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42.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업컨설팅의 궁극적 목적은 수업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이며 교수자의 교수역량 개발과 향상 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업컨설팅은 수업이라는 상황을 두고 컨설턴트가 교수자에게 양 적 혹은 질적으로 지도, 조언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교육이라는 거시적인 맥락에서 복합적인 요 소들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수업컨설팅이 아닌 단편적인 스펙트럼 내에서 장단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피드백 해주는 형태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의 콘텐츠 평가 체계와 평가 내용, 학습자들의 학습실태 및 학습만족도 조사 결과 등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사이버대학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컨설팅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의 수업컨설팅을 위한 방안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의 총체적 관점에서 사이버대학에 대한 맥락성을 고 려하기 2) 콘텐츠 개발 영역과 수업운영 영역별로 실제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3) 사이버대학의 특성 을 고려한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기 4) 좋은 수업을 위한 좋은 콘텐츠의 조건과 요인을 분 석하여 적용하기 그리고 교수자 스스로의 지속적인 성찰과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 다.
        5,100원
        43.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like older generation whose consumption of music was bounded by their local culture, today’s young consumers access music beyond cultural boundaries. Many successful pop music in cyber space attracted billions of listeners from all over the world. The young generation born and raised in the digital age, are often thought to have altered sensory-neur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extensive use of electronic device since early childhood. This study investigates a perceptual saturation hypothesis which posits that in order to capture the young generation’s hard-to-get attention, online music must present a high level of energy and rhythm that is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We conducted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experiment with sixty-four young adults and found that total cerebral blood volume over prefrontal brain area was higher for a song that presents acoustic intensity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than a counterpart stimulus with lower levels of acoustic intensity. The degrees of prefrontal hemodynamic random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YouTube music that provided high levels of acoustic stimulation. Online popularity, recorded as the number of daily hi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erebral blood volum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dynamic randomness.
        47.
        201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수사기관의 사이버순찰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 글이다. 사 이버순찰은 아직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운용되고 있지 않으나, 사이버공간을 매개로 한 범죄가 급 증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점차 그 필요성이 증대 되어 가고 있다. 실정법과 판례, 국내외의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국민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한 도에서 자동화된 사이버순찰을 도입하여 운용하 기 위해 필요한 요건들을 제시하였다.
        4,600원
        4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일련의 개인정보보호법령의 강화는 불가피하게 정부의 활동, 특 히 정보수집을 핵심 기능으로 하는 정보기관에 의한 사이버안보 활동에 제약을 가하게 된다. 결국 개인정보보호를 통한 개인의 권리의 보장과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안보활동의 보장이라는 두 가지 법익의 충돌을 적절히 조화할 필요가 생겨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 는 과거 및 현행 개인정보보호법령에서 사이버안보 활동에 대하여 어떻 게 규율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후 주요 국가에서는 어떻게 이를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개인정보보호법 령의 규율태도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개인정보보호와 사 이버안보는 서로 긴장관계에 있으면서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사이버 안보를 꾀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가피하지만, 개인정보보호 를 함으로써 사이버안보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이버안보가 확보되면 개 인정보보호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긴밀한 관계이다. 또한 사이버안보 는 국가안전보장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의 처리는 적절한 범위에서 허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안보는 적절한 균형관계를 꾀하여야 한다. 즉,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처리의 근거는 현재처럼 유지하면서도, 사이버안보 활동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부당하게 침해된 경우에 적절한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상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개인정보분쟁해결 규정을 적용제외한 것을 재고하거나 아니면 다른 적절한 구제절차를 마련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 대통령 정 책 지침에서와 같이 정보기관 내부적으로 자율적인 통제가 이루어지기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국가정보보안 기본지침(국가정보원)」, 「보안업 무규정」,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의 제정 및 운영은 하나의 중요한 법적 기반이 될 수 있다.
        4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the entire logistics system be managed in cyberspace by effectively sharing the logistics information between companies involved in the process, changing conventional commerce to electronic commerce. Most of the goods traded through electronic commerce are small goods involving small business transactions. This produces many problems in shipping and delivery and the leads an inefficient logistics system. Another problems is that there is no sharing of information that process the logistics flow and no systematic management of pick-up and delivery information. As a result, rise in logistics cost, longer delivery period and poor service quality are inevitable and these results are becoming an obstacle in the widespread usage of the electronic commerce. Companies that are part of logistics center can cooperate logistics business in Cyber space and share the entire logistics information through the cyber logistics center. This turns out in effective sharing of logistics information, and thus, allows efficient management of logistics, improves logistics service, and reduces logistics cost.
        4,300원
        50.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오늘의 젊은 세대의 특징은 디지털환경에서 태어나 다양한 IT기기와 특히 스마트폰을 가지고 현실의 공간과 사이버 공간을 넘나들면서 살아가는 세대이다. 이 글에서는 이 관점에서 오늘 의 젊은 세대를 사이버세대로 지칭하고,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과 전략이 필요한지를 다루어보려고 한다.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지금 세대의 결정적 특징을 ‘디지털 속에서 성장하는’ 첫 번째 세대라고 결론을 내린다. 디지털 속에서 성장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의 환경 속에서 그 기기들을 놀이 도구로 삼으면서 성장하는 세대라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에 친화적이며 디지털 기술은 이들의 삶의 한 부분이다. 사이버세대를 위해 어떻게 전도할 수 있을까?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으로 이들을 사랑하고, 예수처럼 이들의 문화 속으로 들어가는 성육신적인 자세와 사이버세대 와 눈높이를 맞추는 낮아짐, 그리고 성령 하나님처럼 사이버세대와 함께하고 소통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사랑해야 한다. 사도 바울의가르침처럼 사랑이 없으면 그 무엇이라도 아무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사이버세대가 이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생각을 나누는 가장 거대한 공간이다.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 서는 이런 사이버 공간을 무시해서도 놓쳐서도 안 된다. 사이버세대를 위한 전도는 네트워크화 하여 선교단체, 개교회, 교단이 연합하는 프로그램을 협력하고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든다면 한 지역 단위 프로젝 트를 기획하고 자원과 경비를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거기에서 알게 된 사이버세대들을 각각의 교회가 연결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양육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사이버세대들은 스마트폰을 거의 몸에서 떼어놓지 않는다. 스마트폰은 몸의 일부분이나 마찬가지다. 사실 이런 상황은 좋은 것도 있지만 해악도 그만큼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모순 같지만 장점을 살리고 약점은 보완하는 수밖에 없다. 사이버세대가 이만큼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스마트폰을 통한 전도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전도의 접촉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사이버세대를 위한 적극적인 전도전략도 중요하지만, 기독교인 사이버 세대를 보호하고 지키는 전략도 필요하다.
        8,300원
        51.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이버대학에서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학습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활성화되도록 학습자들의 학습참여 활동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체제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활동 촉진 방법으로 스마트 기기의 앱을 활용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측면과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및 적용수업은 B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학전공 수업에서 교과목의 특성과 수업목표를 고려하여 2개 교과목을 선정, 과제작성과정에서 앱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및 공유, 학습자들 간의 피드백 실시 등에 적용하였다. 기대효과 및 활용 전략은 다음과 같다. 1)앱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 유발 및 학습활동에 직접적인 참여 유도 2) 학습자 스스로 제작한 콘텐츠 공유와 학습자들 간의 피드백 실시 등을 통해 상호작용 촉진 및 교과목에 대한 이해 증진 3)앱 활용 과정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력 향상 4)선수학습용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습자들에게 사전학습 자료로 제공 5)학기 초에 학습자들의 자기소개 콘텐츠 제작 및 공유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진 6)그리고 학습활동 과정에 대한 학습 포트폴리오로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4,800원
        52.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ber attacks have become a grave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Northeast Asia is a critical point of many of these cyber operations. First, South Korea has been the target of cyber attacks from North Korea. Second, there are harsh debates on this matter between the US and China. While the United States have expressed their concerns about the growing threat of cyber intrusions from Chin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blamed the US for attacks against their respective computer 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us ad bellum, potential cyber attacks raise a number of difficult and complex issues. The following article examines which cyber operations amount to the use of force as stipulated in Article 2(4) of the UN Charter and discuss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ype of cyber attacks could trigger the right to self-defense. In addition, other available remedies outside the framework of Article 51 of the UN Charter will be discussed.
        5,500원
        53.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E-러닝 시스템은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 공부하는 법을 가르친다.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 고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교육을 E-러닝 시스템을 통 하여 어디에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능력이 증대되며, 자신감은 기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변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는 E-러닝 시스템을 모듈별 설계원칙을 제시하고 구현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E-러닝 시스템을 이용할시 시스템의 안정성과 프로그 램의 보안성이 중요시 된다. 따라서 클러스터링에 의한 교육의 안정적 운영을 제시하였다. 또한 EJB3.0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 시켰다. 모바일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인 앱웹 방식과 비즈니스 로직 부분을 EJB3.0을 활용하여 클러스터링 환경 구축으로 모바일 시스템 서비스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강화 하였다. 따라서 E-러닝 시스템의 설계방법과 구현은 타 시스템의 설계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6,300원
        5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이버 명예훼손은 현실상의 명예훼손이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다. 사이버 명예훼손행위는 인터넷에 의하여 구현된 사이버 공간의 특성으로 인하여 피해가 커지고 있다. 명예훼손에 대한 피해의 규율은 「헌법」, 「민법」, 「형법」 및 특별법 영역에서 다루어졌다. 하지만 사이버 명예훼손의 피해에 대하여 기존 규제법과 책임법으로 규율되기엔 피해자가 겪는 고통이 크고, 가해자의 고의적인 악성이 정도를 넘었을 경우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명예훼손 행위에 대하여 위자료청구권을 통한 높은 손해배상액을 청구한 사례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있어 왔다. 특히 명예훼손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제도의 도입은 언론의 신중한 보도와 고의 및 과실에 의한 오보로 인한 피해의 구제 및 방지를 위하여 적용 판단을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 논의는 긍정설과 부정설이 대립해 있다. 따라서 사이버 명예훼손 행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 사이버 명예훼손으로 인한 정신적 손해는 위자료청구권의 효과로서 금전 배상이 인정되지만 법관의 자유재량으로서 위자료 산정이 되기 때문에 패소자가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사이버 명예훼손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은 부정설의 논거를 충분히 판단하여 청구 영역을 특성화한 특별법의 형식으로 입법하는 방안이 타당할 것이다. 그래서 사이버 명예훼손 행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을 적용하는 경우를 명백히 하고, 책임의 범위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제한한다면 언론 활동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명예훼손 피해자 보호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을 것이다.
        55.
        201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nline learning service called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CHLS), which was introduced in 2004 and has been in operation nationwide since 2005. It appears questionable as yet whether the CHLS has obtained a promising outcome.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vestigate how many secondary students are currently utilizing the English contents in the CHLS and how they perceive this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nglish contents of the CHLS were utilized by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the contents were rarely perceived as useful. In particular, students perceived that there was little interaction with teachers in cyber space as well as in a classroom setting. Furthermore, five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reasons that hinder students from using the CHLS: lack of promotion; difficulty of self-directed learning; lack of time; low quality; and inconven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are influential in affecting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 CHLS, and that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renew the CHLS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analysis.
        6,900원
        5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2009년 8월에 있었던, 우리나라 인터넷 P2Pᆞ웹하드 사이트 사용자들을 상대로 한 외국 포르노업체의 저작권소송은 음란물과 음란행위로 이분화하여 규율하고 있었던 기존의 음란성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기에 충분했다고 생각된다. 먼저 이 사건은 형법상 음란물 유포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쟁점이라 할 수 있었는데, 과연 웹하드 사이트를 통한 공유가 이에 해당되는지가 문제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다시 기존에 우리가 음란한 물건과 음란한 행위만을 객체로 보았던 시각의 수정 및 새로운 개념적 정의의 필요성 또는 범주의 조정 등의 문제들과도 연계되는 부분이라고 할 것이다. 한편 소송이 저작권 침해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음란물에 대해 전면적 금지주의를 취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외국 포르노업체들이 제기한 고소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저작권이 인정되는 음란물과 그렇지 않은 음란물을 어떻게 구별하고 또 규율할 것인지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제껏 음란물에 대한 우리의 논의는 음란성의 개념과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들은 사이버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도 여전히 그 중요성이 퇴색되지 않지만, 지금까지 단지 금지나 규제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았던 음란물에 대한 시각과 그로 인한 음란물로 넘쳐나는 현실세계와 법규범과의 괴리의 증대에 대한 반성을 넘어 사이버 공간에서의 음란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태도의 필요성, 즉 사이버 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적 정의의 필요성 여부, 음란물을 접하는 대상과 매체에 따른 판단기준에 대한 검토, 판단주체의 문제 및 기존의 음란물과 인터넷상의 음란물과의 형평성과 개별적 논의 등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와 형법상의 규제와 보호의 조화와 음란물에 대한 형법적 정책을 구상하고 또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음란물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판단기준, 그리고 음란물의 법적 규제의 바탕이 되었던 다양한 시각들을 살펴보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사이버 공간에서 출현하게 된 음란정보와 기존의 음란물을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지금까지의 개념과 판단기준의 적합성 내지 타당성을 논의해 본 다음, 사이버 공간에서 음란정보를 중심으로 형법적 규율대상을 설정하고, 그에 타당한 판단기준과 제재수단 및 정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음란성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이제껏 금지와 규제 일변도였던 음란물에 대해, 새로이 음란정보 개념을 통해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 및 인간의 정보선택의 자유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소통과 자율이 보장되는 유연적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 보고자 하였다.
        59.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과학 기본과정 지구과학영역의 자율학습용 콘텐츠에 대하여 분석 및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의 '초 중등교육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2.0)'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관리도구'를 적용하였다. 콘텐츠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안내는 학생들이 한 차시에 학습하게 될 내용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수학습에서는 진단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었고, 본 학습 시간은 15분 내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오답에 대한 피드백은 이루어지지 않고, 틀린 문항 수만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학습정리는 그 차시에 배운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시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콘텐츠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분석, 교수학습전략,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각 차시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윤리성에 대한 평가는 적합하지 못한 단어나 문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의 평가는 콘텐츠 내의 저작물에 대한 국제저작권표시방법을 준수하여 표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수설계의 평가는 단순 그림 위주의 설명을 제시하였고, 플래시 등의 시각자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원체계의 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콘텐츠 학습 중 학습자가 메모할 수 있는 메모기능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에 대한 평가는 서술 내용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각각의 차시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내용의 평가분석은 수정 보완하지 않은 탓에 최신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각 차시마다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0.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e-Learning is now widely used in many countries and for many purposes, universities have also utilized e-Learning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cluding Thai universities. Effective delivery of e-Learning is therefore an ultimate goal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n e-Learning environment. More importantly, the impact of Mobility on e-Learning should not be overlooked, as it may provide possibilities for learners to learn without the limitation of presence and time. This study surveys teachers of the e-Learning Professional Certificate Program, one of Thailand Cyber University (TCU)’s flagship e-Learning courses, for their perspectives in Mobility and e-Learning Delivery Methodologies, particularly in the Integrative method as described by the North Carolin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Results have divided the Delivery modes with the application of Mobility into two group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grative Delivery modes of twenty-two choices that have been preferences among fourteen TCU experts include a Discussion Group, Forum, Brainstorming, Conference, and Buzz Group. In the TCU experts’ point of view, to carry out e-Learning classes, it is important to motivate the passive learner to participate actively and to have the learners more interact more and have more mobility in sharing opinions and participating. While mobility may improve e-Learning delivery in many aspects, physical contact may still be needed for some modes, such as Personal and Office visits.
        5,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