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4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a great social damage has been caused by the sargassum homeri, which has flowed from China in the Jeju and Namhae coasts. In this study, biopolymer was prepared by using sargassum homeri and applied to bridge pavement concrete. The perform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bridge pavement concrete made of biopolymer was evaluated. As a result, excellent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was shown.
        4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were evaluated the slag content of the concrete for bridge pavement.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s showed that initial strength was decreased as slag replacement ratio increased. The chlorine ion penetration perform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rength.
        4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were evaluated the slag content of the concrete for bridge pavement.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s showed that initial strength was decreased as slag replacement ratio increased. The chlorine ion penetration perform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rength.
        4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scaling of pavement concrete is becoming problem by excessive use of deicer. The current study measured durability of concrete not considering multi-deterioration using design and construction mixing used general concrete pavement.
        4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박층 포장용 다층(Multiple layer) 에폭시 폴리머 콘크리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에폭시수지에 대한 실내실험을 통해 물리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시공성 및 초기 공용성 평가를 위한 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실내실험으로 강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부착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내구 특성 평가를 위하여 염소이온침투시험, Thermal Compatibility 시험을 실시하였다. 압축강도 시험결과 40MPa 이상으로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의 폴리머 콘크리트 기준값보다 큰 값을 나타냈으며 휨강도 시험결과는 20MPa 이상으로 기준을 만족하였다. 인장강도 시험결과 15MPa의 강도값과 60%이상의 신장율이 측정되었고, 콘크리트포장면과의 부착강도 시험결과는 2.2MPa 값을 나타내어 국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분침투저항성 시험결과는 측정값이 0Coulomb으로 수밀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제설제 등의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ermal compatibility 시험 후 콘크리트와 에폭시 포장층의 접착면을 살펴본 결과 균열이 발견되지 않아 콘크리트포장과 에폭시 포장층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한 접착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 시험시공 결과 우수한 시공성과 초기 공용성을 나타내어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내 토공부 포장과 교면포장 적용시 포장 공용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
        4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면포장 공법인 아스팔트와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포장의 단점을 극복한 교면포장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하여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교면포장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배합으로는 A-Type (실리카퓸 6%), B-Type (실리카퓸 6%+플라이애쉬 20%), C-Type (실리카퓸 6%+고로슬래그 40%)의 3가지 종류를 고려하였고 현재 교면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포장(LMC)과 일반 콘크리트 포장(OPC)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실험으로는 정적재하실험과 피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처짐 및 균열폭과 콘크리트 및 철근 변형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범용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한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실험결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정적재하시험의 경우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이 LMC 및 OPC에 비하여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 중에선 A-Type이 처짐 및 균열저항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로시험의 경우에는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이 LMC 및 OPC에 비하여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거동은 모든 시험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반복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하력 및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 처짐의 경우 1~4mm, 변형률의 경우 최대 12%의 상대오차를 보여 실험결과와 유사한 변형을 보였다
        47.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초박층 교면포장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로의 적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바인더와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실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합비율로 생산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 휨, 부착 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강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동결 융해 저항성 시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강도 시험 결과, 우수한 강도 성능과 휨 추종성을 나타내었고 미국콘크리트학회에서 제시하는 모든 강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또한 다양한 온도에서의 강도 시험에서도 기존의 재료에 비하여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었다. 동결 융해 시험 및 동결 융해 과정을 거친 시편의 강도 시험 결과,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폴리머 콘크리트는 초박층 교면포장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민감성도 개선되어 기존의 초박층 교면포장 재료에 비해 폭 넓은 적용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4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강토 콘크리트에 PP 섬유 혼입이 일정량이상 증가하면 PP 섬유가 골재보다 강도가 약하여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P 섬유의 존재로 콘크리트의 취성 파괴 방지에 어느 정도 기여했을 것이라 판단된다. 휨 강도에서는 PP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와 섬유를 혼입한 경우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휨 균열 발생 후 변위가 계속 증가해도 공시체가 바로 파괴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휨 하중에 저항하는 것은 콘트리트 파괴 후 파괴면을 따라 존재한 섬유가 휨 하중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저항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성지수는 PP 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경우 균열 발생과 동시에 시험편이 파괴 되었고, 와이어 메쉬 혼입의 경우는 인장측 균열발생과 동시에 파괴가 발생되나 와이어 메쉬에 의해 휨 파괴에 대한 2차 저항이 발생되다가 와이어 메쉬 항복파괴와 더불어 공시체도 파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P 섬유 혼입량이 증가 할수록 인성지수가 강해지고 하중 저항능력도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균열 발생 후에도 계속적으로 휨 하중에 저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강토는 잔골재인 모래보다 작업현장 또는 인근지역에서 채취가 가능하고,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보다 가벼워 자재를 차량으로 이동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적게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와는 달리 작업난이도와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교반과정에서 혼입하여 사용하므로 편리하고 안전하며, 공기가 단축되어 환경복원의 기간이 빨라질 것이라 판단된다.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보다 저렴하며 설치비가 필요 없어 상당히 경제적이다. 이러한 결과 들을 분석해 볼 때 일정량의 PP 섬유를 와이어 메쉬 대용으로 화강토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조경공간의 포장용으로 사용하면 균열저항 뿐만 아니라 파괴 예방용으로 많은 효과가 있어 환경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천연 골재의 자원고갈로 인한 품질 저하의 대체용으로 잔골재인 모래 대신 화강토를 사용하여도 이용자들의 보행이나 유지관리용 차량이 통행하는데 압축강도나 인장강도가 충분하고, 이용객이 보행시 심리적으로 편안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조경포장에 있어서는 친환경적 포장재료의 사용이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ormwater pollution is a major problem in urban areas. Pollutants like heavy metals and harmful chemicals in the runoff can endanger soil and ground water, when they are not sufficiently removed during infiltration. Strength and infiltration capacity of porous concrete are the major problems that must be considered if permeable pavement system are demanded to be used in a drive way application. In this study, a series of compacted porous concrete mixtures and the system of pavement are tested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unit weight, porosity, water permeability, and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contaminated water. The test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strength and infiltration capacity of porous concrete are strongly related to its matrix proportion and compaction energy and providing adequate filter layers underneath pavement surface cour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s of permeable pavement system for pollution retention purpos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