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9

        44.
        202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effect of Standard Clean-1 (SC-1) cleaning to remove residual Ti layers after silicidation to prevent Al diffusion into Si wafer for Ti Schottky barrier diodes (Ti-SBD). Regardless of SC-1 cleaning, the presence of oxygen atoms is confirmed by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depth profile analysis between Al and Ti-silicide layers. Al atoms at the interface of Ti-silicide and Si wafer are detected, when the SC-1 cleaning is not conducted after rapid thermal annealing. On the other hand, Al atoms are not found at the interface of Ti-SBD after executing SC-1 cleaning. Al diffusion into the interface between Ti-silicide and Si wafer may be caused by thermal stress at the Ti-silicide layer. The difference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Ti and Ti-silicide gives rise to thermal stress at the interface during the Al layer deposition and sintering processes. Although a longer sintering time is conducted for Ti-SBD, the Al atoms do not diffuse into the surface of the Si wafer. Therefore, the removal of the Ti layer by the SC-1 cleaning can prevent Al diffusion for Ti-SBD.
        3,000원
        46.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impact of business on the society and social media platforms facilitate the spread of their concern worldwide.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consumers react (i.e. Electronic Word-of-Mouth) when brands initiate good or bad practices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rporate responsibility. Three experiments provide a multifaceted representation of the phenomenon. We examine the role of consumers’ self-conscious moral emotions (i.e. guilt and pride), in combination with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BESC) and brand loyalty, in explaining consumers’ reaction. The results will help scholars and managers to better understand and address the spread of consumers’ e-WOM relating to what they perceive as responsible or irresponsible brand behaviors.
        5,800원
        5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중림초 주변에서의 감태 포자의 확산 특성에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해역에서의 현 장관측과 EFDC를 활용하여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해역에 설치된 해중림초 중 3개종(정삼각뿔형어 초, 이중돔형어초, 날개부를가진어초)에 대하여 Flow-3D를 이용한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실해역 흐름 재현을 통한 포자이동 방향 및 최대 이동거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삼각뿔형어초와 이중돔형어초의 경우 포자의 최대 안착지점은 북서쪽 방향으로 10 m, 서쪽방향으로 6 m로 나타났다. 날개부를가진어초의 경우 포자가 해중림초 주변 4m지점에서 최대 안착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중림초 설치시 감태 포자의 확산특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포자의 이동에 따른 해조류의 부착기질로서의 기능에 대한 효과가 증대될 것 으로 판단된다.
        4,000원
        5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확산 모델을 이용한 연속적인 톤의 표현은 형태형성물질의 패턴 형성 방법을 이용한 기법이다. 그레이 스케일의 영상을 형태형성물질의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서 이산적인 밝기를 가진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영상을 점과 선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어 다양한 스타일의 영상 렌더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영상의 밝기 정보가 형태형성물질로 변환되고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했을 경우 예측 가능한 결과를 낸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실제 실험에서는 대체적으로 급격히 변하지 않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는 이러한 가정이 잘 들어맞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영상 신호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결과 영상에 문제(artifact)가 나타난다. 이는 밝기차이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검은 선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부분은 원영상의 신호와 다른 결과를 낸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반응-확산 모델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새로운 계산 방법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이러한 부분에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해결하였다.
        4,000원
        5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대안으로서 수소에너지와 그 이용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발맞춰 무탄소 연료인 수소를 LNG 의 주성분인 메탄, 메탄-프로판, 메탄-프로판-에탄 동축류 확산화염 내에 첨가하여 화염형상 및 연소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온상압 조건의 확산화염에 수소를 단계적으로 첨가하여 실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의 변화 추이를 가스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관찰하였고 확산화염의 형상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관찰 하였다. 실험결과에서 확산화염에 수소를 첨가함에 따라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선형에 가깝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수소의 상대적으로 높은 단열화염온도와 빠른 연소속도가 Thermal NOx의 생성을 촉진했기 때문이다. 반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수소를 첨가함에 따라 메탄, 메탄-프로판, 메탄-에탄-프로판의 혼합 확산화염에 포함되어있는 전체 탄소비율이 줄어들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감소한 것이다. 이는 선박에서 LNG-수소의 혼합 연료사용으로 인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5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얻은 2000 s/㎟의 높은 b-value의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 DWI)과 낮은 b-value들을 외삽(外揷, extrapolation) 하여 재구성한 2000 s/㎟의 같은 b-value의 확산강조영상 (computed diffusion weighted image, cDWI)을 비교하여 cDWI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총 30명의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b-value 0, 50, 800, 2000 s/㎟을 이용한 DWI를 획득하고, b-value 0, 50, 800 s/㎟의 DWI만을 외삽하여 b-value 2000 s/㎟의 cDWI를 재구성하였다. 직접 얻은 b-value 2000 s/㎟의 DWI와 재구성으로 얻은 b-value 2000 s/㎟의 cDWI의 신호 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to-noise ratio, CNR)를 정량평가하였다. 또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 경력이 서로 다른 방사선사 2 명이 각각 시각적인 영상의 질에 대해 정성평가를 하였다. 정량평가는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정성평가는 대응표본 t-검정과 함께, 각 평가자 간 평가 점수의 일치도 분석을 위해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실시하였다. 결과:정량평가 결과는 DWI의 SNR이 각각 간실질에서 40.68±1.94, HCC에서 90.8±6.12, 문맥에서 62.69±5.08이었다. cDWI의 SNR은 각각 간실질에서 38.36±4.55, HCC에서 100.52±9.33, 문맥에서 3.6±0.43이었다. DWI의 CNR은 각각 간실질과 HCC 사이에서 48.31±5.72, 간 실질과 문맥 사이에서 22.01±3.2, HCC와 문맥 사이에서 49.71±5.14이었다. cDWI의 CNR은 각각 간실질과 HCC 사이에서 57.66±6.16, 간 실질과 문맥 사이에서 34.76±4.18, HCC와 문맥 사이에서 96.2±8.87이었다. 정성평가 결과, 방사선사1이 DWI를 1.14±0.36, cDWI을 3.36±0.49로 평가하였다. 방사선 사2는 DWI를 1.18±0.39, cDWI를 3.43±0.5로 평가하였다.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모두에서 대응표본 t-검정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정성평가에서 급내상관계수는 DWI에서 0.932 (95% CI 0.852-0.968, p=0.000), cDWI에서 0.925 (95% CI 0.838-0.965, p=0.000)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병소 외의 간의 구조물에서는 고식적인 b-value 2000 s/㎟의 DWI의 SNR이 높았다. 하지만 간세포암의 SNR과 모든 경우의 CNR, 시각적 평가는 b-value 2000 s/㎟의 cDWI에서 더 높았다. 특히 혈관 등 구조물들의 경계에서 cDWI의 구별 능력이 뛰어났다. 따라서 2000 s/㎟의 높은 b-value의 cDWI은 기존의 DWI 방식을 대체하여, 간에서 구조물 간에 더 나은 분해능을 제공하고, 검사시간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4,000원
        6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Synthetic diffusion은 다른 두 개의 b-value로 검사를 하는 경우 중간의 어떤 b-value로도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spiration gating을 이용한 liver DWI에서 b-value 50, 400, 800으로 검사하는 경우와 b-value 50, 1000으로 검사하여 후자에서 synthetic DWI로 b-value 400, 800으로 후 처리하여 얻은 영상을 실제로 검사한 영상의 차이와 스캔 타임 감소에 있어서 환자에게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본원에서 liver MRI를 검사한 환자 18명(남: 14명, 여: 4명, 평균나이: 46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일반적인 liver DWI과 synthetic DWI의 각 b-value 400, 800에서 간실질, 담낭에서 ROI를 측정하여 SNR, ADC값(mm2/sec)을 비교하였고, SPSS의 paired sample t-test,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장비는 3.0T Architect(GE healthcare)으로 body array coil과 spine coil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DWI과 synthetic DWI의 영상매개를 모두 같게 하였다. 결 과:Liver DWI와 synthetic DWI의 b-value 값에 대한 SNR을 비교한 결과 b-value 400에서는 간실질, 담낭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5) b-value 800에서도 간실질, 담낭에서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p<0.05) ADC값 (mm2/sec)은 간실질에서 1.03×10-3 담낭에서 2.58×10-3 synthetic DWI에서 간실질 0.94×10-3, 담낭 2.52×10-3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DWI과 synthetic DWI의 ADC값(mm2/sec)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대부분의 liver MRI에서 HCC 또는 hemangioma같은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 DWI multi b-value를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DWI b-value를 두 가지(50, 1000)를 사용하여 synthetic DWI으로 원하는 b-value를 후처리해도 SNR과 ADC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간상으로도 respiration gating DWI multi b-value(50, 400, 800)는 평균 6분 21초 걸렸으며, synthetic DWI은 3분 9초로 약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Respiration gating 사용하는 liver MRI는 환자의 호흡이 불안정하거나 숨 멈춤이 있을 경우 장비적으로도 멈춤이 있을 수 있고, 처음부터 다시 검사하는 경우나 환자가 호흡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경우가 있는데 synthetic DWI은 시간상으로도 환자 측면에서 유용한 검사 로 이용될 수 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