다.
        4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mpressive loading of carbon nanotube (CNT) mixed cement composites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lectrical resistivity variation of 30%∼60% of compressive load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1.0% CNT, 1.0% CNT was added to cement composites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calculated. The greater the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to compressive load, the more vulnerable to internal conductive networks. Also, as the amount of CNT mixed increases, the electrical resistance to the load is more sensitive and it is expected to be mixed more than 1.0%.
        4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eel damper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The U-shaped steel damper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have energy dissipation zone with an external diameter of 120 mm, a width of 15 mm, and a thickness of 15 mm. The cyclic loading test was carried out using an uniaxial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apacity of 2,000 kN.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no strength deterioration of the specimen was found as well as the equivalent damping ratio of the specimen was excellent.
        5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ismic performance capacity of CFT seismic retrofit method was studied through cyclic loading test. The added CFT columns share the lateral seismic force of the building with the existing RC column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The experiment shows stable hysteric load-displacement curve.
        5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ismic performance capacity of CFT seismic retrofit method was studied through cyclic loading test. The added CFT columns share the lateral seismic force of the building with the existing RC column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The experiment shows stable hysteric load-displacement curve.
        5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ditional marine structures are difficult to construct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These structure have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the chloride attack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new structure system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connec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nt cap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oposed structure system. To assess the joi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full-scale joint was fabricated and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key parameters examined were the pile displacement; the strain in the reinforcement; and the crack patterns in the concrete. The test structure behaved stably for cyclic loading. The test structure is analyzed to be safe in all members.
        5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ismic performance capacity of CFT seismic retrofit method was studied through cyclic loading test. The added CFT columns share the lateral seismic force of the building with the existing RC column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The experiment shows stable hysteric load-displacement curve.
        5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ismic performance capacity of CFT seismic retrofit method was studied through cyclic loading test. The added CFT columns share the lateral seismic force of the building with the existing RC column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The experiment shows stable hysteric load-displacement curve
        5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ditional marine structures are difficult to construct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These structure have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the chloride attack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new structure system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connec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nt cap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oposed structure system. To assess the joi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full-scale joint was fabricated and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key parameters examined were the pile displacement; the strain in the reinforcement; and the crack patterns in the concrete. The test structure behaved stably for cyclic loading. The test structure is analyzed to be safe in all members.
        5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철근과 FRPH Bar를 주철근으로 한 철근 콘크리트 보부재를 대상으로 정적실험 및 반복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여 에너지 소산성능 및 반복하중 저항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24MPa의 설계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보부재(200×200×2175mm)를 제작 하였으며, 4점 휨 시험을 수행하여 초기균열하중, 항복하중, 파괴하중을 측정하였다. 정적하중 재하실험을 통해 각 시험체에 대한 항복하중과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는데, 항복하중은 RC보에서는 48.9kN, FRPH 보에서는 36kN으로 평가되었으며, 파괴하중은 두 시험체 모두 50kN의 강 도를 보였다. 정적하중-처짐 결과에서는 FRPH 보는 RC보에 비하여 인장경화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FRPH bar의 인장경화 특성에 기인한다. 반복하중하에서 FRPH bar를 가진 보에서는 일반 RC보와는 다르게 작은 폭의 균열이 넓게 발생하였으며, 우수한 처짐 복원력을 나타내었다. 정적·동적 에너지 비율을 이용한 에너지 소산능력에서는 RC보에서는 0.62, FRPH 보에서는 0.83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통해 FRPH를 가진 보부재에서 효과적으로 반복하중에 대하여 저항함을 알 수 있다.
        5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ermal properties of high temperature cementitious thermal storage material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Ordinary portland cement was used as basic binder and the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slag was investigated.
        58.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량의 노후화에 따른 유지관리 활동이 교통체증, 환경오염, 막대한 비용의 소모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으면서 조립식교량 공 법을 이용하는 모듈러 교량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모듈러 교량과 관련된 연구의 일환으로 연결부를 가지는 1방향 모듈러 슬래브를 대 상으로 반복하중 재하시 단면2차모멘트의 변화를 분석하고 콘크리트구조기준의 유효단면2차모멘트 식과 비교하였다. 반복하중 재하 실험을 위하여 일체형, 모듈러 실험체 각각 1개씩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모듈러 실험체는 일체형 실험체의 비슷한 휨 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극한 변위는 20%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반복하중 재하 실험에서는 모듈러 실험체는 일체형 실험체와는 상이한 처짐 거동을 보였고 단면2차모멘트 의 변화가 상이하였다. 또한 콘크리트구조기준의 유효단면2차모멘트 계산식은 모듈러 슬래브의 단면2차모멘트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고, 실험값을 기반으로 하중과 균열모멘트의 비율을 새로운 값인 4.53을 구하였다.
        5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철근으로 보강한 고인성 섬유복합체(ECC) 기둥의 반복이력거동을 연구하였다. ECC를 제조하기 위하여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기본 결합재로 하고, 플라이애시를 다량 치환하여 결합재와 충전재로 사용하는 배합을 적용하였다. 철근 보강한 ECC 기둥의 반복이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복하중에 의한 실험의 결과, 일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비하여 철근 보강한 ECC 기둥은 높은 연성비와 함께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나타내었고, 우수한 휨 균열 제어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횡방향 하중에 대한 기둥의 내력 증진효과와 함께 에너지 소산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60.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SC 전단벽의 전단 연결재인 스터드의 배치와 형상이 SC 전단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전단벽체가 반복의 전단하중을 받을 때의 거동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배치간격과 형상의 스터드가 배열된 SC 전단벽을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중-변위이력곡선으로부터 스켈레톤 곡선을 얻었고 스터드의 간격이 좁을수록 극한강도 및 항복강도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또한, 일반 스터드 보다 경사부재가 있는 경사 스터드의 강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강성비가 줄어들수록 감쇠비가 증가함을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스터드의 간격이 좁을수록 누적손상에너지가 크게 나타나며 내진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