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4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3(1). This case study illustrates the changes of five Korea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students'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in Toronto. For each participant,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a month for six months. The data demonstrate that 1) in the initial phase, their ESL motivation is represented by extrinsic motivation, which is related to their future job opportunities, and they t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2) in the middle phase, they feel a growing sense of intrinsic motivation, but at the same time experience challenges in maintaining intrinsic motivation due to their ESL school or homestay changes: and 3) in the last phase, intrinsic motivation atrophies, and they focus on ESL learning either on their own or with the help of native speaking English tutors. The data show that the nature of ESL motivation of the students in the study is influenced by their unique sociocultural surroundings. The findings imply that without continuous effort to participate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study abroad in an ESL society does not guarantee expected ESL proficiency.
        6,700원
        4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사들이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형성하려면, 학생들에게 제공할 것과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직접 경험할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 교사 20명을 포함한71명의 한국 중등 과학교사들이 미국 중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실시된4주간의 여름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업 및 활동을 경험하였다. 아울러 교사들은 각자 학생 역할과 교사 역할을 맡아서 모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중심 수업을 실제로 체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제공된 이러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이 교사들의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신념은 구체적으로 과학학습의 목적, 교사와 학생의 역할 그리고 수업에 대한 것으로 총 7문항으로 제시되었다. 즉 교사들의 교사중심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의 양상이 학생중심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물론 그 변화가 교사중심에서 완벽하게 학생중심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 라기보다 교사중심에서 탈피하거나 이에 반하는 쪽으로 변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연수에서 경험한 협동학습이 참여 교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신념변화를 초래한 주요 요인들 중의 하나였음을 보고한다.
        4,000원
        56.
        198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58.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 직무연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을 꾀하는 직무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강원도 초등교사가 이수한 직무연수 자료를 전수조사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 직무연수 유형은 [교직 발달과 전문성], [아동이해], [교사이해],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직무], [변화대응]의 6가지 대분류 항목, 그리고 하위 영역으로서 18개 중분류, 85개 소분류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 해당 결과에 대한 교차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 초등교사 교직경력에 따른 각 관심 영역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 한 결과에 근거한 초등교사 직무연수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연수의 목적: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 둘째, 직무연수 내용 구성: 학급담임으로서 역량 강화, 셋째, 직무연수 적용 기준(방법): 의무성과 자율성의 균형이다. 지금까지 논의는 초등교직이 입직 이후 더는 추가 교육이 필요 하지 않은 완성형 직업이기보다, 지속적인 현직교육을 통해 끊임없이 전문성을 추구해야 하는 전문직임 보여준다.
        59.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변화하는 학교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과 교감자격연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교감 자격연수의 의미를 사회학의 신제도주의 ‘신화와 의례’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연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중학교 초임교감 7명을 면담하고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초임교감은 교장을 보좌하는 중간관리자 위치에서 조정자, 지원자, 관리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고, 둘째,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요인들은 교장, 동료 교감, 동료 교사, 장학사, 연수, 교직 경험이었으며, 셋째, 교감들은 자격연수가 역할 수행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았다며 그 이유로 실무에 도움이 주지 않는 과목, 부족한 시간,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지 않는 연수 방법, 교감 경험이 있는 강사 부족, 서열화를 위한 평가 등을 들고 있었다. 한편 자격연수는 교감의 마음과 자세를 갖게 하고 기본적인 업무를 파악하도록 하며 동료 교감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감자격연수는 교사에서 교감으로서 역량을 키우는 실질적인 효과보다는 ‘통과 의례’와 교감 자격과 역할을 부여하는 ‘신화(상징)와 의례’로서 학교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자격연수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학습공동체 및 직무연수와 연계한 교감자격연수 운영과 ‘교감실습제’ 도입을 제언하였다.
        60.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원격연수에 대해 가지는 양가성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수학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 코딩, 축코딩 과정을 거쳐 수학교사가 원격연수에 대해 가지는 양가성에 대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수학교사의 연수 선택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우 적은 비율의 수학 관련 강좌, 짧은 수강 기간, 현장 적용의 어려움, 제한적인 양방향 소통 시스템은 원격연수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야기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수 수강의 편리성, 전달식 강의에 적합한 연수 형태, 학습 자료 전달이 용이하다는 점은 원격연수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야기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과거 연수를 수강하면서 형성된 학 습경험은 원격연수에 대한 양가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차후 새로운 연수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원격연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동시에 원격연수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함께 제안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