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41.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한 K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Lafreniere와 Dumas(1995)의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안라리(200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t검증 결과에 따르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능력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 점수의 하위수준을 따로 분석한 결과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성인과의 상호작용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교사 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는 추후 후속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44.
        2012.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가 포함된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규범에 대한 순응성, 지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위해 Sparrow와 Balla 및 Cicchetti(1985)가 개발한Vineland Ada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8)이 번안한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규범에 대한 순응성, 지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심리․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남 무안군 청계면에 위치한 푸른솔 어린이집 6세 원아 16명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23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여 총 18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검사의 행동측정을 위해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검사표(Pycho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를 사용,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평가하였다. 원예활동을 실시 한 후 아동들의 사회․심리적 행동척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중 ‘어른에게 잘 접근한다’, ‘학급친구에게 사랑을 받는다’, ‘동조력이 있다’, ‘말을 잘한다’, ‘새로운 상황에 잘 적응한다’ 등 6문항이 월등히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 특성에서도 원예활동을 실시 한 후에 정서적으로 안정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두려움을 나타낸다’, ‘노여움을 나타낸다’의 항목에서 부정적 정서의 감소폭이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