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41.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세기 이상의 자력을 통과한 물(자화수)을 이용하여 벼 callus 유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높이고자 팔공벼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callus 유기효율은 자화수 처리한 도체, 액체배지에서 공히 이온수 처리보다 상대적으로 각각 30%, 16% 높았으며 절대빈도에서도 고체, 액체배지 각각 27.3%, 15.4%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증류수 이용배지보다 대체로 높은 경향이었다 2. 식물체 재분화 효율에서도 자화수 처리한 고체배지에서 44.7%로 이온수 처리의 39.3%보다 5.4%높았으나, 액체배지의 경우 오히려 이온수의 재분화율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재분화된 식물체의 초기생육을 조사한 결과 자화수 처리가 이온수 처리보다 3일 후 50%, 7일 후 36%의 신장효과가 있었다. 4. 배지내 용존산소량을 측정한 결과, 자화수처리 배지에서 배양전 5.64ppm으로 이온수처리 배지보다 용존산소량이 18.9% 높았으나 배양 4 주후에는 자화수 및 이온수 처리 배지 각각 4.55ppm, 4.45ppm으로 비슷하였다. 5. 배지의 온도별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자화수 처리 배지의 pH가 이온수처리 pH보다 0.10~0.30정도 높았다. 6. 따라서 벼 ⇒allus 유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높이는데 700 Gauss의 자력을 통과한 물(자화수)의 처리가 이온수 처리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앞으로 좀더 정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2.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막(山菜莫)(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의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로서 체배양(諦培養)에 미치는 배지(培地),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저온(低溫) 전처리(前處理), 배양온도(培養溫度) 및 광(光)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캘러스 형성율(形成率)은 MS배지(培地)보다 WPM배지(培地)에서 좋은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Img/L NAA를 첨가(添加)한 WPM배지(培地)에서 54%로 가장 높았고, 캘러스 생장(生長)은 2mg/L NAA를 첨가(添加)한 MS배지(培地)에서 좋았다. 2. 약(約)의 배양온도(培養溫度) 및 광(光)의 영향(影響)은 25℃, 16시간 명배양(明培養)이 62%의 가장 높은 캘러스 형성율(形成率)을 보였다. 3. 캘러스 형성(形成)에 미치는 약(約)의 저온(低溫) 전처리(前處理) 효과(效果)는 4℃, 36시간 처리(處理)에서 19.5%로 가장 높았다. 4. 기관분화(器官分化)를 위한 적정배지(適正培地)로는 0. 5mg/L 2, 4-D와 1mg/L kinetin을 첨가(添加)한 MS배지가 녹점형성(綠點形成) 및 뿌리분화를 촉진(促進)하였다. 5. 캘러스 양변화(楊變化) 방지(防止)를 위하여는 3-5mg/L ABA 와 5mg/L AgNO3의 첨가(添加)가 효과적이었으며, 캘러스 활력(活力)이 높아 녹점형성(綠點形成)을 촉진(促進)하였다.
        43.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 약배양에 있어서 Callus 유기, 식물체분화 및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돌연변이 유기제의 처리 효과를 검토코자 감수 분열기 1 핵기 이삭에 X-ray는 4수준( 100, 200, 500, 1,000 rad) Ethyle Methane Sulphonate 는 3수준 ( 0.1, 0.2, 0.3M)으로 각각 처리하여 Cl7배지에서 callus를 유기시키고 1/2 MS 배지에서 식물체를 분화시켰다. 그 결과 callus 유기는 억제되었으나 식물체분화는 다소 높았으며 특히 약치상 후 61~80일째 장기치상된 약의 callus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았다.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는 반수체(n=3 x=21) 발생율이 증가되었고 n=20, n=21개의 염색체를 갖는 이수체가 발생되어 염색체 변이가 컸다.다.
        44.
        198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45.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약배양에 있어서 기본배지 및 배지내 첨가물질이 callus유기와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 및 식물체분화는 N6기본배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Indica형 품종보다는 Japonica형 품종에서 그 효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2. 약치상후 callus유기는 기본배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20~40일 사이에 90% 이상이 유기되었다. 3. 식물체분화는 callus유기배지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Miller 배지에서 유기된 callus의 식물체분화는 N6나 MS배지에 비하여 저조하였다. 4. N6배지내에 포함된 질소원중 (NH4 )2 SO4 의 함량을 31.5mM로 조절하였을 때 callus 및 식물체분화율이 향상되었다. 5. 생장조정제 첨가에 있어 2,4-D단독 처리보다는 NAA 2mg/ 에 Kinetin 1mg/ 를 혼용 처리하였을 때 callus유기 뿐 아니라 식물체분화율도 향상되었다. 6. Indica형 품종의 callus유기에 대한 DL-Ala-nine 첨가효과는 약을 저온처리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46.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약배양을 통하여 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분포와 반수체식물의 효과적인 염색체배가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5조합의 F1 을 재료로 하여 약배양한 결과 얻어진 574 식물체의 배수성분포는 반수체가 49.7%, 2배체는 48.6%, 다배체는 1.7%로 나타났다. 2. 통일형조합(Japonica/Indica)에서는 반수체(60.6%)가 많은 경향이었고, 일본형조합(Japonica/Japonica)에서는 2배체(54.8%)가 많은 경향이었다. 3. 2,4 -D,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반수체가,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2배체가 많은 경향이었다. 4. 반수체의 분얼경 분주에 의한 염색체자연배가율은 개체에 따라 0~25%로 나타났고 평균 8.2%였다. 5. Colchicine 0.1% 용액의 잎집주사접종법에 의한 염색체배가율은 0~33.3%의 변이를 보였으며 평균 18.8%로 나타났다. 6. 약배양에서 유래된 식물체의 배수성에 따른 형태적인 차이는 반수체가 2배체에 비하여 간장이 64.6%, 수장이 63.4%, 지엽장은 68%, 지엽폭은74.4%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7.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약배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callus 유기와 녹색체 출현율에 영향하는 화분의 발육단계, 화분의 저온처리와 기관 및 배지의 영향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핵기의 화분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으며 이때는 대체로 엽신간장이 5~8cm에 해당되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이삭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엽이간장이 5~8cm의 것은 상부와 중간부분에 단핵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9~10cm 정도의 것은 중부와 하부 부분이 단핵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저온처리는 8℃ 에서 12℃ 가 callus 유기에 알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4℃ 에서 callus 유기가 잘된 것도 있었다. 4. 저온 처리기간은 일반적으로 8~12일 정도에서 callus 유기가 잘 되었으나 품종간 차이가 있다. 5. 본 실험에서는 N6D 배지보다 N6 배지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다. 6. 대체로 녹색체 출현율은 4℃ 와 8℃ 로 처리한 것이 12℃ 처리보다 높았다. 그러나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7. 녹색체 출현에 좋은 결과를 주었던 온도 처리기간은 대체로 8~12일로 나타났다. 8. 본 실험에서 녹색체 출현율은 N6 배지보다 개량 MS 배지에서 2배 정도 높았다.
        49.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에서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육종을 실용화하고 저 중촌등의 'D'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약중 평균 30% 이상이 반수농식물을 유기하였으며 약당 유기된 식물개체수는 평균 6주이상이었다. 2. F1 으로부터 유기된 반수체중 T.M.V 저항성은 이론치와 일치하는 1 : 1의 비를 나타내었다. 3. 반수체식물의 생육조사에서는 예기한바와 같이 모든 측정형질에 대하여 F1 의 반수체가 모본의 반수체보다 더큰 변이를 보였다.큰 변이를 보였다.
        50.
        197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품종 Yellow special A의 약을 개량 RM-1964 배지에 배양하였던바 배양 약 3주일 후에 약의 내부로부터 유식물이 생겨나고 이들은 그후 정상적인 생육을 하여 약 6개월후에 개화되었다. PMC의 M.에서는 24개의 1가염색체를 가진 것이 제일 많고 2가염색체는 PMC당 0.8이었다
        51.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Guha and Maheshwari's works on the induction of haploid plant from the cultured anther of Datura innoxia an her culture has become a big topic among geneticists and breeders. Presen paper is the summarized report on the anther culture method based on the author's recent researches
        1 2 3